블로그

모두의연구소

실전 AI프로젝트 경험이 필요한 여러분을 위해 : AI Project A to Z

AI 분야에 관심을 갖고 입문하다가, 실제 프로젝트 경험이 필요하지 않으셨나요?강의에서 따라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서 도전해보고싶은데, 막상 뭐부터 해야할지 막막하진 않으셨나요? 😣급변하는 AI 분야, 관련 지식이나 노하우 뿐 아니라 최신 트렌드도 반영하는 것이 중요할텐데요.뜨거운 AI 분야에 제대로 뛰어들기 위해 프로젝트를 어떻게 준비하면 좋을지 TIP을 전해드릴게요! 🧚🧚‍♀STEP 1. 내가 원하는 AI직무에 ‘AI프로젝트 경험’을 제대로 녹이려면?AI 분야에 본격적으로 뛰어들 준비를 마쳤다면, 나아가고 싶은 직무를 정하는 것이 우선입니다.그렇다면 지금부터 직무와 관련된 공고를 5개 이상 찾아보는 것을 추천할게요! 🤓모두의연구소 채용공고를 가져왔어요! 이렇게 공고를 5개 이상 찾아보면 해당 직무에서 공통적으로 요구하는 사항을 알 수 있습니다.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전에 직무에 대한 이해를 쌓고, 그 이해도를 바탕으로 경험을 쌓는 것이 중요해요!해당 직무에서 업무를 하기 위해 어떤 지식이 필요한지, 어떤 기술 스택을 활용할 수 있어야하는지마지막으로 어떤 경험 역량을 쌓으면 좋을지 감이 잡히시나요?채용공고에서는 일을 능동적으로 하는 사람을 원하는 상황에서 수동적으로 경험을 쌓았다면기업이 원하는 인재가 될 수 없겠죠?STEP 2. 그렇다면 AI프로젝트 역량을 어떻게 쌓아야할까요?AI프로젝트 진행 중인 김그루프로젝트를 어떻게 진행할지 방향이 잡히셨나요?아직 방향이 잡히지 않은 분들을 위해 모두의연구소 아이펠의 프로젝트 방식을 공유드릴게요.1. 실전 프로젝트 경험!아이펠과정에 참여하면서 AI 전문지식을 얻고난 후 실전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아이펠톤을 통해 Task를 해결하고, 모델의 원리를 이해하며 프로세스를 구현해보는 경험을 얻을 수 있어요.2. 함께 또 즐겁게 프로젝트!동료들과 역량을 발휘하며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어요.팀원들과 원활하게 소통하고 협업하며 같은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법을 배울 수 있어요!3. 현직 AI 멘토의 멘토링프로젝트를 참여하면서 현직 멘토에게 프로젝트와 관련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어요.이를 통해 더 좋은 결과물을 만들 수 있고, 실무와 관련한 넓은 시야를 얻을 수 있습니다.위에서 말씀드린 포인트를 통해 완성된 아이펠 7기의 프로젝트를 보여드릴게요!멋쟁이 ‘지켜조’팀은 이번 아이펠톤을 통해[1인 가구를 위한 똑똑한 방범 CCTV 앱]을 만들었어요! 정말 멋지죠?아이펠 코어과정의 커리큘럼을 알아볼까요?위의 프로젝트를 더 자세히 보고싶으신가요? 

AI에이전트 개발AI프로젝트AI교육아이펠모두의연구소인공지능프로젝트CVNLP딥러닝

Masocampus

[마소캠퍼스 GEN AI 인사이트] AI 국대팀 출범! 누가 뽑혔을까? 👀

한국형 AI 시대가 열리기 시작했어요!K-팝, K-푸드, K-뷰티에 이어 이제는 K-AI까지✨국가 주도의 AI 프로젝트, 과연 어떤 내용일까요? 함께 살펴봐요 :)정부가 AI 주권 확보를 위해 본격적으로 나섰어요.무려 2,000억 원의 예산을 들여, 국내 대표 AI 기업 5곳이 한 팀으로 뭉쳤답니다!이제 AI도 'Made in Korea' 시대가 열리는 걸까요? 😲이 프로젝트의 최종 목표는 두 가지예요.1⃣ 글로벌 AI 모델 성능의 95% 이상 달성2⃣ 누구나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공공 AI 실현모두를 위한 AI,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 이제 현실이 됩니다!총 15개 팀이 치열한 경쟁을 벌였고, 그중 5팀이 최종 선정되었어요.- 네이버 클라우드- SK텔레콤- 업스테이지- NC AI- LG AI연구원이들은 각각 컨소시엄을 구성해 독자적인 AI 모델 개발에 착수했답니다💪각 기업은 자신만의 전략과 목표를 가지고 움직이고 있어요. 네이버는 AI 마켓을, 업스테이지는 산업별 AI 확대를,SK텔레콤은 B2B 서비스 발굴을, NC AI는 200B급 초거대 모델을,LG AI연구원은 K-EXAONE이라는 모델을 개발 중이에요! 같은 AI도 이렇게 다양할 수 있다니, 너무 흥미롭죠? 😊정부는 총 2,378억 원이라는 큰 규모의 예산을 지원합니다!- GPU: 1,500억 원- 데이터: 628억 원- 인재 유치: 250억 원 다만, GPU 지원은 일부 기업에만 해당되는데요,네이버와 SK텔레콤은 이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었답니다.KT와 카카오 등 일부 대기업은 이번 AI 국가대표팀에서 제외되었어요.각 기업의 전략, 기술력, 독자 모델 여부 등을 기준으로 평가가 이루어졌기 때문이에요.선정되지 못한 곳도 있지만, 향후 다른 방식으로 참여할 수도 있겠죠? 🙂12월 말에는 1차 평가를 통해 5팀 중 4팀만 살아남게 됩니다.이후에도 6개월마다 성과 평가가 이어지고,전문가와 국민이 참여하는 ‘AI 콘테스트’도 예정되어 있어요. 긴 여정의 시작, 함께 지켜봐 주세요!- 기술 주권 확보- 경제 자립- 한국형 AI 생태계 구축- 모두가 활용 가능한 공공 AI 실현우리가 주도하는 AI, 우리 손으로 만들어가는 미래!‘모두의 AI’는 지금 시작됐어요! 🚀드디어 우리만의 AI가 탄생할 날이 머지 않았어요!이제는 남 따라가지 않고, 우리 기술로 선도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할 거예요~새로운 시도와 성장은 언제나 도전에서 시작돼요.마소캠퍼스는 여러분이 똑똑하게 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성장 파트너예요 💡지금 이 순간에도 더 나은 내일을 준비하고 있다면, 마소와 함께 해보세요 😊 📌 관련 강의 <AI 에이전트 입문 치트키, Claude MCP로 끝내는 업무 자동화>AI를 내 업무에 자유자재로 써먹는똑똑한 직장인이 되고 싶다면?>> 강의 바로 가기 

AI 업무 활용인공지능AI국가대표AI프로젝트AI산업네이버클라우드SK텔레콤업스테이지LGAI연구원NCAIAI정책

채널톡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