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 8일간! 인프런x토스x허먼밀러 역대급 혜택

블로그

wnsrlf0721

[워밍업 클럽: 쿠버네티스] 1주차 발자국

5.26 ~ 6.1 까지 쿠버네티스 강의를 듣고 난 후 소감을 정리한 발자국입니다. 인프런으로 공부를 시작한 건 자바와 spring 강의를 들어보면서 처음 공부를 시작했는데,어느 날 우연히 인프런 워밍업 클럽을 홍보하는 걸 보게 되었고, 마침 데브옵스에 대해 스터디를 하는 커리큘럼이 있어, 그냥 고민없이 이 강좌를 신청했습니다.노베이스라 학습 시간이 많이 걸릴거라 예상을 했는데, 취업준비로 크게 준비하고 있는 것이 없어 무난하게 학습할 수 있을거라 생각했고, 이제 1주차를 무사히 마쳤습니다 😀 1주차를 마무리하며 내가 적었었던 복습 블로그를 살펴보니 그래도 꽤 많은 내용을 정리한 것 같습니다.첫번째 강의 #1. 컨테이너 한방정리는 쿠버네티스가 어떤 환경에서 동작하는지, 컨테이너가 무엇이고 컨테이너 런타임은 또 무엇인지 강의 흐름대로 따라와보니 쿠버네티스가 돌아가는 환경에 대해 배운 시간이였습니다.두번째 강의 #2. 쿠버네티스 무게감 있게 설치하기는말그대로 저한테는 좀 무게감이 있는 설치하기 였습니다. 스크립트 코드를 그대로 따라치니 일단 동작은 하는데, 왜 이 스크립트를 짰는지 나름대로 혼자 공부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그런데 알고보니 미션1을 따라서 그대로 복습을 하면 저절로 알게 되는 내용들이 많았습니다 ㅋㅋ. 복습하고 나니 스크립트 코드들은 다 쿠버네티스 공식문서에 나온 내용대로 코드가 진행된다는 걸 알게 되었고, 정말 OS가 바뀌거나 다른 컨테이너 기능들을 추가한다 하더라도, 쿠버네티스 공식문서를 참고해 흐름을 따라가는 방법을 어느정도 깨우쳤던 강의였습니다. 1주차 중 가장 시간을 많이 투자했고, 배운 것도 많은 강의입니다. 세번째 강의랑 네번째 강의는 강의를 듣기는 들었지만, 제대로 복습을 하진 못했습니다.토요일날 SQLD 자격증 시험이 있어서, 쿠버네티스 공부를 좀 며칠 놓고 DB공부를 하다 왔습니다 😅주말에 조금씩 공부를 하긴 했지만, 사실 완전히 내용을 이해했다? 라고 말하기엔 부끄러운 수준인것 같습니다.내용을 정리하면서 조금 더 복습을 해야겠다 마음을 다잡게 되었고, 2주차에는 또 이 내용들이 연결되어서 더 자세하게 공부할 수 있는 내용이라 앞으로 배울 내용은 더 열심히 해야겠다 다짐하게 됐습니다.어쨌든 1주일을 쿠버네티스 강의 듣기와 블로그 작성에 시간을 투자하고, 마무리 회고를 작성하니 조금 뿌듯한 기분이 듭니다 ㅎㅎ. 앞으로도 열심히 강의 듣고 완주까지 열심히 달려볼게요~

데브옵스 · 인프라k8s1주차회고

제갈진우

[인프런 워밍업 클럽 스터디 3기] PM 워밍업클럽 1주차 회고

1주차 학습 회고: PM으로서 문제 정의와 해결의 중요성이번 1주차 강의를 통해 PM의 핵심 역할을 다시금 정리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PM은 고객과 비즈니스의 가치를 균형 있게 만들어가는 역할이며, 이를 위해 Valuable(가치 있는), Usable(사용 가능한), Feasible(개발 가능한), Viable(사업적으로 지속 가능한) 제품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 다시 한번 강조되었습니다.특히 문제 정의의 중요성을 깊이 실감했습니다. PM은 단순히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해결할 가치가 있는 문제를 찾는 것이 핵심 역할입니다. 이 과정에서 "문제 공간을 2차원으로 시각화하고 Deep Dive하는 방법"과 "Feature Work와 Growth Work를 구분하여 접근하는 방식"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기존에도 문제를 정의하려고 노력했지만, 실제로 이를 구조화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는데, 이번 강의를 통해 좀 더 명확한 기준을 가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또한, "모든 고객의 문제가 비즈니스로 연결되지는 않는다"는 점이 다시금 와닿았습니다. 문제를 정의하고 나면, 본능적으로 해결책을 고민하게 되는데, 정작 이 문제가 해결할 가치가 있는지에 대한 검증을 소홀히 할 때가 많습니다. 앞으로는 데이터 기반으로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책을 검증하며 이터레이션을 반복하는 과정을 더 의식적으로 적용해야겠다고 다짐했습니다. 강의를 들으면서 가장 와닿았던 부분은 "학습이 끝이 아니라 실천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결국 이 내용을 업무와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해보면서 나만의 방법론으로 체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이드 프로젝트에서도 이번 강의 내용을 활용해 문제 정의를 더욱 명확히 하고, 분석 툴을 적극적으로 활용해볼 계획입니다. 마지막으로, 학습한 내용을 단순히 듣고 끝내는 것이 아니라, 직접 회고를 작성하면서 다시 한번 정리하는 것이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학습한 내용을 적용하고 기록하는 습관을 들여야겠다고 생각합니다.

기획 · PM· PO워밍업클럽pmpo데이터분석가1주차회고

채널톡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