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과제 1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시작한다.역할:스프링을 실행할 때 필요한 설정들을 자동으로 해준다.나만의 어노테이션은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interface 키워드를 사용하여 어노테이션을 정의하면 됩니다   1일차 정리Java자바 공부 전 알아야할 것자바관련컴파일 : 코드 -> binary code로 변경컴파일러 : 컴파일하는 프로그램 (운영체제마다 다름)but 자바는 컴파일러(1개뿐)를 거쳐서 각 운영체제의 JVM으로 감gradlemaven1 JVM → 자바, 그루비, 스칼라, 코틀린 등에서 이용함2 JRE3 JDK → 자바의 버전,종류: ORACLE, OpenJDK 등Oracle JDK 개인은 무료 / 기업용은 유료OPenJDK 언제나 무료빌드와 실행빌드란?소스 코드 파일을 실행시킬 수 있는 하나의 파일로 만듦테스트 코드 : 내가 작성한 코드를 자동 테스트해주는 코드를 추가로 작성한 것실행 : 내가 작성한 코드를 컴파일을 거쳐 작동시키는 것인터프리터 언어는 컴파일이 필요 없음 (ex: 자바스크립트, 파이썬 등)Java의 빌드 툴빌드툴 : 빌드과정을 자동으로 해주는 프로그램외부소스 코드 자동추가, 관리ex) APACHE ANT, Gradle, MavenAntxml 사용간단하고 사용하기 쉽다복잡한 거 사용하면 관리 어려움사용 잘 안 한다.Mavenxml 사용외부 라이브러리 관리장황한 빌드 문제 해결특정경우 xml 복잡해진다.xml 자체의 한계Gradle설정을 위해 goovy(JVM 언어) 언어 사용xml 사용 x외부 라이브러리 관리유연하게 빌드 스크립트 작성가능 성능 좋다가장 최신 빌드툴Server스프링단축키option + 방향키 위 or 아래 → 적당한 영역 드래그Ctrl + option + O 안 쓰는 import 정리SOLIDSRP           single resposibility principleOCP   open/closed priciple                   변경 x 확장 oLSP Liskov substitution principle        기능이 변경되면 안 된다?ISP 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DIP depency inversion principle스프링부트는 톰캣이 내장되어 있다. ( jar사용)DTO (Data transfer Object) 데이터 전달 객체프레임워크미리 만들어져있는 구조에 코드를 끼워 넣는 것annotation@ 시작한다.역할:스프링을 실행할 때 필요한 설정들을 자동으로 해준다.ServerServe + er → 제공하는 것(기능)요청에 대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요청한다.네트워크컴퓨터는 각각의 고유주소(IP)를 가지고 있다. ex 123.1.22.19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컴퓨터끼리 주고받음DNS (Domain Name System)데이터를 받는 컴퓨터 IP 244.66.51.9, port :3000port =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가르킴한 프로그램은 1포트를 사용함.도메인 244.66.51.9 같은 숫자 대신 이름을 넣는다.ex) spring.com, port:3000즉 244.66.51.9 = 도메인 이름.com운송장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HTTP 요청 (데이터 요청)GET /portion?color=red&count=2Host:spring.com:3000 (헤더) 여러줄도 가능→ 달라/ 패스(자원) ? 세부조건 & 다른 세부조건 (쿼리)요청을 받는 컴퓨터와 프로그램 정보 (3000번 프로그램)HTTP 요청을 보내기 전에 미리 약속을 해야함받을 공간 마련POST → 요청을 받는 컴퓨터가 데이터를 저장자원의 정보 저장할 때POST → Body(바디)PUT (수정해라) → Body(바디)원하는 정보 달라할 때GET → Query(쿼리)DELETE → Query(쿼리)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정해진 규칙)미리 물건을 주거나, 저장할 수 있도록 준비가 되어 있어야함.HTTP 문법을 사용함@RestController → API 의 진입 지점을 만듦@GetMapping → http method Get쿼리를 할 때 각각의 파라미터 앞에 @RequestParam 이라 적어준다.URL (Uniform Resource Locator)http://spring.com:3000/portion?color=red?count=2http → 약속 프로토콜// → 구분기호spring.com:3000 → 도메인 이름 (IP로 대체 가능)portion = Path(자원의 경로)? → 구분기호color=red?count=2 쿼리(추가정보)클라이언트 - 서버 구조 (응답)정보 처리후 200 OK를 보냄 (정보를 저장했어)요청에 대한 응답을 제공한 컴퓨터 = 서버요청한 컴퓨터 Client상태코드200 OK300영구적으로 옮겨404찾을 수 없음500내부의 문제가 생겼어응답에는 바디를 담을 수 있음응답 구조요청 - 응답

백엔드1일차

채널톡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