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전체 4#카테고리
- 데브옵스 · 인프라
#태그
- 쿠버네티스
- 인프런
- 데브옵스
- 일프로
- 워밍업
2025. 06. 22.
1
[워밍업 클럽 4기: DevOps] 4주차 회고
[4주차에 접어들면서]마지막 주차였는데요!현재 업무에서 일이 너무 많아서 강의도 못듣고 복습도 못해서 너무 아쉬웠습니다.차주에 최대한 따라가면서 밀린 강의와 복습을 최대한 진행하고 싶습니다! [팀 스터디 소감]사다리타기를 통해 리더로 뽑혔는데 개인 업무가 바빠져서 팀 리더로서 다른 팀원들을 챙기거나 독려하지 못해서 아쉬운 마음이 컸습니다.조금 더 이끌고 도와주면서 했어야 하는데 팀원들한테 미안한 마음이 크네요그래도 이런 스터디 기회를 마련해주시고 고생하신 일프로님과 인프런 측에 고맙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2025. 06. 15.
1
[워밍업 클럽 4기: DevOps] 3주차 회고
[3주차에 접어들면서]일을 병행하면서 공부를 하다보니 시간이 잘 안가서 복습까지 이어가긴 힘들었고 강의를 들으면서 이해하는 학습을 위주로 공부했습니다.주말에도 일정이 있어서 다음주에 시간을 쪼개서 못했던 복습들을 작성할 계획입니다 [DevOps]데브옵스 한 방 정리 강의를 통해 DevOps가 단순한 도구 사용이 아닌, 조직 문화와 프로세스 개선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리고 손쉽게 데브옵스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에서 직접 간단한 데브옵스 파이프라인(Git + Jenkins + Docker + Kubernetes 파이프라인)을 구현하는 법을 배웠는데 실무에서 사용할때 기반으로 사용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CI/CD, Helm/Kustomize]Jenkins Pipeline 강의에서는 역시 Jenkins Blue/Green 배포가 특히 인상적이었습니다. 이론으로만 알고 있던 무중단 배포를 실제로 구현해보니, 서비스 안정성이 얼마나 중요한지 체감할 수 있었습니다.Helm과 Kustomize 비교 강의에서는 각 도구의 철학적 차이를 명확히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Helm의 템플릿 기반 접근법(복잡한 애플리케이션 패키징, MSA 환경..)과 Kustomize의 오버레이 방식(단일 애플리케이션 또는 간단한 구조, GitOps 환경)이 어떤 상황에서 더 적합한지 판단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025. 06. 08.
1
[워밍업 클럽 4기: DevOps] 2주차 회고
[어느덧 2주차]워밍업 클럽 OT를 들은 지 얼마 되지도 않은 것 같은데, 벌써 2주차 발자국을 적을 시간이 왔습니다.이번주차에는 어플리케이션 관점에서 쿠버네티스 컴포넌트들을 다루는 방법을 공부했습니다.probe쿠버네티스를 공부할 때 항상 중요하다고만 생각하고 제대로 공부하지 않았던 probe를 강의에서 다루고 미션을 통해 응용해서 복습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startup, readiness, liveness probe의 개념과 차이점을 알아보고 나중에는 옵션을 직접 설정하고 강사님이 내준 시나리오대로 동작하게 하는 실습시간을 가졌는데 헷갈리던 probe의 개념들을 이번 스터디를 통해 확실히 잡고 가는 시간이였습니다 configmap&secretConfigMap과 Secret을 공부하면서 가장 인상 깊었던 점은 애플리케이션 코드와 설정 정보를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ConfigMap으로 일반적인 설정값들을 관리하고, Secret으로 민감한 정보를 base64 인코딩하여 안전하게 저장하는 방식이 실제 운영 환경에서 얼마나 중요한지 깨달았습니다.특히 환경변수나 볼륨 마운트를 통해 Pod에 주입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실습해보니,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개발/스테이징/프로덕션 환경에서 코드 변경 없이 배포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다만 Secret이 base64 인코딩일 뿐 실제 암호화는 아니라는 점과, etcd 암호화 설정의 중요성도 함께 배우게 되어 보안에 대한 이해도 높아졌습니다. deployment&hpaDeployment를 공부하면서 ReplicaSet을 추상화한 개념을 명확하게 정리할 수 있었고, 롤링 업데이트와 롤백 기능이 무중단 배포에 얼마나 핵심적인지 실감했습니다. 특히 kubectl rollout 명령어들로 배포 히스토리를 관리하고 문제 발생시 즉시 이전 버전으로 되돌릴 수 있는 점이 운영 안정성 측면에서 매우 인상적이었습니다.HPA(Horizontal Pod Autoscaler)는 CPU나 메모리 사용률 기반으로 Pod 개수를 자동 조절하는 개념 자체는 간단했지만, 실제로는 metrics-server 설치부터 적절한 임계값 설정까지 고려할 요소가 많다는 걸 배웠습니다. Deployment와 HPA를 함께 사용하면 트래픽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스케일링되면서도 배포 관리는 별도로 할 수 있어서, 실제 프로덕션 환경에서 이 조합이 왜 기본이 되는지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쿠버네티스
・
인프런
・
데브옵스
・
일프로
2025. 06. 01.
1
[워밍업 클럽 4기: DevOps] 1주차 회고
스터디 참여 계기쿠버네티스를 공부도 하고 플젝이나 자격증도 따봤지만 강사님께서 강의 때 언급한대로 막상 몇 달이 지나니 개념적인 내용을 많이 잊는 것도 있고 지인이 같이 해보자고 해서 참여하게 됐습니다.첫 주차는 설치 및 간단한 동작 테스트를 위주로 실습했는데, 윈도우 기반(vmware, virtualbox)으로만 설치해봤어서 mac의 utm이라는 툴을 활용해 설치를 진행했고 문제없이 진행되었습니다.(강사님께서 엄청나게 고생한 흔적이...^^) 차주 목표다음주는 pod에서 빼먹을 수 없는 개념인 probe를 비롯해 configmap, secret, PV, PVC등을 배우고 직접 실습해보는 시간을 가지고 미션도 진행할 것 같은데, probe 개념이 좀 헷갈려서 확실히 잡고 가고싶습니다.아! 그리고 스터디 조의 리더가 됐는데 (사다리 ㅋㅋㅋ) 여튼 잘 이끌어 보고 싶습니다.재밌는 기회를 주신 일프로님께 감사드리면서 이번 발자국은 짧게 마치겠습니다~
데브옵스 · 인프라
・
쿠버네티스
・
워밍업
・
데브옵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