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전체 4#카테고리
- 데브옵스 · 인프라
#태그
- Devops
- Kubernetes
- kubernetes
- devops
- kubernete
2025. 06. 22.
1
[인프런 워밍업 클럽 4기] DevOps 발자국 4주차
[ 강의 정보 ]강의명 : 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지상편) - Sprint 1, 2 [ 워밍업 클럽 4주차 회고 ]벌써 스터디의 마지막 주를 달리고 있다. 한 달이라는 시간안에 주어진 과정을 따라가는게 쉽지 않을 거라 생각했으나, 처음 결심한 대로 잘 따라가지 못한게 아쉬운 마음이 먼저 든다. 이번 주차에서는 Kustomize와 Helm을 통한 배포 구성 관리 및 Argo CD를 통한 배포 전략을 살펴보았는데, 현업에서도 동일한 기술들을 도입하려는 생각을 하고있어 주의깊게 강의를 보아야 겠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현재하고 있는 고민들이 강의에서도 나오는 것을 보고 적절한 Best Practice를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겠구나 생각되었다. 한 달동안 쿠버네티스의 동작 흐름부터 CI/CD를 통한 배포 자동화까지 하나의 큰 흐름을 배워가는 과정을 통해, 단순히 쿠버네티스 개념에 대해 배우는 것뿐만 아니라 운영을 위해서는 부가적인 기술들의 동작도 깊게 알아야 겠다는 생각도 하게 되었다.이번 스터디를 통해 100프로 열심히 했다고는 차마 스스로에게 할 수 없지만.. 스터디를 하기 전보다는 조금이나마 나아졌지 않을까 생각한다. 끝까지 빠진 내용들을 복습하며 채워나가야 겠다. 스터디 이후에도 정리한 내용들을 되새기며 나의 것으로 만들어나갈 수 있게 노력 하자!
Devops
・
Kubernetes
2025. 06. 15.
1
[인프런 워밍업 클럽 4기] DevOps 발자국 3주차
[ 강의 정보 ]강의명 : 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지상편) - Sprint 1, 2 [ 워밍업 클럽 3주차 회고 ]3주차쯔음 들어가니 슬슬 밀린 복습들이 생겨나고 있다.. 평일에 부지런히 하면 좋았을련만 주말에 2주차에 밀린 것까지 하려니 시간이 너무 없다 @.@ 평일에 저녁약속이다 뭐다 여러 가지일로 미뤄온 결과라고 생각하며 열심히 달려본다 흑흑 이번 주차에서는 CI/CD 구축과 함께 Recreate, RollingUpdate, Blue/Green, Canary 와 같이 더 다양한 배포전략을 알아보았다. Jenkins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아래의 약간의 에러(?)가 있었는데 Gemini의 힘을 빌려 생각보다 빠르게 해결할 수 있었다. 맞닥뜨린 에러와 해결방법은 블로그에 짧게 기재두었다. 바로가기 👉👉https://velog.io/@zxd985/인프런-워밍업-클럽-4기-DevOps-3주차-2처음에는 인터넷 서치로 찾아보려 했으나.. 키워드를 잘 설정하지 못한 것인지 잘 안나와서 결국 AI의 힘을 빌렸다ㅎ..이전에는 이미 설치되어 있는 Jenkins 서버에서 빌드 버튼만 딸깍. 했었는데 직접 설치부터 Item 생성 > Build Step 구성까지 모두 직접해보니 어떻게 Jenkins CI/CD가 동작하는 것인지 흐름을 이해할 수 있었다. 배포 전략 중에서는 Canary 배포가 현업에 매우 필요하다고 느꼈는데 한번에 트래픽을 넘기는 것이 아닌, 일정 비율의 트래픽만 전환하면서 에러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에게 오류를 덜 노출할 수 있고 빠르게 롤백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또한, A/B 테스트 등 헤더를 활용해 특정 고객에게만 신규 버전을 노출하는 등 여러 비즈니스를 테스트하기에 적합할 것 같다. 다만 istio와 같은 서비스 메시도 알아야 한다는 크나큰 산이 ....이래 저래 정신없이 3주차가 지나가고 있는데, 과연 내가 스터디를 잘하고 있나 라는 의구심도 들면서도... 그래도 마지막까지 잘 달려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조금만 더 화이팅 해보자! 인프런 워밍업 클럽 4기 블로그 시리즈
kubernetes
・
devops
2025. 06. 08.
1
[인프런 워밍업 클럽 4기] DevOps 발자국 2주차
[ 강의 정보 ]강의명 : 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지상편) - Sprint 1, 2 [ 워밍업 클럽 2주차 회고 ]2주차에서는 1주차에 배웠던 Pod, ReplicaSet, Deployment와 같은 Object들의 개념을 기반으로, Pod의 startup, livness, readiness Probe, Configmap, Secret, 여러 Deployment 배포 전략 그리고 Service의 기능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특히 Probe에서는 미션을 통해 잘못된 Probe 설정으로 인해 어떤 이슈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지 직접 실습해보면서, 애플리케이션에 맞는 Probe 설정이 정말 중요하겠구나 라고 다시금 생각하게 되었다. 각 Probe의 성격을 잘 이해해서 애플리케이션 마다 적절한 설정을 구성할 수 있도록 많은 실습과 테스트가 필요할 것 같다. 그리고 예전에 처음 Secret을 접했을 때, 이름에서 느껴지는 보안적인 기능 때문에 민감한 데이터는 여기에 두면 되겠다. 라고 이해할 뻔 했는데 아예 강의 하나로 빼주신 덕에 'Secret은 단순히 평문을 Base64로 암호화하는 것 뿐이다' 라는 것을 다시한번 짚고갈 수 있었다. 그 외에도 환경변수를 어떻게 관리할 것 인지 (application.yaml 혹은 configmap)를 고민하는 시간을 가져보라고 하셨는데, 개발자에게 쿠버네티스에 대한 지식을 필요하지 않게 운영한다면,, 단순히 애플리케이션 구동에 필요한 환경변수는 application.yaml 에 넣고 그 외 쿠버네티스 환경에서 돌아가기 위한 설정값은 configmap에 넣는다던가,,? 이건 아직은 감이 잘 안오긴 한다. 나중에 직접 애플리케이션을 쿠버네티스 환경을 올려서 운영해보면서 방향을 잡을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일단 이후 3주차에 나올 CI/CD 내용을 진행하기 전에, 2주차에 나온 개념과 여러 배포 전략들을 잘 복습해두어야겠다. 포기하지 말고 열심히 하자!인프런 워밍업 클럽 4기 블로그 시리즈
데브옵스 · 인프라
・
kubernete
・
devops
2025. 05. 31.
1
[인프런 워밍업 클럽 4기] DevOps 발자국 1주차
[ 강의 정보 ]강의명 : 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지상편) - Sprint 1, 2 [ 워밍업 클럽 1주차 회고 ]이번 1주차에서는 Linux OS와 Container에 어떤 과정들이 있었는지 흐름을 이해하고 쿠버네티스 환경 설치가 주 내용이었다. 이전에 혼자서 강의를 들었을 때 앞 부분은 훌쩍 넘겨버렸던 것 같은데 내용 복습을 위해 흐름부터 찬찬히 이해하고 정리하다보니 지식 기반이 탄탄해진다는 생각이 들었다. 괜히 커리큘럼에 있는게 아니구나 싶었다. 모든 강의를 후루룩 넘기지 말고 내 것으로 만들어 나가야 겠다.미션인 쿠버네티스 설치 과정에서도 단순히 스크립트를 수행하는 것이 아닌, 설정 하나씩 확인해가며 왜 이 설정이 필요했는지 이해하는 과정도 쿠버네티스가 어떻게 동작하고 있는지 전체 흐름을 파악하는데에 도움이 되었다. 1주차에는 전반적인 쿠버네티스 구조와 Pod, ReplicaSet, Deployment와 같은 기본적인 Object을 다루었다. 이전에 대세는 쿠버네티스 강의를 들었던 것이 많은 도움이 되어 이해하는데에 크게 어렵지는 않았다. 그래도 앞으로 배울 내용의 기반이 되는 기본적인 지식이니 복습을 통해 잘 소화해야겠다. 처음이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헤매이는 것도 많지만, 부지런히 기록하고 정리하는 학습 방식에 얼른 익숙해져야겠다.인프런 워밍업 클럽 4기 블로그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