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s]
Youtube 바로가기
LinkedIn 바로가기
[Career]
現) JSCODE - 대표 멘토, CEO
前) (주)트라이포드랩 - CTO
前) (주)온리원유니버스 - CTO
前) 달리(DALY) - CTO
前) 팀메이트(Teammate) - CEO
[Books]
『Do it! JSCODE의 AWS 입문』, 이지스퍼블리싱 (2025.05)
[ETC]
- 기업 대상 개발 컨설팅 및 코딩 교육 활동
강의
로드맵
전체 6수강평
-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DB 설계 입문/실전
-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MySQL 성능 최적화 입문/실전 (SQL 튜닝편)
게시글
질문&답변
팀원들의 참여가 저조한 팀 프로젝트는 이력서에 어떻게 작성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다보님! 질문 너무 잘해주셨어요~!채용담당자 입장에서 답변 드려볼게요!우선 결론적으로 2번 개인 프로젝트처럼 구성하시는 걸 추천드려요 ~ [1] 기술 역량 어필에 집중말씀하신 대로 개발 실력이 가장 중요해요 !실제로 90% 이상을 담당하셨다면 개인 프로젝트처럼 구성하시는 게 본인의 기술적 기여도를 명확하게 보여줄 수 있어요 ! [2] 명확한 성과 표현개인 프로젝트처럼 구성하사면 "고가용성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 "기존 온프레미스 시스템 마이그레이션" 등 본인이 실제로 수행한 핵심 업무를 더 명확하게 어필할 수 있어요 ! [3] 협업 문제를 "굳이" 언급할 필요 없음팀원들의 참여 부족이나 협업 어려움을 이력서에 굳이 작성하면 자칫 부정적인 인상을 줄 수 있어요 !또한 혹시 면접에서 팀 프로젝트였는지 질문받으시면 그때 솔직하게 "팀으로 시작했지만 실질적으로는 제가 대부분 담당했습니다"라고 말씀하시는걸 추천드려요 :) 추가로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언제든 질문 남겨주세요 😄늘 화이팅입니다 !!
- 0
- 2
- 30
질문&답변
k6 테스트 문의
안녕하세요 경용님 ! 질문 잘해주셨어요 !질문해 주신 내용에 대해 답변드려볼게요 ! "제가 사이드프로젝트에 30개 api를 하나씩 수기로 테스트를 해야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30개의 API를 하나씩 수기로 테스트하실 필요는 전혀 없어요 ~우선 현업에서는 파레토의 법칙(80:20법칙)을 적용해서 전체 트래픽의 80% 가량을 차지하는 핵심 API들 위주로 부하테스트를 진행해요 !메인 페이지 조회, 로그인, 자주사용되는 조회, 핵심 비즈니스 로직이 있는 API 등등 핵심 API만 테스트해도 충분히 의미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어요 !또한 k6는 아래와 같이 하나의 스크립트에서 여러 API를 테스트할 수 있는 방법들이 있어요 !export default function () { let random = Math.random(); if (random 또한 위와 같은 방법 이외에도 시나리오별로 분리해서 테스트를 진행할수도 있어요 !아래 공식문서에 여러 사용 예시들이 있으니 경용님의 프로젝트에 테스트해보기 좋은 예시가 있으면 참고해서 사용해 보시면 도움이 되실꺼에요 !https://grafana.com/docs/k6/latest/using-k6/scenarios/advanced-examples/ 공식문서와 함께 아래 레퍼런스들을 참고해보시면 도움이 되실것 같아 같이 첨부해드려요 :)https://mangkyu.tistory.com/420https://devocean.sk.com/blog/techBoardDetail.do?ID=164347https://medium.com/weolbu/%EC%9B%94%EA%B8%89%EC%9F%81%EC%9D%B4%EB%B6%80%EC%9E%90%EB%93%A4%EC%9D%98-%EB%B6%80%ED%95%98%ED%85%8C%EC%8A%A4%ED%8A%B8%EB%A5%BC-%EC%9C%84%ED%95%9C-k6-%EB%8F%84%EC%9E%85%EA%B8%B0-d7c82e7fe65추가로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또 질문 남겨주세요~~
- 0
- 2
- 21
질문&답변
꼭 DNS 설정해야 되나요?
안녕하세요! 질문 잘 해주셨어요 !질문해주신 내용에 대해 답변드려볼게요 ! 꼭 DNS 설정해야 되나요?-> 네 꼭 설정하셔야 해요 !Certbot이 HTTPS 인증서를 발급받을 때 도메인 소유권을 검증하는 과정이 필요해요 ~EC2의 퍼블릭 IP만으로는 Let's Encrypt에서 인증서 발급이 불가능해요 ! "비용 때문에 DNS 연결해야만 할까요?"-> 비용 때문에 꼭 DNS를 유료로 써야 하는 건 아니에요!무료 도메인이나 저렴한 도메인을 사용해도 되고, 심지어 AWS Route 53이 아니라도 가비아, 카페24, Freenom 같은 다른 DNS 서비스 제공업체를 사용하셔도 되요 ~핵심은 내 서버의 퍼블릭 IP와 도메인을 연결해 두는 것이지, 꼭 비용이 드는 서비스만 써야 하는 건 아니에요 ! 추가로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언제든 질문해주세요!
- 0
- 2
- 28
질문&답변
Secret이 외부 노출을 어떤 식으로 피할 수 있게 하는지
안녕하세요 daehyun님 ! 좋은 의견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해당 강의는 입문/실전용으로 핵심 내용과 주요 실습을 통해 빠르게 체득하여 실무에 적용하는 것에 집중하다보니 말씀해주신 내용까지는 담지 못했었던 것 같네요! 후속 강의가 나오게 된다면 말씀해주신 부분도 같이 포함해서 만들어보겠습니다 !
- 0
- 2
- 17
질문&답변
7월15일 바뀐 프리티어 정책 때문에 써야하는 비용 질문
안녕하세요 ! 질문 잘해주셨어요 !질문해 주신 내용에 대해 답변드려 볼게요 ! 우선 결론적으로 한 달 비용은 어떤 리소스를 얼마만큼 쓰느냐에 따라 달라져요 !EC2 t3.small (2vCPU, 2GB RAM)의 경우 시간당 약 0.0208달러로한 달에 24시간 동안 켜두면 약 15달러 정도 나와요!RDS db.t3.micro (MySQL, 20GB)의 경우시간당 약 0.017달러 + 스토리지 요금으로 약 12~15달러 정도 나와요 !S3는 저장 용량 10GB 내외면 0.20 달러 정도 밖에 안 되고EBS 디스크(루트 볼륨) 30GB를 잡으면 월 3달러 정도 추가돼요 즉, EC2 + RDS + S3 + EBS 정도를 “상시 켜둔 상태”로 쓰면 대략 3~4만 원 정도 나올것 같아요 ~또한 강의의 실습만 따라오실경우 약 2일 내내 진행하신다고 가정하면하루 약 1300원 정도 나올것 같아요 ~물론 인스턴스를 항상 켜놓지 않고 필요할 때만 실행하면 훨씬 줄일 수 있어요! 프리티어 혜택이 없더라도 소규모 프로젝트 환경은 월 몇만 원 수준으로 운영 가능해요 !다만 24시간 켜두는 건 피하시고, 가능하면 필요할 때만 켜고 안 쓰면 Stop 해두시는 걸 권장드려요 :) 추가로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또 질문 남겨주세요~~
- 0
- 2
- 44
질문&답변
빌드 환경의 일관성 유지를 위해 컨테이너 안에서 빌드
안녕하세요 태환님! 질문 너무 잘해주셨어요 !질문해주신 내용에 대해 답변드려볼게요 ! "스프링 프로젝트의 빌드 명령도 컨테이너 안에서 수행하는 것도 괜찮을까요?"-> 네 괜찮습니다 ! 말씀해주신 것처럼 빌드 환경도 컨테이너 안에서 통일하면 개발자마다 JDK 버전 차이나 로컬 환경 차이로 인한 문제를 줄일 수 있어요! 그래서 실무에서도 build stage를 따로 두고, 컨테이너 안에서 빌드하는 방식을 종종 사용해요 :) "jkd까지 포함하게 되어 인스턴스 비용이 크게 증가하는건 아닐까요 ?"-> 도커 이미지 용량으로 인한 비용 증가는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EC2 인스턴스 비용은 이미지 용량과 무관하고, EBS 저장 비용도 300MB 차이가 월 $0.03(약 40원) 수준이에요 ~또한 네트워크 전송비도 초기 1회 pull/push 시에만 발생하고 레이어 캐싱으로 최소화돼요:) 추가로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또 질문 남겨주세요~~
- 0
- 2
- 24
질문&답변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미영님! 카톡으로도 질문 주셨어서 제가 카톡으로 답변 남겨놓겠습니다:D
- 0
- 2
- 20
질문&답변
bastion-server에서 private Ec2로 접근했을 때 git clone 오류
안녕하세요! 질문 잘 해주셨어요 !질문해주신 내용에 대해 답변드려 볼게요 :)보안 그룹 설정보다는private EC2에서 외부 인터넷으로 통신이 막혀있어서 발생한 네트워크 문제처럼 보이네요!NAT Gateway 설정이 제대로 되어 있는 지 확인 한 번 해보시기 바랍니다!확인했는데도 불구하고 역시나 작동을 하지 않는다면Nat Gateway 설정하신 화면 캡쳐한 이미지 포함해서 댓글 한 번만 남겨주세요~~
- 0
- 2
- 34
질문&답변
프로젝트 전체 완성도 vs 나의 역할
안녕하세요 수현님 ! 질문 잘해주셨어요 !채용담당자 입장에서 답변 드려볼게요! 우선 결론적으로 실제 포트폴리오를 평가할 때는 개별 기여도를 중점적으로 봐요 ~[1] README에 역할 분담이 명시되어 있어서 누가 뭘 했는지 파악 가능해요 ![2] Git 커밋 히스토리로 실제 작업량과 코드 품질을 확인할 수 있어요 ![3] 면접에서 본인이 구현한 부분만 자세히 질문하기 때문이에요 !팀워크도 중요하긴 하지만 부족한 팀원이 있다면 도와주려고 노력하는 모습도 좋지만,본인 역할을 완벽히 해내는 게 1순위예요!결국 나의 개발 실력이 가장 중요한 평가 기준이니까 전혀 이기적인 생각 아닙니다!오히려 현명한 접근이라고 생각합니다:) 또 궁금한 점 있으시면 언제든 질문 남겨주세요~~!
- 0
- 2
- 47
질문&답변
bastion host와 고가용성
안녕하세요 동규님! 질문 잘 해주셨어요 !질문해 주신 내용에 대해 답변드려 볼게요 !"실제 배포 단계에서는 bastion host를 가용영역 b에도 배치해야 하지 않나요?"-> 네 맞습니다! 말씀하신 대로 가용영역 A에만 Bastion Host가 있으면 해당 영역에 장애 발생 시 Private 서브넷 서버들에 SSH 접속이 불가능해져요 !그래서 실제 운영환경에서는 가용영역 A와 B 모두에 Bastion Host를 배치하는 식으로 구성합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언제든 질문해주세요😄
- 0
- 2
-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