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44
답변 2
1
안녕하세요 ! 질문 잘해주셨어요 !
질문해 주신 내용에 대해 답변드려 볼게요 !
우선 결론적으로 한 달 비용은 어떤 리소스를 얼마만큼 쓰느냐에 따라 달라져요 !
EC2 t3.small (2vCPU, 2GB RAM)의 경우 시간당 약 0.0208달러로
한 달에 24시간 동안 켜두면 약 15달러 정도 나와요!
RDS db.t3.micro (MySQL, 20GB)의 경우
시간당 약 0.017달러 + 스토리지 요금으로 약 12~15달러 정도 나와요 !
S3는 저장 용량 10GB 내외면 0.20 달러 정도 밖에 안 되고
EBS 디스크(루트 볼륨) 30GB를 잡으면 월 3달러 정도 추가돼요
즉, EC2 + RDS + S3 + EBS 정도를 “상시 켜둔 상태”로 쓰면 대략 3~4만 원 정도 나올것 같아요 ~
또한 강의의 실습만 따라오실경우 약 2일 내내 진행하신다고 가정하면
하루 약 1300원 정도 나올것 같아요 ~
물론 인스턴스를 항상 켜놓지 않고 필요할 때만 실행하면 훨씬 줄일 수 있어요!
프리티어 혜택이 없더라도 소규모 프로젝트 환경은 월 몇만 원 수준으로 운영 가능해요 !
다만 24시간 켜두는 건 피하시고, 가능하면 필요할 때만 켜고 안 쓰면 Stop 해두시는 걸 권장드려요 :)
추가로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또 질문 남겨주세요~~
-1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백론트엔드님,
AWS의 프리 티어는 신규 사용자에게만 제공되는 무료 사용 혜택입니다. 기존에 AWS 계정을 사용한 이력이 있는 경우, 새로운 계정을 생성하더라도 프리 티어 혜택을 받기 어렵습니다.
유료 계정으로 AWS를 사용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비용은 다음과 같은 요소들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사용하는 서비스 종류 및 양: EC2 인스턴스, RDS, S3 등 다양한 서비스에서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용 빈도 및 시간: EC2 인스턴스를 얼마나 자주, 오랫동안 사용하는지에 따라 비용이 달라집니다.
데이터 전송량: 인바운드 및 아웃바운드 트래픽에도 비용이 부과됩니다.
추가 서비스 사용: NAT 게이트웨이, Elastic IP 등 추가 리소스를 사용한다고 해서 비용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비용 예측을 위해 AWS 비용 금액 계산기(AWS Pricing Calculator)를 활용해 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 툴은 사용 예상량을 입력하면 월 예상 비용을 안내해 줍니다.
아래의 유사한 질문과 답변 링크들을 참조하면 추가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