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세대 Node.js 백엔드 서버 개발(Fastify & Prisma & Typescript와 함께하는)
Indie Coder
빠른 속도를 자랑하는 Node.js 프레임워크 fastify 와 orm Prisma 그리고 Typescirpt를 활용한 최신 Node.js 백엔드 REST API를 학습하는 코스
Basic
Node.js, TypeScript, Prisma
次世代API制御技術であるGraphQLの基本と高度な使い方、そしてGraphQLで作っていく仮想のキオスクサービスを通じて、実際のプロジェクト体験を学びます。 コースは、2024年2月現在の最新バージョンであるapollo-server v4でコースを部分的に更新しました。
Graphql
Apollo
MongoDB
Svelte
NodeJs
nodeJsファイルのアップロード
トークンベースの認証方法
フルスタック(ウェブバック&ウェブフロント&)
仮想キオスクサービスの開発
フロントエンド、バックエンドとも実装可能!
GraphQLの実践を体験してください💪
自信の最高の秘訣は
何かを最初から最後まで作ってみることです。
Webの基礎を少しでも学んだら
今回の機会に様々な技術で一歩進んでみてください!
REST APIを補完、発展させて作られた次世代API制御技術GraphQL。 GraphQLの基礎から高級、完結したサービスまで!この講義では、バックエンド、フロントエンド、展開までのすべてのコースを学ぶことができます。一緒にスマートメニューを作ってみますか?
GraphQLに必要な文法をすべて漸次学習することになります。講義の理論部分は、イメージ、アニメーションなどを活用し、できるだけ簡単に理解できるように準備しました。
基本的な使い方を学んだら、次は実際のプロジェクトの実装でしょうか?仮想のキオスクサービスであるスマートメニューをGraphQlを利用して作成します。バックエンドサーバーからフロントエンドまで、すべてGraphQLを中心に実装します。
コードをたどりながらデータを読み書きすることを超えて、サービスを作成するときに発生する可能性のあるさまざまな問題と解決策を学びます。 Apolloキャッシュを使用する際に発生するデータ整合性の問題、NodeJSからファイルをアップロードする際の注意点、サービスに必要な認証などを学ぶことができます。
最近ホットに浮かんでいるSvelteというフレームワークを利用して、より効率的にフロントエンド開発する方法もお知らせします。これにより、GraphQLの基礎知識はもちろん、1つのサービスのバックエンド、フロントエンド、デプロイまで体験できるようになります。
GraphQLに興味があり、入門を悩む方
Webバックエンド、フロントエンドフルスタックを体験したい方
Apollo、Svelteなど最新技術で作るウェブが気になる方
HTML、Javascriptの基礎を身につけた後に何か実装したい方
無限スクロールで実装されたメニュー表示画面
ログイン画面
メニュー登録画面
ご注文後のアラーム画面
講義参考資料📍
Q. GraphQLの理論講義ですか?
基本的な使い方から実際のプロジェクトに適用する方法のすべてを学びます。プロジェクトでは、バックエンドとフロントエンドの両方でGraphQLを実装する方法が用意されています。
Q.フロントエンドの場合、Svelteを事前に学習する必要がありますか?
講義の途中で簡単にSvelteの基本的な使い方を用意しました。準備した内容だけを知り、進んでいけば十分に最後まで学習可能だと思います。
Q.開発環境はどうなりますか?
Mac、Windows、LinuxなどのnodeJsをインストールできるどのPCでも、開発環境に必要なプログラムをインストールして進めることができます。
2000年度半ばから本格的にウェブ開発を始め、現在までフリーランスの開発者として活動しています。約5年間、Amplix BIソリューションの実務者教育を進め、開発を支援し、新しい技術を効率的に伝えることに多くの経験と悩みを持ってきました。
現在は、開発業務とともに、開発者に役立つWeb関連分野の新技術を探し、講座や本を通じて共有しています。
email: freeseamew@gmail.com
blog: https://medium.com/freeseamew
学習対象は
誰でしょう?
javascriptの基礎を学ぶ
Webサービスを最初から最後まで一度作りたい方
Webバックエンドエンジニア
Webフロントエンドエンジニア
前提知識、
必要でしょうか?
html
javascript
2,417
受講生
56
受講レビュー
84
回答
4.8
講座評価
5
講座
2000년도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웹개발을 시작하여 현재까지 프리랜서 개발자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약5년간 Amplix BI 솔루션 실무자 교육을 진행하고 개발을 지원하며 새로운 기술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것에 대한 많은 경험과 고민을 했습니다.
현재는 개발 업무와 함께 개발자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웹관련 분야의 새로운 기술을 찾고 강좌와 책을 통해 공유하고 있습니다.
현) 프리랜서
전) (주) 비즈플러그 전략솔루션 사업부 팀장
전) (주) 퍼니몽키스 위니스토리 서비스 개발 팀장
youtube: https://www.youtube.com/channel/UC3cJspjF4TRTyD_RS0azeaw
email: freeseamew@gmail.com
blog1: https://medium.com/freeseamew
blog2: https://dev.to/freeseamew
全体
72件 ∙ (10時間 28分)
全体
6件
4.5
6件の受講レビュー
受講レビュー 5
∙
平均評価 4.4
3
전체적으로 강의 시간이 짧아서 부담감이 없다는 장점과 질문에대한 답변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이미 작성된 코드들을 ppt형식으로 보여주면서 설명해주시는데 ( 누르면 기존 코드가 날아가고 스르륵하면서 코드가 추가됨) 안그래도 낯선 코드구조들을 ppt형식으로 보면서 설명을 듣다보니 코드의 흐름이 잘 와닿지 않고 따라가기가 힘듭니다. 이부분은 깃허브에 강의 코드가있으니 그걸 보고 복붙하면 되지않느냐? 하실 수 있습니다. 근데 그렇게 하기를 의도했다면 깃허브도 강의 섹션 파트별로 브랜치를 따서 코드를 저장해주셔야 했었습니다.. 깃허브 강의코드는 이미 완성된 코드였고, 이 코드들을 지금 듣고있는 강의와 대조해서 코드들을 가려내며 복붙하는것 또한 피로감이 심했습니다.. 강의 초반 서버부분 강의를 들으면서 쉬지않고 열정적으로 네시간동안 달려왔습니다만 프론트파트 들어왔을때부터 점점 강의퀄리티에 비해서 수강비가 너무 비싸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만, 이부분은 질문을 하면 정말 좋은 답변을 받는다는 점에서 그러려니하고 넘겼습니다. 마지막으로, 기술테크같은 세미나도 아닌데 이런 ppt형식의 강의는 호보단 불호가 많을거라 생각이듭니다. 더군다나 코드도 그렇게 막 복잡하지않고 길지도않은데 같이 코드를 타이핑하면서 설명을 덧붙여주셨으면 더 좋았을거라 생각이듭니다. ppt로 강의를 따라가다보니 정말 ㅠㅠ 강의를 듣는 사람입장에서 너무 피로감이 듭니다. 후반부 강의는 그냥 봤어요 버튼만 클릭하면서 넘겼네요..
受講レビュー 3
∙
平均評価 3.7
4
수강을 완료하였습니다. Javascript, html, css 기초 닦은 상태에서, 풀스택 서비스를 만들어보고 싶어서, 수강했습니다. react 나 vue 도 있는데 svelte가 쉽고 핫하다고 해서, 이 라이브러리로 선택했습니다. 이 수업은 제로부터 스마트메뉴 서비스를 만들기까지 모든 과정이 다 녹아져있었습니다. 설명도 차근차근 잘 해주셔서, 이해가 잘 되었습니다. /// 아쉬웠던 점은, 수업을 진행할때, 중간중간 계속 막혔었는데. 제가 코드를 작성시 오타를 낸 것도 있지만, 강의영상에 중요한 오타가 많이 있었어서, 강의영상만 보고 따라칠 경우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예제코드에서도 오타가 간간히 있어서, 서버를 실행해서 테스트할 때마다, 내가 잘못친건지, 강의내용에 오타가 있는건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수강평을 작성하신 다른 분들은 게시판에 질문없이 어떻게 수업을 진행하셨는지.. 좀 이해가 안가기도.. 완강까진 하지 않으신건가?) 수업에서 진행되는 환경은 맥OS였고, 저는 windows 환경이었기 때문에, 수업과 다르게 서버실행 명령어가 meteor 가 아닌 meteor.bat 이라던지. 또는, 수업과 지금의 meteor 버젼이 달라서 다르게 진행되는 문제등이 있었습니다. 그래도, 이런 문제들을 커뮤니티 게시판에 질문을 올리면, 선생님께서 답변을 하루이틀 안에 잘 해주셔서, 계속해서 수업을 이어나갈 수 있었습니다. // SMART MENU 를 만드는 섹션4부터는, 처음에는 괜찮았는데, 점점 코드가 방대해지면서, 버그가 발생할 때, 이전 코드와 차이점을 비교하는게 매우 중요했어서, 버젼관리의 필요성을 느끼고, 따로 git 을 공부하고 적용해가며 들었습니다. 각 섹션의 코드가 버그 없이 끝날때마다 branch를 만들어주고, 섹션안의 작은 챕터가 끝날 때마다 commit 을 해주면서 수업을 들으니, 섹션 12, 13 이후로 가서 버그가 발생해도 빠르게 대처할 수 있었습니다. 저같은 초보분들은 git을 따로 공부하셔서 수업에 활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또, 수업에서 디버깅관련하여, 백엔드는 terminal 창, 프론트엔드는 console 창을 확인하는 부분이 좀 더 있었으면, 저같은 초보들은 더 좋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이런건 기초적인 내용이라 수업흐름상 들어가진 않은 것 같습니다. 하지만 수업에서 git이나 디버깅 방법등에대해서 간단한 언급정도는 해주시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 자막 가림문제 > 중간중간 강의에 자막이 들어가는 영상도 있었는데, 자막의 경우 리뉴얼작업하실 때는 꼭 재생바 위로 위치하도록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멈춰서 볼 때마다 자막이 가려져요. ㅠ // 제가 수업을 진행하면서, 막혔던 부분과 사소한 오탈자등을 제보를 열심히 했었는데, 이런 부분들을 반영하여, 선생님께서 강좌 리뉴얼 작업을 23년 3월 중 진행하신다고 하시니, 이후 수업을 들으시는 분들은 더 쾌적하게 수업을 들으실 거 같습니다. // 수업 정주행을 완료하니, - 전반적인 GraphQL 의 작동 방식과 그것을 Apollo 서버에서 어떻게 운용하는지. - Svelte 를 활용해서 쉽고 빠르게 백엔드와 연결되는 프론트엔드를 구축하는지 등을 알 수 있었습니다. 열심히 들으면서, 이해는 했는데, 두세번은 정주행을 해봐야, 더 그 구조와 작동방식이 익숙해질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svelte 를 이용해서, 프론트엔드를 만드는 부분은 좀 더 공부가 필요할 거 같아서, 추가적인 학습을 좀 더 해야할 것 같습니다. react 나 vue 를 영상을 통해 구경만 해본, 초보 입장에서 잘은 모르겠지만, svelte 를 활용해 서비스를 따라 만들어보니 svelte가 쉽고 직관적으로 느껴졌습니다. svelteKit 이라는 svelte 전용 통합 프레임워크가 나왔던데, 선생님께서 이부분 강좌도 만들어주셨으면 하는 바램도 있습니다.ㅎㅎ.. 강의 내용이 정말 알차니 들어보고 싶으신 분들은 들어보시길 바랍니다.
강의 무사히 마치셔서 다행입니다. 오타나 문제있는 부분들은 일단 영상에 코멘트하는 방식으로 해서 우선 개선했습니다. 이부분 지적 감사합니다. 그리고 sveltekit관련해서도 최대한 빨리 한번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시한번 완강 축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受講レビュー 2
∙
平均評価 5.0
受講レビュー 1
∙
平均評価 5.0
5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graphql 기반으로 frontend/backed 개발하는 방법이 손에 익었고 cache, link, file upload, 인증 파트도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meteor는 처음이지만 마지막배포까지 따라하면서 사용해보니 유용한거 같습니다. 앞으로 좋은 컨텐츠 기대하겠습니다.
수강평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그럼 즐거운 코딩 하세요 :)
受講レビュー 5
∙
平均評価 4.6
¥6,533
知識共有者の他の講座を見てみましょう!
同じ分野の他の講座を見てみましょ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