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 Planners) Basic Understanding of LLM
arigaram
Describes the need for LLM, its technical background, and basic concepts.
입문
NLP, LLM, gpt
주니어 개발자가 인공지능을 개발 도구로 삼아 기획부터 코드 작성과 배포 및 검증에 이르는 전체 개발 과정을 이해할 수 있게 함으로써, AI 시대에 필요한 풀스펙트럼(Full-Spectrun) 역량을 갖춰 생존하고 발전할 수 있게 합니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풀스택 프로그래밍
인공지능을 활용한 프로토타입 제작
인공지능을 활용한 CRUD 스켈레톤 생성
클라우드 배포
인공지능이 생성한 코드의 검증, 보안성 강화, 윤리성 점검
2025.08.29
강의를 완성했습니다.
주니어 개발자가 AI 보조 도구를 실무에 바로 적용해 프로토타입 제작 → 코드 작성 → 배포 → 검증에 이르는 과정을 하나의 주기로 경험하고, 검사·보안·윤리 습관까지 갖추게 합니다. 이 과정에서 코파일럿(Copilot)이나 챗지피티(ChatGPT) 등 AI 보조 도구로 빠른 프로토타이핑, crud 스켈레톤 생성, 클라우드 배포, 검증·보안·윤리 점검 방법까지 한 번에 학습합니다.
맥킨지(McKinsey)는 “전통적 분업 모델이 풀스택(ai·전략·개발 모두 수행) 엔지니어 중심으로 바뀔 것”이라 분석합니다. 이는 기획·프로토타이핑·코드 프레임워크 작성까지 포함합니다.
McKinsey & Company (https://www.mckinsey.com.br/en/capabilities/mckinsey-digital/our-insights/enterprise-technologys-next-chapter-four-gen-ai-shifts-that-will-reshape-business-technology?utm_source=chatgpt.com)
AI가 단순 코딩·테스트 업무를 대체함에 따라, 개발자(특히 시니어급 또는 중간 관리자)는 ‘에이전트’(Agent) 성능 검증, 윤리·보안 체크, AI 출력 샘플 검토, AI 활용 최적화 등의 감독 역할을 맡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앞의 기사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이제 개발자는 그저 ‘프로그래밍’을 하는 수준을 넘어 AI 활용 기획·전략·검증 역량까지 아우르는 개발자가 되어야 합니다. 이런 개발자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지만, 저는 '풀스펙트럼 개발자'라는 용어를 제안합니다.
AI‑플래그십 엔지니어(AI Flagship Engineer)
의미: AI 기획·개발·운영 전 과정을 이끄는 ‘플래그십(대표)’ 역할 강조
AI 풀스펙트럼 엔지니어(AI Full‑Spectrum Engineer)
의미: 기획→프로토타이핑→개발→검증까지 ‘스펙트럼’ 전 범위를 커버
T‑자형 AI 엔지니어(T‑Shaped AI Engineer)
의미: 깊이 있는 AI·코딩 능력(세로축)과 폭넓은 전략·커뮤니케이션 역량(가로축) 동시 보유
AI 어그멘티드 개발자(AI‑Augmented Developer)
의미: AI와 협업하며 자신의 역량을 ‘증강(Augmented)’시킨다는 점 강조
AI 프로덕트 엔지니어(AI Product Engineer)
의미: 단순 코드 작성이 아니라 AI 기반 제품 전체 라이프사이클(기획→배포→모니터링)을 설계
인공지능을 활용해 개발할 수 있게 되면서 개발자의 역량 범위가 크게 확대되었습니다. 앞에서 살펴본 풀스펙트럼 개발자에게 필요한 역량은 거의 모든 개발 과정을 아우르는 것이어야 합니다.
1. 기획 및 전략 입안 역량
프로젝트의 가치를 이해하고, 조직 전략에 AI를 통합하는 방법을 학습
제품 기획·시장 분석·로드맵 설계 등 전반적 프로덕트 전략 수립
2. 프로토타이핑·UX·디자인 역량
사용자의 니즈를 발굴하고, 빠른 프로토타입 제작을 위한 디자인 씽킹
와이어프레임 작성, 인터랙션 설계, 사용자 테스트 방법론
3. AI 모델 개발 및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역량
딥러닝 기본 이론부터 CNN, RNN, 트랜스포머까지 핵심 모델 학습
생성형 AI와 대화형 에이전트를 효과적으로 설계·튜닝하는 기법
4. 풀스택 개발 역량
React·Node.js·Express·MongoDB를 이용한 웹 애플리케이션 제작
마이크로서비스 설계, Docker/Kubernetes 배포, 자동화 파이프라인 구축
5. 배포, 운영, MLOps 역량
모델 서빙, 모니터링, 스케일링, 재현성 보장 등 운영 자동화
AWS 기반 CI/CD 구축, 인프라 코드화(Infrastructure as Code)
6. 검증, 윤리, 보안 역량
AI 시스템의 윤리적 설계, 데이터 프라이버시·공정성 검증
클라우드 보안 모범 사례, IAM·네트워크 보안 설계
여기 나오는 모든 주제는 각기 상당한 지식이 필요한 분야입니다.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이 내용들 중에 주니어 프로그래머가 반드시 알아야 할 내용을 압축해 하루 만에 두루 이해하고 혼자서 2시간 안에 두루 연습해 볼 수 있게 했습니다. 이 강의에서는 여기 나오는 여섯 가지 대주제를 각 섹션으로 편성해서 다루면서 소주제와 관련된 핵심 지식을 전달합니다. 이를 통해서 여러분은 풀스펙트럼 개발에 입문할 수 있을 것입니다.
수강 대상
AI 보조 도구를 활용해 프로토타입과 CRUD 스켈레톤을 빠르게 생성할 수 있다.
Copilot/ChatGPT 출력물을 60~90초 검증 루틴으로 기본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Docker·Vercel·GitHub Actions의 기본 흐름을 이해하고, 간단한 배포를 직접 수행할 수 있다.
코드·테스트·프롬프트 산출물에 대해 보안·라이선스·윤리 관점에서 최소 점검을 적용할 수 있다.
1. 자바스크립트 기초 문법
변수/함수/조건문/반복문, 배열·객체 조작, 간단한 비동기(async/Promise) 개념.
검증 방법: 간단한 함수(예: 배열 필터/맵) 작성 가능.
2. HTML·CSS(기초)
기본 태그 구조, 폼 요소, 간단한 스타일 적용(클래스 사용) 정도.
검증 방법: 간단한 정적 페이지 하나 만들기.
3. Git·GitHub 기본 사용법
커밋, 브랜치, 푸시/풀, PR(간단한) 생성 방법 이해.
검증 방법: 레포지토리 생성 → 커밋 → GitHub에 푸시.
4. 터미널(명령줄) 기초
디렉터리 이동, 파일 생성·삭제, 간단한 명령 실행(예: node
, npm
) 가능.
검증 방법: 로컬에서 node
로 간단한 스크립트 실행.
5. HTTP/REST 기본 개념
GET/POST/PUT/DELETE의 의미, 요청·응답(상태코드, JSON) 이해.
검증 방법: curl
또는 브라우저로 간단한 API 호출해보기.
6. Node.js·npm 사용 경험(기본)
npm init
, npm install
, node app.js
같은 흐름 이해.
7. 간단한 React 기초(선택)
컴포넌트, 상태(state), 이벤트 처리 기본 개념(없어도 수강 가능하지만 실습에 유리).
검증 방법: create-react-app
또는 CodeSandbox로 작은 컴포넌트 만들기.
8. 간단한 백엔드 개념(Express 등) 이해(선택)
라우트와 미들웨어의 기본 역할 정도(강의에서 다루긴 함).
검증 방법: 로컬에서 간단한 express
서버 실행해보기.
9. 기본적인 테스트 개념
단위 테스트의 목적, 테스트 프레임워크(예: jest, pytest) 존재 인지.
검증 방법: 기존 테스트 하나 실행해보기.
10. 환경 변수·.env 개념 및 .gitignore 사용 습관
시크릿을 코드에 두지 않는 관행 이해.
검증 방법: 간단한 .env
파일 만들고 .gitignore
에 등록.
11. Docker 기초 개념(이미지 vs 컨테이너) — 실습 편의성↑
12. 간단한 CI/CD 개념(GitHub Actions 워크플로우 이해)
13. 클라우드 배포(Vercel 등) 계정 생성 경험 — 배포 데모 따라하기 쉬움
14. 기본 보안·인증 개념 (토큰·OAuth·API 키) — 검증·운영 파트 수월
15. AI 도구 사용 경험(ChatGPT, GitHub Copilot 등) — 필수 아님
아래 나오는 각 항목별로 1분~5분을 투자해 자신의 실력을 점검해 보세요. 이 항목들을 따라 할 수 있으면 여러분이 이 강의를 수강할 준비가 되어 있는 것입니다. 혹시 따라 하기 어렵다면 챗지피티 같은 인공지능에게 물어보세요. 그리고 아래 '선수 지식 요약 정리' 내용을 살펴보세요.
JS: 간단한 map/filter 함수 작성 후 Node로 실행(1~3분).
Git: 로컬에서 파일 수정 → 커밋 → GitHub 푸시(3~5분).
HTTP: 간단한 public API(예: https://jsonplaceholder.typicode.com/todos/1)에 curl로 요청(1분).
React(선택): CodeSandbox에서 버튼 클릭으로 텍스트 바뀌는 예제 실행(3~5분).
Node/Express(선택): npm init → npm i express → 간단한 / 라우트 실행(5~10분).
이 가이드는 수업을 듣기 전에 기본 환경과 개념(JS 기초, 터미널·Git, HTTP, Node/npm)을 빠르게 점검해 주기 위한 것입니다. (총 소요: 약 10분)
핵심 개념: 변수, 함수, 배열·객체, 간단한 비동기(Promise/async) 이해.
즉시 따라하기 (코드) — 파일 생성 test.js
:
// test.js
const nums = [1,2,3,4];
const doubled = nums.map(n => n * 2);
console.log(doubled); // [2,4,6,8]
async function foo(){
return "hello";
}
foo().then(console.log);
실행 명령:
node test.js
검증: 콘솔에 [2,4,6,8]
과 hello
출력되면 OK.
핵심 명령:
디렉터리 이동/조회: pwd
, ls
(or dir
on Windows), cd 폴더명
파일 생성/삭제: touch 파일
, rm 파일
(Windows: echo > 파일
)
명령 실행 예: node test.js
검증: pwd
/ls
로 현재위치·파일 보이면 기본 이해 완료.
핵심 개념: 로컬 저장소 → 커밋 → 원격(GitHub)에 푸시
즉시 따라하기 (최소 흐름):
git init
git add .
git commit -m "initial"
# 원격 repo는 GitHub에서 만들고 아래 URL로 교체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USERNAME/REPO.git
git branch -M main
git push -u origin main
검증: GitHub 레포에 파일이 올라오면 성공.
핵심 개념: GET/POST 등, JSON 데이터 주고받음, 상태코드(200/201/400/404 등)
즉시 테스트(예):
curl https://jsonplaceholder.typicode.com/todos/1
검증: JSON 형식의 응답이 출력되면 OK.
핵심 개념: node
로 JS 실행, npm
으로 패키지 설치·스크립트 관리
설정/명령 예시:
node -v # Node 버전 확인
npm -v # npm 버전 확인
# 새 프로젝트
mkdir myapp && cd myapp
npm init -y
npm install express
간단한 서버 구현(파일 이름: app.js):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app = express();
app.get('/', (req,res) => res.send('Hello Express'));
app.listen(3000, () => console.log('http://localhost:3000'));
실행/검증:
node app.js
# 다른 터미널에서
curl http://localhost:3000 # "Hello Express" 출력 확인
주의: 권장되는 Node 버전(예: v18)은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권장(웹 기반): CodeSandbox / StackBlitz 사용 — 별도 설치 불필요
로컬 시작(옵션):
npx create-react-app my-ui # (시간 소요)
cd my-ui
npm start
검증: 브라우저에서 http://localhost:3000
열면 기본 React 화면 확인.
node test.js
실행해서 결과가 나오나요? ✅
git
으로 커밋 → GitHub에 푸시해봤나요? ✅
간단한 curl
요청으로 외부 API를 호출해봤나요? ✅
(옵션) 로컬 express
서버에 curl
로 접근해봤나요? ✅
command not found
→ Node/npm/git 미설치 또는 PATH 문제
포트 충돌(EADDRINUSE
) → 다른 프로세스가 3000 포트 사용 중 → 포트 변경하거나 프로세스 종료
Git push 권한 문제 → GitHub 인증(토큰) 설정 필요
위 항목을 순서대로 10분 내로 훑어 보시면 강의 실습을 따라가기에 충분합니다.
Copilot/ChatGPT에 ‘템플릿 기반’ 프롬프트로 하루 1회 실습하기
산출물을 받자마자 60초 검증 루틴 적용하기
개인 레포에 .env + gitignore 정책을 적용하고 시크릿을 스캔하는 일을 주 1회 실행하기
학습 대상은
누구일까요?
개발 실무 입문자(주니어 프로그래머)로서 실무 흐름(기획→프로토타입→코드→배포→검증) 을 빠르게 체화하고 싶은 분
Copilot, ChatGPT 같은 인공지능을 개발 업무 보조 도구로 안전하게 쓰고 싶은 분
포트폴리오용 ‘작은 풀스택’ 프로젝트를 짧은 시간 안에 만들고 싶은 분
선수 지식,
필요할까요?
1. 자바스크립트 기초 문법
2. HTML·CSS(기초)
3. Git·GitHub 기본 사용법
4. 터미널(명령줄) 기초
5. HTTP/REST 기본 개념
전체
22개 ∙ (9시간 15분)
해당 강의에서 제공:
얼리버드 할인 중 (5일 남음)
₩4
50%
₩11,000
지식공유자님의 다른 강의를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