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됨
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타입스크립트(TypeScript)
section 02 타입스크립트 컴파일러 옵션 설정하기 파트에서 24분쯤 진행되는 ts-node 옵션관련 질문
Section 02의 타입스크립트 컴파일러 옵션 설정하기 파트에서 24분쯤 진행되는 ts-node 옵션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현재 node 버전은 v20.11.1 입니다. 저같은 경우는 tsconfig.json 파일이 없을 경우 강의에서 나오는 그대로의 오류가 발생합니다. 예를들어 package.json에 "type": "module"을 설정하지 않고 해당 내용까지 쭈욱 강의를 run 해왔고, 무심코 ts-node 명령을 실행시켰는데 강의 초반 타입스크립트 설정때 발생했던 ts-node에 대한 명령이 더이상 발생하지 않는것으로 확인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무식하게 하나씩 설정 조합을 확인해봤는데 package.json에 type:module 설정을 하지 않은 채 tsconfig.json을 만들어두고 {} 형태로 비워두는것 만으로도 ts-node 명령 오류가 발생하지 않네요?tsconfig.json{/* 빈 설정 */}ts-node 버전에 대한 차이로, 해당 부분에 대해서 업데이트가 진행된것인지 모르겠습니다. ts-node 버전은 v10.9.2 이며 @types/node 버전은 v22.10.5 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그냥 되면 되는갑다 하는 경우도 많겠지만... 왜 되는가? 에 대한 궁금증이 있고... 풀리지 않아 실시간 질문 남겨봅니다. 물론 tsx를 사용한다면 이부분에 대한 의문이 딱히 필요없을 수도 있겠지만, 현재 회사 프로젝트 중 백엔드(express)에서 typescript를 적용하여 사용중이며 ts-node를 사용하는것으로 알고있기에 명확하게 알아두고자 문의남겨봅니다.만약 제 질문을 통해서 강의 초반부터 현재 질문 시점의 강의 파트까지 ts-node 에러 관련 원인이 좀더 좁게 도출될 수 있다면 다행입니다. 예를들면 강의 초반부에서 tsconfig.json 파일이 없을때는 타입스크립트의 모듈 시스템이 ESM으로 인식된다. 그러나 tsconfig.json이 {} 형태로라도 빈 형태로 설정되어 있다면 타입스크립트가 CJS로 자동 적용되어, ts-module이 해당 모듈 시스템으로 적용되도록 내부적으로 처리되어있다 혹은 업데이트로 인해 오류가 방지된다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