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아키텍처와 함께하는 부하(성능) 테스트 with Locust
RPS 개념을 잘모르겠어요
20명을 동시에 테스트 했을 경우 RPS가 API 당4.96, 0.33, 0.18, 0.13, 0.08 등등 숫자가 높을 수록 좋은건가요? 0.08 등 숫자는 왜 나오는건지 이해가 안되요SequentialTaskSet 써서 시나리오 API 순차적인 처리를 해야 RPS가 균등하게 나올까요
-
해결됨아키텍처와 함께하는 부하(성능) 테스트 with Locust
강의자료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 듣기 시작했는데 강의자료는 따로 없는 거죠? PDF 파일이나, 사이트 등
-
해결됨아키텍처와 함께하는 부하(성능) 테스트 with Locust
비동기 테스트가 필요한 경우가 따로 있는건지 문의드립니다.
문의사항부하 테스트에서 비동기로 해야 하는 특정한 상황이 있는 건지??비동기 테스트의 장점과 단점은 어떤게 있는 건지???
-
해결됨아키텍처와 함께하는 부하(성능) 테스트 with Locust
테스트 대상 웹 페이지 비 정상 노출 상태 문의 건
안녕하세요 현재 https://github.com/Nanninggu/Locust-App 이 주소에서 부하 테스트 대상 웹페이지를 기동 시킨 후에 아이디와 비번을 입력 후 로그인 시 캡처된 화면처럼 "No static resource" 라는 문구가 노출되는 흰 페이지만 노출되고 있어 문의드립니다.
-
해결됨아키텍처와 함께하는 부하(성능) 테스트 with Locust
성능 병목 지점 확인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강사님 성능 병목 지점을 확인하는 방법 관련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강의 내용에서는 강제로 time.sleep(5)를 삽입하여 전과 후를 비교하기 때문에 어디가 병목인지 예상을 하며 결과를 보기 때문에 그나마 응답시간이나 RPS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요 일반적으로 개발 후 테스트 할 때는 순수하게 결과만으로 병목지점을 찾아야 하는데 (일부로 병목지점을 넣은게 아니라면), 결과 값만 가지고 병목지점을 찾는 내용은 따로 없을까요 ? (혹시 병목지점을 찾는 강의 내용은 성능 병목 지점 만들고 결과 분석 강의의 수업노트에 있는 내용이 다인걸까요?)성능 병목 지점 만들고 결과 분석 강의의 수업노트를 보면 TPS 분석이 있습니다. Locust도 TPS를 측정한게 있나요 ? RPS만 보여서요.감사합니다.
-
해결됨아키텍처와 함께하는 부하(성능) 테스트 with Locust
부하 테스트 Tool로써 Locust를 선택하신 이유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부하(성능) 테스트의 중요성 강의 초반에 강사님께서 JMeter보다는 Locust를 선택하신 이유에 관해서는 조금 이야기를 해주셨는데요 제 생각에는 요즘 자바 개발자들 사이에서는 JMeter보다는 Ngrinder가 더 유명한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혹시 Locust를 선택하시기 전에, Ngrinder에 대해서도 부하 테스트 Tool로써 고려를 하셨는지그리고 만약에 NGrinder에 대해서도 고려를 하셨다면, 혹시 Ngrinder를 선택하지 않으신 이유에 대해서도 조금이나마 들어볼 수 있을까요 ?? (※개발자는 여러 기술 스택 중에 자기의 상황에 맞춰서 기술 스택을 잘 선택하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제가 아직 주니어 개발자라 이런 기술 스택을 선택함에 있어서 어떤 점들을 고려해야 하는지 조금 더 배우고 싶어서 시니어 개발자이신 강사님에게 해당 질문을 하게 됐습니다. 🙇♂)
-
미해결Slack 클론 코딩[백엔드 with NestJS + TypeORM]
유닛 테스팅하기, MockRepository는 믿을만 한가요?
너무 밑도 끝도 없는 질문이라 죄송합니다. Repository의 logic에서 핵심이 되는 logic을 뽑아서 가짜 MockRepository를 만들고 사용하면, 사실 실제 코드랑 테스트 코드랑 달라질 우려가 있지 않나요?그건 감안하고 해야 하는 부분인가요?실제와 비슷한 수준으로 만들 수 있으면 좋겠지만, 그건 말씀하신대로 어려울 거 같고, 자칫하다가는 자기만족으로 끝날까 하는 노파심에 말씀드립니다. 또, 테스트 용도의 DB를 하나 더 만드는 것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이런 경우는 없나요?DB를 그대로 쓰는 쪽이 더 안전하다고 생각하는데, 현업에서는 보기 힘든 경우인지 여쭤보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