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9: MMO 컨텐츠 구현 (DB연동 + 대형 구조 + 라이브 준비)
DummyClient cpu스펙 질문있습니다.
역시 게임 로직을 단일 쓰레드 하나가 처리하려고 하다보니 제 PC환경에서는 몬스터가 300마리 플레이어가 300마리 때부터 엄청나게 느리거나 잡큐가 밀려서 패킷이 안올때도 있는데요. 역시 AStar가 가장 무거운 함수이더라구요. 일단 300,300도 UpdateMove를 async함수로 만들어서 PathFind하는 부분만 Task await로 던지는 식으로 함수 수정하고 멀티 쓰레드 환경에서 새롭게 크래쉬나는 부분들은 널체크 및 lock으로 안정성을 올려놨더니 일단 크래쉬는 안나는것 같습니다만... 그래도 너무 궁금한것은 제 cpu가 인텔 i7-14700k인데, 루키스님환경에서는 1000명도 버티던데 왜이렇게 차이가 나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단일 쓰레드가 약한 모델이라서 그런건지...혹시 촬영당시 cpu사양이 어떤 제품으로 사용하셨을지 궁금합니다 ㅠㅠ...
-
미해결메린이가 좋아하는 랜덤게임 만들기
Only는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함수마다 Server, Client를 구별하는 이유는 이해가 가는데 Server Only 와 Client Only는 왜 필요한지 잘 이해가 되지 않네요..
-
해결됨[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7: MMO 컨텐츠 구현 (Unity + C# 서버 연동 기초)
리슨서버(호스트)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루키스님.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중 리슨서버를 구현해보려고 하는데 몇 가지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리슨서버를 구현하려면 서버 코드를 모두 클라이언트에 이식하고, 컴포넌트로 관리할 수 있도록 수정해야 하나요?만약 1의 가정이 맞다면, 1을 통해 구현된 서버에서 유니티엔진의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되는데, 만약 된다면 충돌과 관련된 부분을 처리하는데 활용해도 괜찮을까요?유니티 자체에서도 네트워크를 관리해주는 매니저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고있는데, 강의처럼 따로 서버를 구현하는 이유는 역시 성능 때문일까요? 현재 생각 중인 방식이 어몽어스와 유사한데요.중앙 서버에서 방을 생성하는 유저(호스트)들의 ip와 방 정보를 가지고 단순히 방 목록을 관리하며 클라이언트들이 접속할 수 있는 역할만 해주고, 클라이언트가 방에 접속하는 순간부터 모든 처리는 호스트가 하게되는... 구조가 맞을까요? 최근 들어 질문을 자주하게 되는 것 같은데..항상 친절히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자바 기초부터 마스터하기 with 은종쌤 (Do it 자바 프로그래밍 입문) - Part 2(마스터편)
awt 패키지 접근 불가 에러
이클립스 17버전 쓰고 있는데 여기서 java.awt 패키지가 not accessible하다는 에러가 뜹니다! 혹시 업그레이드를 하거나 추가로 확인해봐야 할 사항이 있을까요?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서버 속도가 너무 느린데 비정상인가요?
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아니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로컬에서 서버로 요청했을 때 일단 제가 본 모든 요청에서 Waiting for server response가 2s가 초과되는데요. 영한님 강의에서 보통 100ms 안쪽으로 모두 실행되더라구요.. m1 mac 렘 8GB 깡통 모델 사용하는데 노트북이 안좋아서 그런가요?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노드, 리액트 시리즈 - 기본 강의
client에서는 userid를 보낸 적이 없습니다....!
logout과정에서 질문이 있습니다. 로그인을 할때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res .cookie("x_auth", user.token) .status(200) .json({ loginSuccess: true, userId: user._id });이렇게 json 형식으로 성공여부와 user_id값을 보냅니다. 로그아웃을 할때는 axios로 /api/users/logout" 에 요청을 보내기만 합니다. 그리고 server는 req로 user_id값을 받아서 로그아웃을 진행합니다. client에서는 userid를 보낸적이 없는데 서버는 어떻게 req를 통해 user_id에 접근할 수 있나요? client는 로그인시에 서버에서 json으로 데이터를 받았는데 이것은 어디에 저장되는 것인가요? 또한 저장되는 공간은 누가 정하게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스토리지 종류가 여러가지 인데 말이죠.확인해보니 local storage, session storage, lndexeddb등은 다 비어있고 쿠키에만 x_auth가 저장되어있습니다. 음... 브라우저가 알아서 보내주는 건가요..?
-
미해결
gradle build 중 complieJava 멈춤현상
안녕하세요. ec2 로 인스턴스를 생성 후 git 에 있는 springboot 기반의 프로젝트를 clone 후 .jar 로 배포를 시키려던 참이였습니다. ec2에는 openjdk11, mysql-server, git 설치 후 clone을 진행하고, 프로젝트 내부에 gradlew 파일에 chmod로 777 권한을 주고 build 를 진행시켰습니다. 보통 전에 하던 프로젝트는 빌드시간이 1분채 걸리지 않았는데, build 중에 complieJava 에서 지금 45분째 넘어가지 않고, 서버가 멈춘듯 합니다. 어떤 문제를 살펴봐야 할까요?
-
미해결웹 게임을 만들며 배우는 React
webpack server(localhost:8080)에서 Cannot Get / 만 나옵니다.
안녕하세요 제로초님,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공식 문서도 찾아보고 하루종일 고민했지만 , 도저히 해결하기 어려워 문의 남깁니다. 2강 '웹팩 데브 서버와 핫 리로딩' 부분을 보고 따라하면서 서버를 켰지만, 화면에 Cannot Get /이라는 메세지만 띄워진 채, 다른 내용이 출력되지 않았습니다. 아마 제 생각으로는 위의 사진에서 Project is running at이 비워진 탓인것 같은데, 어떻게 고쳐야할지 모르겠습니다.혹시 해결 방법을 알고 계신다면 알려주세요! 아 그리고, 코드는 아래의 해당 부분을 빼고 모두 동일합니다. devServer: { static: { publicPath: "/dist" },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노드, 리액트 시리즈 - 기본 강의
aws에 s3 버킷으로 client 빌드된것을 배포할때 proxy가 안먹히거나 405에러가 뜨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현재 강의를 듣고 만든프로젝트를 서버는 EC2에 클라이언트는 S3로 배포를 하였고 프록시서버를 EC2로 배포한 url로 타겟을 설정해주었는데요. 로컬에서 클라이언트를 실행해서 ec2서버로 요청은 가능하지만 s3로 배포한 뒤 클라우드로 정적호스팅된 사이트에서 ec2로 요청은 405에러가 나오는데 proxy가 안먹히는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