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견고한 결제 시스템 구축
seed 키 및 orderId 에 대한 질문
seed 키 값으로 LocalDateTime.now 로 설정하면 어차피 사용자가 연속으로 클릭을 한다고 해도 중복값으로 들어오지 않게 되는것 아닌가요?그러면 결론적으로 자료에서 설명하신 결제버튼을 누른만큼 Checkout API 가 호출되는것이 아닌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견고한 결제 시스템 구축
결제 이후 404 Error 발생
토스페이 결제 후 아래 사진과 같은 404에러가 발생합니다.PaymentController의 @RequestMapping("/v1/toss")를 주석 처리 후 실행하면 결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집니다. 강의를 잘 따라갔다고 생각했는데 어디서 문제가 발생했을지 알 수 있을까요?Html파일 경로는 "src\main\resources\templates" 입니다.
-
미해결견고한 결제 시스템 구축
테스트 코드 중 isPaymentDone 변환
안녕하세요.테스트코드 작성 중 아래 파싱하는 부분 관련하여,as Byte -> toInt 변환 도중 에러가 발생합니다..DB스키마 DDL의 경우, boolean -> tinyint(1) 로 생성된것으로 보이는데,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class java.lang.Boolean cannot be cast to class java.lang.Byte (java.lang.Boolean and java.lang.Byte are in module java.base of loader 'bootstrap')java.lang.ClassCastException: class java.lang.Boolean cannot be cast to class java.lang.Byte (java.lang.Boolean and java.lang.Byte are in module java.base of loader 'bootstrap')```isPaymentDone = ((results.first()["is_payment_done"] as Byte).toInt()== 1),
-
미해결견고한 결제 시스템 구축
가상의 Checkout 기능 구현 중 질문
가상의 Checkout 기능 구현 문의 질문드립니다. (13:40~)R2DBC 를 사용해본 적이 없어서실습환경 제약으로 강의 흐름따라 코드만 보다가 궁금한게 있는데요. 1) save 인터페이스가 JDBC 처럼 반환값 Intger(or Long 등 Number) 가 기본일까요? 2) func save 반환값으로 Mono<Void> 반환하는데, JPA Repository 인터페이스의 save 처럼 save 된 객체( JPA의 Entity 에 해당 )에 대해 updated 값이 반영되게 되나요? 강의에선 따로 domain 과 DB dto(or entity) 구분을 안해서가령, updated_at 이나 created_at 컬럼 값을 갖는 경우, DB default timestamp 로 부여될 건데, call by value 로 DB 로 전달된 객체의 필드 값이 자동 갱신처리되기 때문에Mono<Void> 반환이 CRUD 의 일반적인 패턴인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견고한 결제 시스템 구축
docker Mysql 설정 문의
강의 초반 [5. 실습준비] 환경 설정과정에서docker mysql 설치환경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1) vm 환경에서 linux 띄우고 그 vm 환경에서 docker mysql 실행ex) lima 등 서드파티 설정 후, 리눅스 환경에서 docker 설정 또는 macOS 에 그냥 도커 설치 후, 로컬 환경에서 컨테이너 실행? macOS 가 docker 랑 직접 호환되는건 아니라서 다른 vm 을 쓰는건 마찬가지긴한 것 같네요.[참고]`docker desktop` 의 유료 라이센스화로 실습환경(회사 PC 등) 에 따라 라이센스 이슈로 사용이 불가한 경우가 있어서테스트 구축 환경이나 참고할 레퍼런스가 있을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견고한 결제 시스템 구축
allOpen 설정이 잘못된 거 같습니다.
3.x 로 import 는 jakarta.* 로 되어있는데gradle 설정은 2.x 인 javax.* 로 되어있네요.
-
미해결견고한 결제 시스템 구축
recovery 동시성 처리 관련 문의
recovery() 를 스케줄로 구현한 부분에 있어서 궁금증이 있습니다.설명에도 언급 되었듯이 k8s 환경과 같이 scale-out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하면 동시성 이슈가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단순하게 하나의 unknown order 만 생성해서 테스트로 갈음하기에는 검증이 부족하다고 느껴지는데, 동시성 검증은 어떻게 진행하셨을까요?
-
미해결견고한 결제 시스템 구축
confluent > skip 이 더이상 안되나봅니다.
이게 이제는 skip 으로는 안되나보네요..ㅎㅎ
-
미해결견고한 결제 시스템 구축
강의 클론 코딩한 것 public repo에 올려도 되나요?
강의 들으면서 해당 코드를 자바로 따라쳐보고 있는데요따라친 코드를 개인 gihub repository에 공개로 올려도 될까요?
-
미해결견고한 결제 시스템 구축
멱등키에 request를 넘기는 것
uuid만을 사용해도 충분히 유니크할 것 같은데 request 자체를 넘겨서 어떻게 사용하는 건가요?
-
미해결견고한 결제 시스템 구축
동시성 제어 (optimistic locking) 재시도 부분 질문 드립니다.
동시성 제어를 optimistic 방식으로 구현을 하시고 retry 를 직접 구현하셨느데요- 혹시 직접 구현하지 않고스프링 @Retryable 을 이용안하신 이유가 있으실까요? @Retryable을 하면 더 간단하게 재처리가 가능할것 같아서요~!
-
미해결견고한 결제 시스템 구축
결제 복구의 세부 과정을 병렬로 처리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십니까 여정민 강사님! 강의 도중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 드리고자 합니다. 질문은 12:32 초의 코드를 보면package com.example.paymentservice3.payment.application.service import com.example.paymentservice3.payment.application.port.`in`.PaymentConfirmCommand import com.example.paymentservice3.payment.application.port.`in`.PaymentRecoveryUseCase import com.example.paymentservice3.payment.application.port.out.* import org.springframework.scheduling.annotation.Scheduled import reactor.core.scheduler.Schedulers import java.util.concurrent.TimeUnit class PaymentRecoveryService ( private val loadPendingPaymentPort: LoadPendingPaymentPort, //결제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의 결제를 조회 하기 위해 private val paymentValidationPort: PaymentValidationPort, //결제 유효성 검사 private val paymentExecutorPort: PaymentExecutorPort, //결제 승인 요청 private val paymentStatusUpdatePort: PaymentStatusUpdatePort //결제 상태 업데이트 ) : PaymentRecoveryUseCase { @Scheduled(fixedDelay = 180, timeUnit = TimeUnit.SECONDS) override fun recovery() { loadPendingPaymentPort.getPendingPayments() .map { PaymentConfirmCommand( paymentKey = it.paymentKey, orderId = it.orderId, amount = it.totalAmount() ) } .parallel(2) .runOn(Schedulers.parallel()) .flatMap { paymentValidationPort.isValid(it.orderId, it.paymentKey).thenReturn(it) } .flatMap { paymentExecutorPort.execute(it) } .flatMap { paymentStatusUpdatePort.updatePaymentStatus(PaymentStatusUpdateCommand()) } } }위와 같이 작성되어있는데 여기서결제 유효성 검사결제 승인 요청결제 상태 업데이트위 3가지 기능 수행을 병렬로 처리한 이유가 궁금합니다.강의에서 언급된 이유로는 "각 작업 간의 수행 순서가 중요하지 않은 작업들은 병렬로 처리하여 전체 처리 시간을 단축" 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제가 생각했을 때는 유효성 검사에 성공하면 결제 승인을 요청하고 결제 승인 요청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결제 상태 업데이트가 수행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되어 병렬처리를 하는 부분에 있어 타당함을 잘 모르겠습니다. 제 짧은 견해로는 결제 유효성 검사결제 승인 요청결제 상태 업데이트위 순서를 지켜 수행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였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강사님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p.s. 좋은 강의를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여태 수강한 강의 내용들이 모두 새로워 덕분에 공부할 부분을 많이 찾게 되어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좋은 강의를 만들어주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화이팅!
-
미해결견고한 결제 시스템 구축
전체적인 헥사고날 아키텍쳐 설명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제공해 주신 코드를 분석해 보고있는데요,구현한 헥사고날 아키텍쳐에 대한 다이어그램이나 설명이 있으면 이해하기 쉬울것 같은데 혹시 작성하신 게 있으실까요? 예를들어서, 이런 부분의 코드는 어디서 메시지를 가져오는지 intellij 로 검색해봐도 나오질 않아서요.package com.example.paymentservice2.payment.adapter.`in`.stream @Configuration @StreamAdapter class LedgerEventMessageHandler ( private val paymentCompleteUseCase: PaymentCompleteUseCase ) { @Bean fun ledger(): Function<Flux<Message<LedgerEventMessage>>, Mono<Void>> { return Function { flux -> flux.flatMap { message -> paymentCompleteUseCase.completePayment(message.payload) .then(Mono.defer { message.headers.get(KafkaHeaders.ACKNOWLEDGMENT, ReceiverOffset::class.java)!!.commit() }) }.then() } } } 그리고, adapter 내부의 in, out 폴더와 application 내부의 in, out 폴더의 차이점은 뭔가요?? P.S 수준 높은 코드라서 매우 좋습니다. 다른 강의도 이정도 수준이면 수강할 것 같습니다. 타강사님들의 강의는 쉬운것들이 많아서 경쟁력이 있으신것 같아요.
-
미해결견고한 결제 시스템 구축
주문, 결제 로직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이커머스를 기반으로 가정하고 사용자의 결제가 진행되는 과정을 정리했을 때 다음과 같이 고려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단일 구매 혹은 장바구니를 통해 결제 페이지로 이동결제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필요한 데이터를 작성한 후 결제하기 버튼을 클릭백엔드 서버는 해당 결제 요청으로부터 PSP에게 결제 진행을 요구하기 위해서 요청을 보내고 토큰과 같은 형태로 받아옴토큰을 사용자에게 반환한 후 사용자가 결제를 진행결제가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을 경우 백엔드 서버는 결제 승인 요청을 PSP로 전송결제 승인 응답이 돌아오면 결제 완료이커머스는 상품의 유효성 검증은 2번과 3번 모두 검증한다고 해도 재고 감소와 같은 로직 및 주문 번호를 생성하는 로직은 어느 시점에 두어야 될 지 고민이 됩니다.재고 수량의 감소를 3번에서 진행하는 것으로 고려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결제 페이지로 사용자가 결제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하고 재고가 부족하다는 입력을 받을 수 있어서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 안좋을 수 있다고 생각이 되긴 합니다. 하지만 2번에서 진행할 경우 재고를 결제 페이지로 이동할 때 감소시켜야 하기 때문에 실제로 결제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는 많은 상황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 또한 고려해야 되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어떤 시점에 재고를 감소시키는 것이 좋을지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추가적인 질문으로 현재 강의에서 진행하고 있는 결제 이벤트를 DB에 반영하는 시점이 정확히 어떤 시점인지 헷갈립니다. NOT_STARTED 상태로 저장되는 시점이 결제 페이지로 이동하는 시점인지 아니면 결제 구매 버튼을 누른 시점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견고한 결제 시스템 구축
주문 번호 생성 방식 관련 질문 있습니다
현재 주문 번호를 생성하는 방식은 결제 페이지로부터 들어오는 데이터들을 이용해서 그것을 String 형태로 변형해줌으로써 모든 요청들이 같은 형태의 String Key값을 가지게 되고 그것을 주문 번호로 사용하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주문 번호의 경우 쿠팡이나 다른 이커머스사들을 확인해보면 숫자 혹은 거기에 문자정도로 생성되어 있고 결제 완료시 주문 번호를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이와 같은 방식으로 주문 번호를 생성하려면 위와 같은 방식이 아닌 별도의 로직을 통해서 주문 번호를 생성해야되며, 요청이 1번만 처리되기 위해서 Unique한 값으로 생성되어야 됩니다.현재 제가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에서는 결제 페이지로 사용자가 진입했을 때 주문 번호를 특정 로직을 통해 Unique한 값으로 생성해주고 DB를 확인하고 Redis에 기록하는 절차를 진행하여 멱등성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진행하다 보니 주문 번호를 생성하기 위해서 DB에 쿼리를 1회 이상 날리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진행하는 것은 안좋은 형태일까요?
-
미해결견고한 결제 시스템 구축
R2DBC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R2DBC로 실습 환경을 구축해주셨는데요. R2DBC 이용하면서 DatabaseClient 를 이용해주셨는데요.혹시 Jooq 를 이용안하신 이유가 있을까요?그리고 실무에서도 DatabaseClient 를 이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추가로 DatabaseClient 를 사용시에 동적 쿼리를 어떻게 작성을 해야 하는지 팁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where 절 고정이 아닌 특정값이 있을 경우에만 where절 생성 이라던지 ㅎ ) 감사합니다!
-
미해결견고한 결제 시스템 구축
payment 상태 업데이트 변경 메서드를 3개나 두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강의 30분 40초에 보시면 success, failure, unknown 이렇게 상태를 변경하면서 메서드를 3개나 두시는데 이유가 궁금합니다. 만약 jpa나 querydsl을 사용한다면 코드가 달라질까요?
-
미해결견고한 결제 시스템 구축
'더 견고해지기 위해 남은 작업' 수업자료
안녕하세요.다운로드한 수업자료에 '더 견고해지기 위해 남은 작업' 과 관련된 pdf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ㅠㅠ다른 질문글을 봤을땐 notion URL 를 제공했다고 하는데, 혹시 notion URL를 안내해주는 챕터가 어디일까요?더이상 Notion URL을 제공하지 않는다면 강의자료에 첨부해주실 수 있을까요?강의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견고한 결제 시스템 구축
혹시 코드 리뷰 신청해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강의 너무 잘 봤고 강의에서 학습한 내용을 사이드 프로젝트에 적용했는데요! 뭔가... 찝찝하고... 리팩토링을 어떻게 해야할지 잘 모르겠어서요...당연히 보수는 드릴 예정입니다! 고려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견고한 결제 시스템 구축
코틀린 선택 이유
실습 코드가 코틀린으로 작성해주셨는데 자바가 아닌 코틀린을 선택하신 특별한 이유가 있으신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