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해결
설계독학맛비's 실전 Verilog HDL Season 2 (AMBA AXI4 완전정복)
KV260으로 실습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신규 보드로 zybo z7-20을 사는 것은 비효율적입니다.비슷한 가격으로 스팩이 5~10배 이상 좋은 kv260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다만 자료가 부족하여 보드를 구매할 때 망설이는 부분이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하지만 zybo z7에는 없는 ultra 램과 4GB의 ddr4램 10만개 이상의 LUT과 20만개 이상의 FF, 1280개의 DSP는 석사 레벨 혹은 박사 레벨의 프로젝트도 무리 없이 수행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저도 verilog season1 수강을 할 때도 kv260으로 고생하면서 들은 기억이 납니다. verilog season 2 dma를 실제로 올리고, 작동까지 확인하는 것을 보고 나서, 이제는 다른 수강생들에게 저의 경험을 공유해도 될 것이라고 생각해서 이 글을 올립니다.저의 vivado 환경은 ubuntu 24.04 vivado 2024.1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윈도우 환경에서는 vitis 빌드가 되지 않는 치명적인 버그가 있어서 vivado를 사용하는 분들이면 마음 편하게 SSD를 하나 더 사셔서 듀얼 부팅 환경을 만드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UART 연결하기KV260의 UART는 zybo z7-20과 다르게 36, 37번 pin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IO의 기본 voltage가 1.8V로 되어있으므로 이 부분은 수정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이 화면 그대로 따라하면 될 것 같습니다. jtag bootkv260의 기본 boot setting은 qspi boot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kv260의 치명적인 단점은 external boot selector switch가 없는 것입니다. jtag boot를 위해서 다음의 문서를 참조했습니다.https://xilinx.github.io/kria-apps-docs/creating_applications/2022.1/build/html/docs/bootmodes.html이 환경에서 따로 boot_jtag.tcl파일을 만드신 다음xsct console에서 connecttargetsource .. boot_jtag.tcl파일 위치boot_jtag를 순서대로 입력하면 jtag boot로 변합니다. 이 두가지만 해결하시면 kv260으로도 충분히 수강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또 kv260에는 100mhz clock이 정확히 안돠고 99000001 이런식으로 클록이 나오는데 이는 에러 코드에 나오는 클록을 그대로 복사 붙여넣기 하시면 해결이 됩니다.DDR3 메모리가 점차 단종 수순을 밟으면서 zybo z7-20도 단종될 것 같습니다. KV260을 사고 싶었는데 자료가 없어서 망설이시는 분을 위한 좋은 길잡이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