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Arm 아키텍처: 가상화(Virtualization) [저자직강 3부-2]
하이퍼바이져 스택
안녕하세요, 하이퍼바이져 단으로 컨트롤이 넘어 오면 프로세스 스택을 쓰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커널에서 그렇게 하는 것 처럼)아예 새로 만들게 되나요?
-
미해결Arm 아키텍처: 가상화(Virtualization) [저자직강 3부-2]
하이퍼바이져
하이퍼바이져 단의 페이지테이블은 mapping 을 다시한다. 즉, os 단에서 할당해준다고 한 physical memory 는 hypervisor level 에서 보면 가상메모리가 된다.라고 이해하면 되나요? 속도가 많이 느려질 것 같긴 하네요..
-
미해결Arm 아키텍처: 가상화(Virtualization) [저자직강 3부-2]
exception handler 주소
안녕하세요, exception handler 에서 vectors: 라고 붙어있는태그의 주소는 가상주소인가요? 0xFFFF .. 로 시작하는 것으로 보아 가상주소 같은데, 그런데 만약 page fault 가 나게 되면 exception handler 를 실행하는데 시간이 추가로 더 걸려서 좋지 않을 수도 있지 않나요?
-
미해결Arm 아키텍처: 가상화(Virtualization) [저자직강 3부-2]
virtualization 예시
안녕하세요, virtualization hypervisor 도 보통 context switching 기능을 탑재하고 있나요? 자동차 쪽에서 많이 사용된다고 하는데, 어떻게 전환이 되는지 잘 연상이 안 되네요 계기판, 네비게이션 예시를 드셨는데, 계기판 같은 경우 RTOS 구현이 되게 되면 Virtualization context switching 기능이 있으면위험성이 있을 것 같습니다. 또 계기판 기능을 돌다가 네비게이션이 작동하면 계기판이 안돌아서 위험할 것 같은데요..
-
미해결Arm 아키텍처: 가상화(Virtualization) [저자직강 3부-2]
exception handler
exception handler 는 어느 공간에서 실행될까?를 듣고 hypervisor, trusted zone 을 듣고 나니일단 process 가 EL0 에서 실행되고 있었을 때 에는 프로세스 공간에서 스택에 쌓아 나간다는 사실(이게 프로세스 스택인가요, 커널 스택인가요?)을 알았는데요, 이 때 과연 hypervisor , trusted zone 의 level EL2, EL3 에서는 어떻게 처리가 되는지? 궁금해졌습니다.EL0 -> EL1 의 흐름에서는 유저 프로세스 스택에서 다 담을 수 있다고 해도, EL1 이나 EL2, EL3 가 관여하게 되면 프로세스라는 개념이 사실 커널(EL1) 단에서 에러 처리한다는 개념하고는 조금 달라져야 할 것 같아서요,
-
미해결Arm 아키텍처: 가상화(Virtualization) [저자직강 3부-2]
WFE, WFI, HVC
3가지 EL2 로 가는 instruction 이 있다고 했는데요,이 세 가지는 굳이 왜 나누었고,(찾아보니 이 질문은 동 강의 "트랩 명령어 질문" 에 나와 있네요)또 WFE, WFI 에 저전력 기능이 왜 같이 포함되어 있는지 궁금합니다.추가로 저전력모드가 hypervisor 모드 관련해서만 있는 것 같은데 하드웨어적으로 무슨 연관이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Arm 아키텍처: 가상화(Virtualization) [저자직강 3부-2]
virtualization
안녕하세요, 가상화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가상화를 하드웨어 단에서 지원을 해준다는 것은, 여러가지 지원을 해준 다는 의미인 것 같습니다. hypervisor 에서 os 를 바꿀 때 각 os 별로 메모리 공간을 관리해주어야 하는 데, 각 os 는 다른 os 의 존재를 모를 테니 마치 context switching 하는 것 처럼 모든 os 의 정보를 백업하고 스위칭 해야 할 것 같은데요.. 이것을 hypervisor 에서 구현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Emulator 에러
현재 2주간 해결이 되지 않아 시작조차 못하고 있어 질문드립니다ㅠㅠ에러명 : "Emulator: Pixel 2 API 30 - Emulator terminated with exit code -1073741515"아래는 제가 이때까지 시도했던 조치 방안들 입니다..조치 방안Path 설정 (사용자명은 블러처리 되어있으나 영문입니다.)- Sdk, avd, flutter Path 설정 - 변수 3가지 추가(구글링 중 해당 내용이 있어 추가해보았습니다..)SDK Tools 설치- CPU가 AMD Ryzen 5 7500F로 SDK Tools에서 "Android Emulator Hypervisor Driver for AMD Processors (installer)"를 찾아봤으나 없음 Hypervisor 체크박스- BIOS에서 SVM 모드 활성화(Enabled)- 아래 Windows 기능 켜기/끄기 → Windows 하이퍼바이저 플랫폼, 가상머신 플랫폼(구글링 시, 체크박스 on/off에 대한 말이 달라 체크박스 on/off 둘다 시도 해봄)이 외에도 Android Studio 재설치, Flutter doctor 확인 후 필요 프로그램 재설치, 환경변수 Path 재설정..심지어 포맷까지 하고 모든 파일을 재설치 해보았음에도 해결되지 않고 있습니다.. 혹시 해결방법을 알고 계시다면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ㅠㅠ
-
미해결Arm 아키텍처: 가상화(Virtualization) [저자직강 3부-2]
hypervisor위에 IPC는 어떻게 작동되는지 궁금합니다.
hypervisor 위에 두개의 다른 guest os가 있다면, 그때, 각 guest os에서 서로 다른 app이 실행되는데 어떤 메커니즘으로 서로의 app은 inter process communication이 가능한가요?그리고 inter process communication에서 대표적인 model이 공유 메모리 이용, message passing이 있다고 하는데, 두 방법 모두 사용 가능한지도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Arm 아키텍처: 가상화(Virtualization) [저자직강 3부-2]
EL1 IRQ??
안녕하세요! 강의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궁금한 사항이 있어 문의 남깁니다. 강의 중간에 "EL1의 guest OS가 처리해야하는 irq를 Hypervisor에서 hooking을 해서 처리하게 할 수 있다" 라고 하셨는데요, EL1의 irq라는게 무슨 뜻인가요??? 제가 이해하기로는 EL1에서 코드가 수행하고 있을때 irq가 발생하는걸 뜻하느거 같습니다. 제가 이해한게 맞나요??아니면 irq마다 EL1 irq EL2 irq와 같이 처리해야하는 EL이 정해져있나요???
-
미해결Arm 아키텍처: 가상화(Virtualization) [저자직강 3부-2]
익셉션 모델을 이용한 하이퍼바이저를 구현 질문
안녕하세요.익셉션 모델을 이용해서 하이퍼바이저를 구현하는 방식말고 다른 방법,모델로 하이퍼바이저를 구현하는 방법이 더 있는지 문의드립니다.익셉션 모델을 이용해서 하이퍼바이저를 구현한다라는 포괄적인 의미가 잘 이해되지 않아서 이런 질문이 발생한 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Arm 아키텍처: 가상화(Virtualization) [저자직강 3부-2]
lower exception level 핸들러 질문
다음 두가지중에 어떤 것이 맞는지 문의드립니다.1. wfe, wfi, hvc를 이용해서 guest exit을 했을때 익셉션이 발생하면 synchronous 익셉션 주소로 분기2. wfe, wfi, hvc를 이용해서 guest exit을 하면 무조건 synchronous 익셉션 주소로 분기
-
미해결Arm 아키텍처: 가상화(Virtualization) [저자직강 3부-2]
익셉션 벡터 테이블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 내용을 다음과 같이 이해했는데 맞는지 문의드립니다. "현재 하이퍼바이저 모드(EL2)가 동작하는 시스템인데, 게스트 OS 커널(EL1)에서 Synchronous 익셉션이 발생하면 VBAR_EL2 + 0x400 으로 PC를 설정한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Arm 아키텍처: 가상화(Virtualization) [저자직강 3부-2]
트랩 명령어 질문
안녕하세요.HVC, TWI, TWE 명령어에서 각각의 용도 및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즉 어떤 상황에서 HVC, TWI, TWE가 사용하도록 권장되는지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