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도커와 CI환경 [2023.11 업데이트]
WINDOW + Vite를 사용하여 소스 코드 변경이 반영되지 않는 현상
vite를 사용하여 리액트를 생성하는 경우는 CRA를 통한 리액트 생성하는 방법과 다른것 같습니다.vite.config.js에서 옵션 추가하고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동작합니다!import { defineConfig } from "vite"; import react from "@vitejs/plugin-react"; // https://vite.dev/config/ export default defineConfig({ plugins: [react()], server: { host: true, // start 옵션 추가 watch: { usePolling: true, }, // end 옵션 추가 }, });
-
해결됨Git & GitHub, 원리부터 차근차근 - 근본깃 [기초편]
강의 마지막에 언급하는 '다음 강의'란?
안녕하세요, geek님. 강의 끝까지 잘 들었습니다.해당 강의가 근본깃-기초 편의 마지막 강의인데, 영상이 끝날 때 "다음 강의에서는 이를 활용하여 동료와 협업하는 방법에 대해서 배운다" 라고 언급하셨더라고요.이때의 '다음 강의'는 근본깃-완성 편으로 이해하면 될까요?
-
해결됨Git & GitHub, 원리부터 차근차근 - 근본깃 [기초편]
3-way merge에서의 conflict를 해소할 수 있는 4가지 방법
안녕하세요, geek님.영상 16:55~ 부분에서 설명해주시는 conflict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다음 네 가지를 설명해주셨습니다.main 브랜치 쪽 diff를 더한다. test 브랜치 쪽 diff를 더한다. (선택됨)둘 다 더한다.둘 다 더하지 않고, 아예 다른 내용을 적는다.그리고 예제에서는 2번 방식을 선택해주셨고, 이에 따라서 머지 커밋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base(red) + main 최신 커밋과의 diff(green) + test 최신 커밋과의 diff(blue)즉, 3개가 더해져서 만들어지는 커밋인데요. 이로 인해 3-way merge라는 이름으로 불린다고 이해했습니다.여기서 질문이 생기는데요.만약 1번 방식을 선택한다면, 머지 커밋이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base(red) + main 최신 커밋과의 diff(green)즉, 2개가 더해져서 커밋이 만들어집니다.그런데 앞서 말씀하신 내용을 고려하면 머지의 세부 명칭(예를 들어 3-way merge같은)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커밋 히스토리의 모양'입니다.따라서 2개가 더해져서 커밋이 만들어지는 이 상황도 여전히 3-way merge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그래서 처음 들었던 의문은 "1번 방식을 택했을 때는 2개가 더해지는 건데, 이때도 3-way라고 부르는 것은 그냥 관례적인 표현인가?" 입니다.그리고 질문을 작성하면서 제가 스스로 내린 답변은 "더하는 개수가 3개여야 하는 것이 아니고, 더할지 말지 고민하는 기준점이 3개인 상황이라 3-way라는 이름이 붙은 것 같다" 입니다.즉, 커밋 히스토리가 예제와 같은 상황에서는 다음 3가지를 기준점으로 사용하게 됩니다.두 브랜치의 공통 부모 (base)main 브랜치의 최종 커밋test 브랜치의 최종 커밋각 기준점에 대해 어떤 판단을 내리느냐에 따라 세 개를 더하는 2번 상황이 되거나 두 개를 더하는 1번 상황이 되거나, 또 다른 3번, 4번 상황이 될 수도 있습니다.하지만 '기준점이 3개'라는 사실을 모든 상황에서 동일하기 때문에 3-way merge라는 이름이 붙여진 것으로 판단했습니다.가르쳐주신 내용에 혼란을 느낀 부분을 서술하느라 글이 좀 길어졌는데, 결론적으로 '기준점이 3개라서 3-way merge라고 부른다'는 제 판단이 적절한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
해결됨Git & GitHub, 원리부터 차근차근 - 근본깃 [완성편]
브랜치 병합 전략에 대한 지식공유자님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Git을 정리하는 데 큰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다름이 아니라 GitHub에서 브랜치를 메인 브랜치로 병합할 때 사용하는 전략에 대해 궁금합니다. 기본 병합(merge), 스쿼시 & 머지(squash & merge), 리베이스 & 머지(rebase & merge) 방식이 있는데, 어떤 방식을 선호하시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개인적으로는 로컬에서 작업할 때는 리베이스 & 머지를 선호합니다. 히스토리를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메인 계열 브랜치(dev, prod 등)로 병합할 때는 기본 병합을 사용해야 기능 추가 히스토리를 명확히 추적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해결됨깃허브 데스크탑으로 프로젝트 관리하기
비공개 보안
민감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공개(Private) GitHub 저장소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조치가 있을까요
-
미해결Git & GitHub, 원리부터 차근차근 - 근본깃 [완성편]
git pull merge 요청 시 draft
안녕하세요! 강의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제가 이번에 git을 처음 써보면서 이것저것 시도해보고 있는데요!git pull merge 요청을 보낼 때 분명 한번에 merge를 시도 했는데 draft라고 남는 경우가 있더라구요!혹시 이건 제가 요청을 제대로 보내지 않아서 생기는 걸까요?
-
미해결AI 포트폴리오 만들기 - Airbnb 클론 프로젝트
강의 수정좀 부탁드릴게요!! 2025년 버전으로
지금 코랩에서 실습자체가 불가합니다.!python -m pip install tensorflow==2.4.0ERROR: Could not find a version that satisfies the requirement tensorflow==2.4.0 (from versions: 2.16.0rc0, 2.16.1, 2.16.2, 2.17.0rc0, 2.17.0rc1, 2.17.0, 2.17.1, 2.18.0rc0, 2.18.0rc1, 2.18.0rc2, 2.18.0, 2.18.1, 2.19.0rc0, 2.19.0, 2.19.1, 2.20.0rc0, 2.20.0) ERROR: No matching distribution found for tensorflow==2.4.0이거 이렇게 오류 떠서 뭘 할 수가 없어요... 최신 버전으로 수정요청 드리니 빠른 처리 부탁드립니다.코랩말고 다른 개발환경에서 할 수 있는 법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몇년 지난 자료라서 안돼는 게 너무 많아요ㅠㅠㅠ
-
미해결AI 포트폴리오 만들기 - Airbnb 클론 프로젝트
실행시 에러가 나는데 어떡하나요?
코랩에서 말고 그냥 텐서플로우 자체 환경에서 하면 될까요??!python -m pip install --use-feature=2020-resolver .해당 코드 자체가 설치안되요...18,19강 자체에 이게 설치가 안되니 모듈도 없다고 하고 실습도 안됩니다... 이거 해결방안 없나요?따로 코랩 환경말고 통제가능한 텐서프로우 자체에서 실행하는 방법을 좀 알려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
미해결AI 포트폴리오 만들기 - Airbnb 클론 프로젝트
강의자료 요청드립니다!!
강의 PPT 같은 자료 요청드립니다.skl509@naver.com여기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Git & GitHub, 원리부터 차근차근 - 근본깃 [기초편]
궁금해요
Q1. 브랜치 원리5세션 12에서 “main은 복사되는 게 아니라 동일한 커밋을 여러 브랜치가 담고 있다”는 설명이 직관적으로 잘 그려지지 않아요. (복사가 아니면 정확히 어떤 메커니즘일까?) Q2. 머지와 컨플릭트fast-forward 구조(예시 이미지)에서 빨간색 영역의 코드는 테스트 도중에 수정이 가능한건가요? 수정이 가능해서 수정 했다면 머지할 때 컨플릭트 가 나는거 아닌가요..? 왜 헷갈리냐면 강의에서 fast-forward 머지에서는 각각의 diff가 없기 때문에 conflict가 안 난다고 햇는데, 그럼 이런 구조는 fast-forward가 아닌 상황인건가요..? Q3. HEAD의 부모 커밋아래 예시이미지에서 HEAD가 가리키는 커밋(main : Merge branch 'test')의 부모 커밋은 test add blue to rect와 add green to rect 이렇게 두 개가 맞는지 확인을 하구싶어요.
-
미해결Git & GitHub, 원리부터 차근차근 - 근본깃 [완성편]
rebase 와 3-way merge 의 근본적인 차이
안녕하세요.rebase 단원(이전 강의)의 설명을 들으면서, rebase 란 fast-forward merge 를 수행할 수 있게끔 commit history 를 flatten 해 주는 작업으로 이해했는데요.rebase 과정에서도 conflict 가 발생하고, 이것을 처리해줄 필요가 있다면, 그냥 3-way merge 에서 conflict 를 처리하는 것과 근본적인 차이가 있을까요?제 생각으로는 rebase 과정에서는 branch 에서 떨어져 나간 commit 들이 생기고, 3-way merge 에서는 기존 commit 들이 병합된 branch 안에 들어있다, 는 차이 정도밖에 없는 것 같은데요.굳이 3-way merge 말고 rebase 를 사용해야 할 필요가 있을까요?
-
미해결Git & GitHub, 원리부터 차근차근 - 근본깃 [완성편]
문서가 락이 걸어져있네요.
문서가 락이 걸어져있네요. 비번 알려주세요. 강의노트에도 없어서 문의 남깁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를 위한 풀스택 맛집지도 만들기 프로젝트!: Front, Back-end 그리고 배포까지
live server가 안 떠요..
저 이 화면에서 open with live server 를 눌렀는데이 화면이 떠요.. 저 그러고 혹시 강의 마지막 부분만 보고도 앱을 만들 수 있나요?
-
미해결팀 개발을 위한 Git, GitHub 입문
06:48 원래한번에 포크 안받아져야 정상인가요?
정상적으로 진도 뺀 사람이면 한번에 포크 안받아져야 정상인가요? The repository Boxiting already exists on this account이런메시지 뜹니다.
-
미해결팀 개발을 위한 Git, GitHub 입문
저는 풀버튼에 풀받을게 없다고 뜹니다.
06:55 윈도우 사용자인데요 Boxiting-oct에서는 풀받을게 없다고 뜨지만 풀버튼을 누르니 고양이의 커밋 올린게 풀이 받아졌습니다. 이런경우도 있나요??
-
미해결팀 개발을 위한 Git, GitHub 입문
5:10부터 저는 모든 태그 푸시가 자동체크 안됐는데..
누르고 안누르고 어떤차이죠??
-
미해결쉬운 용어로 배우는 Git & Github 첫걸음 - 협업까지 마스터하기
push 후 pull request 대상 브랜치 변경
제가 지금 사이드 프로젝트에서 dev와 main 두개의 브랜치로 나누어 사용중인데보통 dev 브랜치를 이용해 git push origin dev 하고 풀리퀘스트 base를 main 브랜치로 한 후다시 프로젝트 터미널에서 git pull origin main 으로 작업하고 있습니다그러나 어느 날 git push origin dev 를 했는데 github에 Compare & Pull Request 버튼이 없어져서수동으로 base 를 main 으로 pull request 하고 merge 했는데 그러자 마자 main 브랜치에 대해Compare & pull request 버튼이 나타났습니다.이걸 다시 이전처럼 dev 브랜치를 push 했을때 Compare & pull request 가 나타나게끔 바꾸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
미해결Git & GitHub, 원리부터 차근차근 - 근본깃 [완성편]
vscode에서의 github로의 푸시
vscode에서의 github로의 push는 따로 강의 계획이 없으실까요??
-
미해결팀 개발을 위한 Git, GitHub 입문
git remote add origin ~~ 질문요
3:50서부터 질문인데요 강사님처럼 퍼센티지 뜨거나 그러진 않았는데 뭔가해서 다시명령어 입력하니 error:remote origin already exists 라네요 그리고 첨에 명령어 입력 했을때는 강사님처럼 %가뜨는게 아니라 새로운 팝업창이 떠서 username password 입력하라 뜨길래 다 닫았는데 이런 경우는 뭔가요?
-
미해결실전 활용을 위한 git/github(feat.각종 충돌상황 해결하기)
궁금한 점
만약에 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제가 develop브랜치에서 feat1브랜치를 따서 작업을 한후 push한다음 pr을 만들었지만, 아직 merge되지 않은 상태에서 feat1 브랜치보다 늦게 다른 팀원이 feat2브랜치를 따서 작업을 해서 push한 후 pr에서 develop브랜치에 merge까지 된 상태인 경우. feat1브랜치 사용자는 git pull origin develop 해서 최신사항을 내려받은 후 남은 작업을 수행해야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또한 git pull origin develop한다고 가정했을 때, 커밋이력이 1개만 추가되는 것인지 develop 브랜치의 최신 커밋이력들을 전부 가져오는 것인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