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제미니의 개발실무 - 커머스 백엔드 기본편
이상적인 공부 방법
강사님이 추구하시는 생각하는 공부에 대해서 많이 고민해보게 되었습니다.그렇다면 강사님이 생각하셨을 때, 이 강의를 보고 공부하는 이상적인 방법은 어떤게 있다고 생각하시나요?예를 들면, 하나의 섹션을 먼저 다 보고 요구 사항 정리부터 다시 시작해보기 아니면 각 강의마다 끝나고 요구사항을 정리해보고 다음 넘어가기.. 등등 강사님도 커리큘럼을 만드실 때 이런식으로 하면 좋을 것 같다가 있으셨을 것 같은데 궁금합니다.
-
미해결제미니의 개발실무 - 커머스 백엔드 기본편
Controller에서 비즈니스 로직 흐름이 나타나는 것에 대하여..
안녕하세요.결제 부분 강의를 보니 payments API를 보면 컨트롤러에서 주문을 조회하고, 사용 할 쿠폰을 조회하고, 포인트를 조회하고, 조회 된 데이터를 PaymentService로 전달하는 스타일이더라구요. 제가 진행중인 사이드 프로젝트도 커머스가 주제입니다. 제 프로젝트도 처음에는 강의 코드 스타일대로 컨트롤러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조합하고, 결제를 처리하는 Service 쪽으로 넘기는 형식이었는데, 이게 점점 결제 기능이 고도화되면서 뭔가 컨트롤러에서 비즈니스 로직의 흐름이 보이는게 맞나? 라는 생각이 들게 되었고 어느 순간부터 웬만한 Controller에서는 1개의 xxxService.method()만 호출하고 이 method가 요청에 대한 비즈니스 로직을 전부 담당하게 되었습니다.@Service class QuestionPaymentService( private val questionOrderGenerator: QuestionOrderGenerator, private val promotionApplier: PromotionApplier, private val orderCouponApplier: OrderCouponApplier, private val paymentCouponApplier: PaymentCouponApplier, private val questionPaymentRecorder: QuestionPaymentRecorder, private val pointCommandAPI: PointCommandAPI, private val eventPublisher: EventPublisher, ) { @Transactional fun payment(command: QuestionPaymentCommand): QuestionPayment { val order = questionOrderGenerator.generateQuestionOrder(command.userId, command.questionIds) val questionPayment = QuestionPayment.create(command.userId, order) promotionApplier.apply(order) orderCouponApplier.apply(questionPayment, command) paymentCouponApplier.apply(questionPayment, command) pointCommandAPI.usePoint(questionPayment.userId, questionPayment.realAmount) questionPaymentRecorder.record(questionPayment) eventPublisher.publish(toEvent(questionPayment)) return questionPayment } }위 코드는 제 프로젝트의 결제 부분인데요. 강의에서 말씀하신 것처럼 Service가 너무 많은 걸 알게되더라구요.(주문도 생성하고, 쿠폰도 적용하고, 프로모션도 적용하고...)지금 이 글을 작성하다보니, 갑자기 제 코드가 못생겨보이네요..강의 코드와 비슷한 방식으로 위 코드를 바꿔본다면, 컨트롤러에서는 orderService를 이용해서 주문을 생성하고, couponService, promotionService 등을 이용해서 전처리를 한 뒤 PaymentService을 이용해 실 결제 금액만큼 금액을 지불하도록 하는 로직과 결제 내역을 저장하는 로직만 있을 것 같아요. 반대로 제 프로젝트 방식대로 강의 코드의 payments API를 만들어본다면, Payment를 만들기 위해서PaymentCreateService와 같은 곳에서, orderReader, ownedCouponReader, pointReader 등을 조합해서 Payment를 생성하는 방식이 될 것 같아요.결국 Service가 적은 책임만 가지게 된다면, Controller 입장에서는 복잡한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선 다양한 Service를 조합하게 되고 Controller가 비즈니스 로직의 흐름을 보여주는 형태가 될 수 있다고 생각이 드는데요.(사실 Controller가 비즈니스 로직의 흐름을 보여주면 안된다는 걸 어디서도 듣지 않았지만 뭔가 어색한 것 같아요.)물론 계속 말씀하시는것 처럼 정답은 없다는 것은 알지만, 그냥 단순히 재민님은 주로 많은 책임을 가지는 Service보다는 Controller에서 작은 단위의 Service로 조합해서 처리하는 것을 선호하시는지 궁금합니다.재민님을 지속 성장 가능한 소프트웨어 포스팅으로 알게되었고, 유튜브에서도 많은 도움이 되었어요.그렇게 얻은 다양한 인사이트들을 개인 프로젝트에도 적용해보면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는데 마침 제 관심사인 커머스 주제로 강의가 나와서 정말 행복합니다.
-
미해결죽음의 Spring Batch: 새벽 3시의 처절한 공포는 이제 끝이다.
미스터 KILL-9 Processor 단 질문이 있다
안녕하신가 미스터 KILL-9항상 빠르고 친절한 답변 고맙다 이번에 회사 로직 작성중에 조금 막막한 부분이 있어 질문 하러 왔다 reader 엑셀 파일 읽어오고processor 에서 해당 엑셀 데이터 값을 가지고 dao 호출해서 검증하고, 깍고(가공)마지막으로 쓰기 처형하는데 작업을 하는데문제는 가공 단계에서 dao 를 직접 호출하면ExecutorType 이 simple 로 호출되고 쓰기 단계에서 batch 로 ExecutorType 실행되어 에러가 발생한다Cannot change the ExecutorType… 이렇게 말이다..그래서 일단 아래 코드 처럼 해결은 했어 우선 기존 코드는 PoiItemReader -> ItemProcessor<> (여기서 mybatis dao 호출 해서 검증작업도 함) -> MyBatisBatchItemWriter -> 에러 Cannot change the ExecutorType… 해결한 코드 PoiItemReader -> ItemProcessor<> (여기서 mybatis dao 호출 해서 검증작업도 함) -> JdbcBatchItemWriter-> (해결)그런데 이렇게 작성해도 되려나 싶네.. 그리고 String 문으로 쿼리 짜는것도 맘에 안들고..ㅠㅠ
-
미해결죽음의 Spring Batch: 새벽 3시의 처절한 공포는 이제 끝이다.
오타발견
- 명백한 한계점 (단점): - 네트워크 대역폭 소모: 실제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네트워크 부하가 극심하다. 데이터 건수가 많거나 크기가 크면 통신 자체가 병목이 될 수 있다. ("핵탄두 데이터 전송에 따른 통신망 과부하 주의!") - Manager 읽기 병목: Manager 혼자 모든 데이터를 읽어야 하므로, 읽기 자체가 느리다면 원격 청킹은 효과가 없다. ("중앙 정찰 위성의 스캔 속도 한계!") - 복잡성(감시와 디버깅의 지옥문): 역시 미들웨어(Kafka 등)와 프링 인티그레이션 설정이 필수적이다.프링 인티그레이션 ->스프링 인티그레이션
-
미해결죽음의 Spring Batch: 새벽 3시의 처절한 공포는 이제 끝이다.
예제 빠진부분?
KILL-9: "이 구성이 매우 중요하다. Job 설정을 보면, logFileManagerStep()이 먼저 실행되고, 그 다음에 mergeOutputFilesStep()이 실행되도록 .next() 메서드로 연결되어 있다.없어도 뻔해서 이해되긴하는데,위의 예제에서 Job빈이랑 LogFileManagerStep빈(이건 일부러?) 빼먹은듯?KILL-9: "이 구성이 매우 중요하다.로 검색하면될거야------그리고 그냥 궁금한건데,이번강의챕터가 컨셉자체는 맘에드는데(코드랑 내용이랑 같이 스토리넣어서 말하는거)인프런 강의 시스템상 너무 보기힘들지않아?부록 2: 전장 구축 - Redis to MongoDB 데이터 이관 작전 환경 설정같은거보면,나는 가로휠이 있어서 괜찮았는데 가로휠마우스가 없으면 마우스 드래그로 컨트롤하거나 키보드 화살표로 조금씩 밀어야하는데 이거 너무 보기 힘들거같아스크롤바도 내용화면이 한페이지를 넘어가면 안보이고 그래서다음거 스카이넷보고서인지 그런식으로 개행을 넣던가 하면될거같긴해킬구<스카이넷 ?다음거 원격 파티셔닝 강의 대부분 그냥 서두보고 다 스킵할거같은데,@ConditionalOnProperty로 조건부 빈생성 관리하는거 스킵되는거 아까운데 이거나 줏어가라고 마지막 부록에 넣어줄만하지않음?나도 그냥 내용 대충 훑어만봤는데 저거하나는 건진거같아서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socket connect 오류
안녕하세요.nestJS강의를 잘 시청하고있습니다.진행하는 과정에서 Socket Connect 연결 요청시 Error: socket hang up 오류가 발생하며 연결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 하였습니다.저는 현재 NestJS최신버전인 11.1.6버전을 이용해 진행중입니다.PostMan에서 Connect 시도시 아무런 로그가 남지 않습니다.혹시 아래 문제에 대해서 도움을 받을 수 있을까요?
-
해결됨모든 웹 개발자가 봐야 할 단 한 장의 지도
추가 강의 요청
안녕하세요, 선생님.강의 잘 들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현재 저는 IT 영업 직무로 근무하고 있습니다.회사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을 SaaS형, API 연동형, SI 구축형의 세 가지 방식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SaaS형의 경우 프로그램 기능을 익히면 비교적 단순한 영업이 가능하지만,API 연동형이나 SI 구축형 영업의 경우 웹의 흐름과 인프라 구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할 때가 많습니다.이런 이유로 IT 용어나 개념을 익히려 노력하고 있으나,내용이 생소하고 설명이 어렵게 느껴져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다행히 개발 직군은 아니어서 깊은 기술 지식까지는 필요하지 않지만,고객사 IT 담당자와 원활하게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을 정도의 이해도는 갖추고 싶습니다.혹시 선생님의 강의 중에서 이런 상황에 도움이 될 만한 강의가 있을까요?만약 없다면, 어떤 방식으로 공부를 시작하는 것이 좋을지도 조언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모든 웹 개발자가 봐야 할 단 한 장의 지도
용어 질문드립니다.
강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강의 내용중에 인스턴트 와 JOSN을 설명주셨는데,따로 찾아봤는데 어렵게 설명이 되어있어서쉽게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특히 인스턴트는 무슨말인지 도저히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죽음의 Spring Batch: 새벽 3시의 처절한 공포는 이제 끝이다.
실무에서 배치 메타데이터 관리
$ kill-9.. 킬구형 추석 연휴는 잘 보냈는가.. 처음에 텍스트로만 구성된 강의인 걸 결제한 후 알게되어 당황했지만.. 걱정 마라.. 금방 킬며들었다.. 눈으로 읽고 생각하는 즐거움을 알게되었다.. 무엇보다 그동안 피로했을 내 귀를 지켜줘서 고맙다.. 아직 강의 초반이지만 궁금한 부분이 있어서 질문 올린다.. 대용량 트래픽을 다루는 회사에서는 배치 메타데이터의 양도 어마어마할 것 같은데 실무에서는 배치 메타데이터를 어떻게 관리하는 지가 궁금하다.. 혹시 배치 메타데이터를 활용할 일이 없을 것 같으면 안쌓는 것도 권장하는 방법인가..
-
미해결강의 하나로 끝내는 백엔드 모든 지식!
백엔드 신입으로써 알아야할 보안에 대한 기본 수준이 궁금합니다
검색을 해보니 강의 내용 중 나오는sql인젝션xss, HttpOnlycsrf, SameSitehttps이 부분들은 보통 기본적으로 많이 선택해서 꼭 알아야 하고 연습해야 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그 외에도 알려주신 것들에 대해 자세히 알아야 할까요? 아니면 이런 방법들이 있구나 하고 굳이 직접 사용해볼 필요는 없는 걸까요
-
미해결죽음의 Spring Batch: 새벽 3시의 처절한 공포는 이제 끝이다.
FlatFileItemWriter의 FieldExtractor 커스텀 관련
킬구형 텍스트 강의임에도 몰입감 있는 구성에 연휴에 재밌게 공부하고 있어. 고마워FlatFileItemWriter에 대한 흐름을 정리하고 질문 해볼게1. sourceType() 메서드 내 객체 타입에 따라 FieldExtractor 구현체가 결정된다.2. (Bug가 fix되기 전까지) sourceType() 메서드 내 객체 타입이 Record일 경우 names() 메서드 호출은 무시되고, Record 타입의 모든 property가 쓰일 수밖에 없다.3. 그렇기에 Record 타입에서 필드 하나를 제외하고 파일을 쓰고싶다면, fieldExtractor()를 사용한 커스텀 구성을 통하여 필드 하나를 제외해야 한다.내가 강의를 보면서 정리한 흐름이고, 아래는 그 정리 중 나온 질문이야Q1. BeanWrapperFieldExtractor일 경우 필드 하나를 제외하고 싶다면, names()에서 해당 필드만 제외해도 되나? Q2. 만약 위와 같은 방법이 된다면, RecordFieldExtractor 관련 Bug가 fix 된 후에 FieldExtractor를 직접 커스텀하는 경우가 별로 없지 않을까 싶은데.. 혹시 내가 생각하지 못한 부분이 있을까?고마워 킬구형아
-
해결됨시스템 디자인 첫걸음: 면접에서 돋보이는 백엔드 아키텍처 설계하기
MSA 전환 시점
안녕하세요!덕분에 아키텍처에 대한 큰 그림을 그려보며 강의를 듣고 있습니다. MSA 전환 시점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모놀리식 아키텍처에서 MSA로 전환하는 적절한 시점은 어떤 기준으로 잡는게 좋을까요?물론 상황마다 다르겠지만, 강사님은 어떤 기준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예를 들어, Scale-out 한계, 빌드&배포 시간 증가, 혹은 서비스 크기와 복잡성 같은 요소들.. 이 있을 것 같은데 제가 미처 생각 못한 부분이 있다면 덧붙여 답변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강의를 들으면서 궁금한 점
Spring(Java)을 약 1~2년 정도 공부하다가, 최근 입사 후 NestJS를 새롭게 배우고 있습니다.공부하기 위한 강의를 듣던 중 문득 궁금증이 생겨 이렇게 질문을 남깁니다.NestJS를 사용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제가 지금까지 배워온 관점에서 보면, Spring은 생태계가 훨씬 풍부하고 레퍼런스도 많으며,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안정성이 매우 높다고 느껴졌습니다.반면 NestJS는 비동기 I/O 처리에 강점이 있어 성능적으로 빠르다는 인상을 받았지만, 단순히 그 이유만으로 NestJS를 선택해야 할까 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물론 기술 선택에는 여러 요소가 있겠지만, 실무적으로나 기술적으로 Spring 대신 NestJS를 선택하는 명확한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단순 궁금증이었습니다...!
-
미해결시스템 디자인 첫걸음: 면접에서 돋보이는 백엔드 아키텍처 설계하기
로드밸런싱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실제 서비스 환경에서 로드 밸런서를 두는 시점(예: 트래픽 기준이나 서버 수 기준)을 어떻게 판단하시는지 궁금합니다.단순히 서버 부하율이 높아졌을 때 적용하는 건지, 아니면 아키텍처 설계 초기에 미리 구성하는 경우가 더 일반적인지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DELETE 요청의 반환값은 어떤 기준으로 결정하는 게 좋을까요?
CRUD 중 DELETE 요청의 경우 어떤 기준으로 반환 타입을 정하는 게 좋을지 궁금합니다.제가 생각하기에는 아래 두 가지 방식이 있을 것 같습니다.강사님께서는 이러한 상황에서 어떤 기준을 표준으로 사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1. 일관된 응답return { success: true, data: null };CREATE, READ, UPDATE와 동일하게 성공 여부를 명시하고 data는 null로 처리하여 응답 구조를 통일하는 방식입니다.이렇게 하면 프론트엔드에서 일관된 형태로 응답을 처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2. HTTP 표준 준수 (204 No Content)@HttpCode(204)응답 본문을 따로 내려주지 않고 상태 코드만 반환하는 방식입니다.이 경우 RESTful 표준에 부합하고 불필요한 네트워크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다만 프론트엔드에서는 응답 본문이 없어 분기 처리가 필요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이 두 가지 방식 중에서 실무에서는 어떤 기준으로 선택하시는지 또는 프로젝트 성격에 따라 구분하는 기준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강의 하나로 끝내는 백엔드 모든 지식!
22강 마지막 영상 짤림
큰 문제는 아닙니다만 22강이 마지막에 갑자기 종료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따로 어디에 말씀드려야 할지 모르겠어서 Q&A 게시판에 남깁니다.
-
미해결죽음의 Spring Batch: 새벽 3시의 처절한 공포는 이제 끝이다.
MessageConversionException 예외 타입
안녕 킬구형 형 때문에 이번 추석 연휴 재밌게 보내고 있어. 고마워 형. 강의를 보면서 예제 소스에 대한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을 남겨. 6장. 작전4: 원격 청킹 (Remote Chunking) - 전방위적 타격이 시작되다. ☠ '데이터 변화 모듈(SerDes Classes)' 예제에서 예외 객체로 MessageConversionException을 사용하는데 클로드에서는 통상 Kafka를 사용할때는 org.apache.kafka.common.errors.SerializationException 을 사용해야 kafka와 호환이 된다고 하더라구. 이거에 대해 설명 부탁해도 될까?
-
미해결죽음의 Spring Batch: 새벽 3시의 처절한 공포는 이제 끝이다.
실무 예시가 궁금합니다.
형 아직 잘 이해가 안되서 그러는데, Job 안에서 Chunk 방식 Step과 Tasklet 방식 Step을 혼합해서 사용하는 실무 예시를 알려줄수 있어?
-
미해결죽음의 Spring Batch: 새벽 3시의 처절한 공포는 이제 끝이다.
Spring Data JPA 사용 시 자동 주입 관련 질문
킬구형 Spring Data JPA 사용하면 JpaRepository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서 PlatformTransactionManager, DataSource를 자동으로 주입받아 사용할 수 있는데, 강의에서는 스프링배치의 세밀한 조정을 위해 일부러 JpaRepository를 사용하지 않는 거야?아래 두 강의에 둘 다 데이터소스와 트랜잭션매니저를 직접 활용하고 있어서 궁금해서 물어봐3장. 작전1: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읽고 쓰기 (테이블의 심장에 처형장을 세우다 ☠)OPERATION DOUBLE TAP - Spring Batch Test(추가) 생각해보니 예전에 아주 간단한 로직의 스프링배치 앱을 JpaRepository, JPQL을 이용해서 만들었던 만들었던 기억이 있는데,, 혹시 JpaRepository을 일부러 사용하지 않는 이유가 있는지 궁금해
-
해결됨제대로 배우는 Express.js: Part1 기초부터 심화까지 [기초편]
ejs 와 어떤 개발언어로 조합해서 사용했을때 성능이 좋을까요?
ejs 와 어떤 개발언어로 조합해서 사용했을때 성능이 좋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