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5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38군데 합격 비법, 2025 코딩테스트 필수 알고리즘
문제 생각 몇분정도가 좋을까요
최빈수 풀고 있는데 문제들을 앞으로 풀면서 몇분정도 고민하고 풀이를 보면 좋을 지 여쭤봅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코딩테스트 [ ALL IN ONE ]
self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노드를 구현할때, 함수의 변수안에 self가 있는데 이게 어떤 역할을 하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기본편)
Test_queue 출력 오류
안녕하세요 큐 실습 중 마지막 부분 출력이 선생님과 다르게 출력이 되는데, 이유를 모르겠어서 글 남깁니다.3번째 4번째 출력 다 다르게 나오고 4번째 출력에는 null 값이 나오는데 혹시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아래 결과 및 코드 첨부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심화편)
else if 질문 있습니다.
힙 삽입에서 getInsertingParent(){ if(this.lastInsertedNode.getParent() == null){ return this.lastInsertedNode; }else{ if(this.lastInsertedNode == this.lastInsertedNode.getParent().getLeftSubTree()){ return this.lastInsertedNode.getParent(); }else{ let current = this.lastInsertedNode; let firstRightSibling = null; while(current.getParent().getParent() != null){ current = current.getParent(); firstRightSibling = this.getRightSibling(current); if(firstRightSibling != null){ break; } }마지막으로 삽입된 노드가 루트노드일때를 if문으로 처리하시고 그다음 else 안에 서 if문으로 다시 처리하셨는데 이유가 있을까요? else if로 안쓰시고 else 안에서 if를 쓰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
해결됨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기본편)
이해가됐습니다...
강의를 보면서 왜 갑자기 count 1이 2가 되지 했는데hanoi 함수가 스택에 쌓이면서 count가 2이었던 함수 3이었던 함수가 끝이 안났기 때문에 계속 count가 올라갔던거군요. 이거 때문에 분명 count 1인 상태로 함수가 끝났는데 갑자기 2이었던 함수가 왜 시작되는지 의아했습니다. 동영상 5번 반복적으로 보니깐 이제야 이해되네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코딩테스트 [ ALL IN ONE ]
동적배열 8:23
안녕하세요. 그림부분에서 이해가 가지않아 질문 드립니다.a =[1,2,3] 으로 초기화를하면 array는 0,1,2 즉 배열 그림이 3칸([][][])만 있어야 하는게 아닌가요? 하지만 강의의 그림에서는 [1][2][3][][] 으로 0,1,2,3,4 까지 그려져 있습니다. (size가 3인데 말이죠)a.append(4) 를 했을때, 동적배열은 array로 구현이 돼어있기때문에 random access 가 가능하여 마지막 index를 찾을 수 있다고 하셨는데, 선언및 초기화a = [1,2,3] // 그림 -> [1][2][3]접근 a[0] // O(1) 수정 a[1] = 9 // 그림 [1],[9],[3]추가 a.append(4) // 이때 Resizing 이 일어나/* 그림 [1][9][3] // 값을 옮긴 후 삭제[1][9][3][4][][] // 복잡도 O(n) */의 모양이 돼야하는게 아닌가요?즉, 궁굼한 점은 선언 및 초기화 할때 배열의 size 는 3인데그림의 배열 size는 [][][][][] 5칸이냐는 것입니다.
-
해결됨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기본편)
선생님 안녕하세요~~ 연결리스트 중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손코딩하면서 연결리스트를 다시 듣고 있습니다. 기본 개념인 것 같은데 let list = new LinkedList()말씀하시면서 인스턴스화 했다고 하셨는데 인스턴스화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코딩테스트 [ ALL IN ONE ]
Notion 공유 요청을 보냈는데 오지 않았어요.
개발자 취업 비밀노트는 제대로 왔는데코딩테스트 강의는 공유가 오지 않네요...제 아아디와 이메일은아이디 : SecondPhantom이메일은 second2phatom@gmail.com 입니다.
-
해결됨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기본편)
안녕하세요! 큐 관련 질문입니다.
선생님 안녕하세요. deleteAt 를 만들 때 마지막노드(tail) 제거 하는 부분에서index == this.count -1마자믹 노드인데 this.count-1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비전공자로 개발에 도전하고 있는데.. 자료구조 어렵네요ㅜ
-
미해결코딩테스트 [ ALL IN ONE ]
daily temperatures 문제 질문
안녕하세요! Leetcode daily temperature 문제 해설을 보다 질문이 생겨서 남깁니다! while 문으로 stack을 돌면서 대소 비교를 하는데, 여기서의 시간복잡도가 O(n)이 될 걱정은 안해도 되나요? 어렴풋이 생각하기에, stack에 temperatures의 원소가 들어가기 때문에 n개의 원소가 들어갈 것이고, for문으로 길이가 n인 temperatures를 돌면 결과적으로 worst case로 O(n^2)이 될 수도 있지 않나 ...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시간복잡도 개념이 아직 부족해서 헷갈리는 것 같은데 제가 어떤 부분을 간과했을까요?
-
해결됨ChatGPT 100% 활용하여 배우는 파이썬 기초 A to Z
구구단을 외자 print format
구구단을 외자 3분 정도에서, format이라는 것을 알려주셨어요.저는 기존에 중괄호 {}에 숫자를 따로 안넣고 사용을 했었는데, 숫자를 꼭 넣어줘야 하나요??
-
해결됨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기본편)
clear() 함수 질문
안녕하세요 선생님,clear() 함수에서 this.head = null 이랑 this.count = 0으로 하는게 왜 리스트에 있는 기존 정보를 지우게 되는지 이해가 안되는데 추가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
해결됨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기본편)
자바 스크립트 배열
자바 스크립트 배열은 연결 리스트처럼 무작위로 분배되어있다고 하셨는데 그럼 연결리스트랑 차이가 없는건가요?
-
미해결영리한 프로그래밍을 위한 알고리즘 강좌
혹시 코드로 구현하는 법은 안가르쳐 주시나요>?
레드블랙트리랑 이진트리를 구현하고자 노력중인데 잘안되어서 (사용하는 언어는 C언어이고 전 노드에 포인터 두개 달아서 구현할려고합니다.)
-
미해결영리한 프로그래밍을 위한 알고리즘 강좌
강의 노이즈가 너무 심해요
강의 내용과 상관없긴하지만 노이즈가 설명하는 말소리보다 커서 뭐라고 하는지 집중도 안되고, 거슬립니다. 혹시 이부분 개선 안될까요?
-
미해결영리한 프로그래밍을 위한 알고리즘 강좌
왜 첫 글자를 떼놔야 하는지
이번 강의에서는 왜 첫 글자를 떼놔야 하는지 이유를 모르겠어요.. 혹시 아시는 분..?
-
해결됨파이썬으로 배우는 알고리즘 기초
분기 한정법과 배낭 문제
안녕하세요! 이제 수업을 거의 다수강해 가고 있네요. 감사합니다! 그런데 분기 한정법과 배낭 문제에 몇가지 질문할 것이 있습니다. 첫번째, bound : 현재 노드에서 앞으로 얻을 수 있는 최대 이익 이라고 하셨는데, 이 식을 보면 (bound = (현재까지 얻은 이익+나머지 노드들 중 전부 담아도 W를 넘지 않는 이익) + (전부 담으면 W가 넘는 노드 k의 이익)) 로 이해가 됩니다. 그런데, w_i배열의 마지막 값이 앞선 원소들의 합보다 월등히 크다면, 위 bound 식이 현재 노드에서 앞으로 얻을수 있는 최대 이익이 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제 생각에는 먼저 이익의 내림차순으로 정렬을 하면 bound의 정의를 만족할 것 같은데 제각 생각한것이 맞을까요? 두번째, , 위 두 그림에서 (3,1)과 (4,1)이 nonpromising한 이유가 bound 값이 maxprofit보다 작아서 라고 하셨는데, 제 생각에는 (bound = (현재까지 얻은 이익+나머지 노드들 중 전부 담아도 W를 넘지 않는 이익) + (전부 담으면 W가 넘는 노드 k의 이익)) 인데, 그렇다면 항상 (3,1)과 (4,1)에서의 bound 값은 maxprofit보다 크거나 같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제 생각에는 nonpromising한 이유가 bound 값 때문이 아니라 무게의 합이 W보다 거쳐서 nonpromising 하다고 생각했는데 맞을까요? 항상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좋은강의에 늘 감사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