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임베디드 입문용] 임베디드 개발은 실제로 이렇게 해요.
타이머 최대 주파수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 잘보고 있습니다.타이머 2는 최대가 72MHz니까 굳이 외부 크리스탈 안써도 사용이 가능하지요?
-
미해결[임베디드 입문용] 임베디드 개발은 실제로 이렇게 해요.
초기 신호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현재 이 신호는 상승엣지를 통해서 신호를 읽어들이던데보통 상승엣지가 High로 초기 신호 보내고하강엣지가 Low로 초기 신호로 시작하나요?
-
해결됨[임베디드 입문용] 임베디드 개발은 실제로 이렇게 해요.
targeted project type 에러 해결 방법 공유합니다.
저처럼 똥꼬쇼하시는 분이 없길 바라는 마음에....모두한테 적용되는지는 모르겠는데 이 링크에서 따라하는대로 하니까 어제 오늘 고생한거 드디어 해결봤습니다ㅠㅠㅠhttps://community.st.com/t5/stm32cubeide-mcus/stm32cubeide-stm32cube-project-creation-issue/td-p/823125
-
해결됨[임베디드 입문용] 임베디드 개발은 실제로 이렇게 해요.
빌드 오류 & targeted project type
임베디드 강의 수강 중인데 어느 순간부터 빌드 오류가 발생해 1.15 지우고 1.19로 다시 깔았더니 targeted project type 에서 empty만 선택되는 이상이 있네요ㅠㅠ https://community.st.com/t5/stm32cubeide-mcus/stm32-targeted-project-type-is-empty-and-its-not-generating-ioc/td-p/819652/page/5여기 보니까 저랑 똑같은 문제를 겪는 사람이 많더군요ㅠ이럴 경우엔 그냥 1.15로 다시 해보는게 나을까요?
-
해결됨[임베디드 입문용] 임베디드 개발은 실제로 이렇게 해요.
디버깅 오류
오제이님 최신 유튜브 디버깅 영상 따라서 업그레이드도 성공적으로 진행했는데 계속 Error message from debugger back end:localhost:61234: Connection timed out.Failed to execute MI command:target remote localhost:61234 이 에러가 뜨네요. 아직 디버깅 성공한 적 없습니다.어떻게 해결해야 하나요?
-
해결됨[임베디드 입문용] 임베디드 개발은 실제로 이렇게 해요.
STM32 Project Type 관련 질문입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자주 묻는 질문에 혹시 답이 있을 수 있어요.-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윈도우 계정명이 한글이면 설치가 안되길래, 윈도우 계정명을 영어로 한 계정을 새로 만들어서 그 계정에 설치 한 뒤, Project Type을 STM32Cube로 하지 못하고, Empty만 가능한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이것만 부여잡고있는데 제 노트북엔 C드라이브 밖에 없어서, D드라이브에 프로젝트를 저장하지 못하여 그런걸까요? 경로 문제일까 싶어서 이렇게 다른 경로로도 지정해보고 재설치도 해보았는데 안되네요...
-
해결됨한국에서 제일 쉬운 리눅스 커널 강의
네트워크 연결이 안됩니다
동영상 내용과 똑같이 따라했는데, 제 경우에는 강사님의 iptime과 다르게 통신사의 Wifi 페이지: DHCP 할당 목록이 뜹니다. 여기에 raspberry pi 호스트가 안뜬다면 연결이 안되는걸로 볼 수 있는건가요?라즈베리 파이를 핸드폰 핫스팟을 통해 연결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문제 파악을 위해 유선 연결해서 삽질한 끝에 무선 연결에 성공했습니다. 혹시 저처럼 통신사 공유기를 쓰는 분들을 위해 방법 공유드립니다.image.exe로 구운 sd 카드에 3가지 파일을 추가합니다.(1) /ssh: ssh 연결을 위한 파일 (확장자 없음)(2) /wpa_supplicant.conf루트 경로에 다음 파일을 넣어줍니다.country는 KR로 하면 연결이 안되는 버그가 있다고 해서 US나 GB로 넣어줍니다.country=GBctrl_interface=DIR=/var/run/wpa_supplicant GROUP=netdevupdate_config=1network={ssid="여기에_SSID"psk="여기에_비밀번호"scan_ssid=1}주의: 반드시 UTF-8, UNIX (LF) 로 작성 (NotePad++로 변경 가능)(3) /etc/rc.local유선 연결 후 xShell에 sudo rfkill list를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Wifi 차단이 Default로 되어있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1: phy0: Wireless LANSoft blocked: yesHard blocked: no부팅 시, 이 차단을 풀고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wlan0를 작동시키기 위해 /etc/rc.local 폴더 및 파일을 추가합니다.#!/bin/sh -erfkill unblock wifiifconfig wlan0 upexit 0주의: 반드시 UTF-8, UNIX (LF) 로 작성 (NotePad++로 변경 가능)
-
해결됨한국에서 제일 쉬운 리눅스 커널 강의
고아(?) 프로세스의 부모 선정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java 프로세스를 생성하니 생각대로 sshd로 접속한 프로세스 하위로 java 프로세스가 생성되는걸 볼 수 있었습니다. 996 996 996 ? 00:04:20 sshd 279106 279106 279106 ? 00:00:00 sshd-session 279140 279106 279106 ? 00:00:00 sshd-session 279141 279141 279141 pts/0 00:00:00 bash 279253 279253 279141 pts/0 00:00:37 java여기서 java 프로세스를 백그라운드로 실행한 상태였는데 접속한 sshd 프로세스를 끊어버리니 systemd 하위로 간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1 1 1 ? 00:01:25 systemd 996 996 996 ? 00:04:20 sshd 279309 279309 279309 ? 00:00:00 sshd-session 279343 279309 279309 ? 00:00:00 sshd-session 279344 279344 279344 pts/0 00:00:00 bash 279362 279362 279344 pts/0 00:00:00 ps 279253 279253 279141 ? 00:00:37 java여기서 java 프로세스의 부모가 sshd 하위가 아니라 systemd 하위로 간 이유가 궁금하네요좀 더 정확히는 부모가 결정되는게 어떤 기준으로 결정되는지 궁금합니다부모가 죽었으면 그 바로 위 부모가 새로운 부모가 되는 것인지요..? 시간이 날 때마다 보고있습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임베디드 입문용] 임베디드 개발은 실제로 이렇게 해요.
FND 불량
19강에서 안내해주신데로, FND 출력이 나오질 않아서, 하나씩 전압을 넣어 제어를 해봤더니 불량인 것 같습니다. ex) 세그먼트 12pin to 11pin 3.3v 인가시, 4개의 세그먼트의 윗부분이 모두 점등됨교환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임베디드 입문용] 임베디드 개발은 실제로 이렇게 해요.
강의물품들 해외배송/해외로 가지고 나가는거
안녕하세요, 현재 캐나다에서 시스템 엔지니어쪽 직장에 사회 초년생으로 다니기 시작했습니다~ 처음으로 맡은 업무가 보드 관련에서 코딩하는거라 이쪽관련해서 사이드로 공부를 하려고 강의는 구매했습니다만, 준비물이 있네요 ㅠㅠ 그래서 혹시 해외배송이 가능한지, 만약 해외배송 안된다면, 이번 7월 중순에 친척이 한국에서 캐나다 오시는데 그분께 부탁하려고 하는데 저 준비물들 해외로 가지고 나갈 수 있는지, 만약 가능하다면 따로 신고 같은거를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
해결됨[임베디드 입문용] 임베디드 개발은 실제로 이렇게 해요.
온도센서
온도센서 PA2로 연결했는데, Temperature값을 전혀 가져오지못하고있어서 문의드립니다. 다른쪽 코드는 완성본을 붙여봐도 온도값을 못가져옵니다. 아두이노로 테스트했을때는 정상적으로 온도값을 가져오는것을 확인했는데 온도값을 못가져와 마무리가안돼서 문의드려요..
-
미해결[라즈베리파이] IoT 딥러닝 Computer Vision 실전 프로젝트
RBP_DL01_Raspberry pi inatall 문서 다운로드위치는?
유트브 영상참조해서크리애플 사이트가서 찾아봐도..문서는 찾을수가 없네요아래 사진처럼만 나옵니다..문서는 안보이네요
-
해결됨[임베디드 입문용] 임베디드 개발은 실제로 이렇게 해요.
보드 연결 문의
보드 연결 문의 - ST LINK를 통한 연결 시, LED가 깜빡거리지 않음. ※ ST LINK는 회사에서 사용하던 제품이며, ST LINK에서 빨간색 불이 들어오고 있음. ST LINK CLONE 제품임. (V2) - USB를 통한 연결 시, LED 깜빡거림. 전원 정상 연결판매 중이신 제품과 동일한 ST LINK V2 CLONE 제품을 연결하여 사용할려고 했습니다. 다만 IDC 케이블을 통해서 해당 보드에 전원을 공급할려고 하였을 때 보드 내 정상적인 전원이 공급이 되지 않았습니다. 제가 추가적으로 별도로 확인해야 될 부분이 있을까요?
-
해결됨[임베디드 입문용] 임베디드 개발은 실제로 이렇게 해요.
st-link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자주 묻는 질문에 혹시 답이 있을 수 있어요.-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디버깅 모드에서 계속해서 에러가 뜨는데 왜 그럴까요? Error in final launch sequence: Failed to execute MI command:target remote localhost:61234 Error message from debugger back end:localhost:61234: Connection timed out.Failed to execute MI command:target remote localhost:61234 Error message from debugger back end:localhost:61234: Connection timed out.localhost:61234: Connection timed out.
-
해결됨[임베디드 입문용] 임베디드 개발은 실제로 이렇게 해요.
7세그먼트
안녕하세요. 실습 따라하다가 동영상이랑 받은 자료랑 내용이 다른거 같아서 문의남깁니다.동영상에선 FND Module 회로도 보면FB15를 SCLK, PB13을 RCLK, PB14를 DIO에 꽂는데, 받은 자료의 회로도를 보면PB15를 DIO, PB13을 SCLK, PB14를 RCLK에 꽂는거로 그려있길래 혹시 연결을 잘못해서 불이 안들어오는걸까요?
-
해결됨[임베디드 입문용] 임베디드 개발은 실제로 이렇게 해요.
ds18b20 Address 값 오류
안녕하세요 강사님, 항상 열정적으로 강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온도센서 구현 중에 발견한 문제점으로 질문을 남기게 되었습니다.Ds18b20_Init(); 함수를 호출하기 전과 후를 비교해서 강의에서 보는 바와 같이 Address[0] ~ [7] 까지의 값이 실시간으로 0에서 다른 값으로 바뀌어야 되는데, Live expressions로 본 결과 바뀌지 않고 있습니다.사실, 온도 센서를 모듈과 결합할 때 피복을 벗겨낼 필요 없이 핀으로 되어있었다는 것을 뒤늦게 알아서 Vcc, GND, DAT 선 모두 구리선 몇 가닥으로 연결된 상태입니다. ㅠㅠ코드는 강의 그대로 따라서 오류 없이 작성한 상태인데, HW 모듈 자체 문제인지, 모듈과 온도 센서와의 접합 부분의 문제인 것인지, 소스코드 문제인지, 정확한 디버깅이 어려운 상태입니다.참고로, PA3은 DAT 핀, Vcc는 3.3V, GND는 GND 핀에 연결해둔 상태입니다. ioc 클락 설정은 (8-1), 0xFFFF이며, PLL을 사용하지 않고 HSI 그대로 받아서 사용 중입니다.
-
해결됨한국에서 제일 쉬운 리눅스 커널 강의
arm 아키텍처는 4를 빼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자주 묻는 질문에 혹시 답이 있을 수 있어요.-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찬란한 프로세스의 삶-5 를 듣던 도중 5분 56초 경 arm 아키텍처는 파이프라인을 적용해서 4바이트를 빼야한다고 하셨는데 해당 이유가 궁금합니다.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임베디드 입문용] 임베디드 개발은 실제로 이렇게 해요.
처음 보는 에러입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자주 묻는 질문에 혹시 답이 있을 수 있어요.-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oled 실습 중 발생한 처음 보는 에러인데 어떻게 해결 할 수 있을까요
-
해결됨[임베디드 입문용] 임베디드 개발은 실제로 이렇게 해요.
헤더 파일 변수 선언 질문입니다
스위치 인터럽트로 xshell에 push 문구를 띄울 때 헤더 파일을 쓰지 않고 전역 변수 cahr g_f_sw_up = 0; 선언으로 할 수 있을 것 같은데 헤더 파일을 이용해서 변수를 선언 하는 이유가 있나요?
-
해결됨[임베디드 입문용] 임베디드 개발은 실제로 이렇게 해요.
보드 인식 불가, 시리얼 번호 인식 문제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자주 묻는 질문에 혹시 답이 있을 수 있어요.-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질문글과 유튜브에 있는 방법을 다 해보았는데 실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문의 남깁니다. 실행환경 :윈도우 11, i5-8250U, 16gb ram, 256ssd증상 : 아래와 같이 보드를 인식하지 못하여 실행에 문제를 겪고 있습니다.강의질문과 참고된 유튜브에 있는 영상의 가이드를 따라 하였지만 여전히 보드 인식에 문제가 있습니다.아래와 같이 결국 장치를 인식하지 못하여 실행에 실패합니다.STMicroelectronics ST-LINK GDB server. Version 5.9.1Copyright (c) 2021, STMicroelectronics. All rights reserved.Starting server with the following options: Persistent Mode : Disabled Logging Level : 1 Listen Port Number : 61234 Status Refresh Delay : 15s Verbose Mode : Disabled SWD Debug : Enabled InitWhile : EnabledTarget no device foundError in initializing ST-LINK device.Reason: No device found on target.시도한 것들 : 가이드 나온거 처럼 1.15 버전의 로그인하여 의존성 다운로드, ST-LINK 업데이트에는 성공하였습니다.장치관리자에서 정상적으로 인식하는 것도 확인하였습니다. 또한 ST-LINK 에서 시리얼 번호가 잘못인식되는 경우가 있는데 해당 경우때문에 오류가 되는거 같습니다.위와 같이 장치를 연결하면 시리얼 번호가 E12312~ 이런식으로 시리얼번호가 떠야하는데 2 라고 뜨는 것이 문제가 있는거 같습니다.여러번 뺏다끼면, 시리얼번호를 정상적으로 인식하는데 IDE 상에서는 2 라고 읽어 해당문제가 아닌지 하는 생각이 듭니다. ST-LINK Utility 로 조회해보면 타겟을 찾을 수 없다며 접속불가가 뜹니다.Programmer 라는 툴을 이용해 조회해봤는데도, 여전히 시리얼 번호가 2라고 뜨는 문제가 있는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