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의존'이란 개념을 어디까지 고려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질문 내용]안녕하세요스프링 핵심 원리 이해1 - 예제 만들기, 스프링 핵심 원리 이해2-객체 지향 원리 적용 까지 강의를 수강하고 궁금한 것이 생겨서 질문 드립니다.DIP를 지키기 위해 DI 컨테이너를 활용하여, 구현체가 추상화 인터페이스에 의존하여 결합도를 낮춘다고 이해하였습니다. 덕분에 설계할 때 객체를 유연하고 확장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는 사실도 알게되었습니다. 여기에서, 궁금한 점은 첫째로, Grade와 Member와 같은 데이터를 담기 위한 객체들의 의존성은 따로 신경써도 되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특시 Memeber는 OrderServiceImpl, MemeberServiceImpl, MemeoryMemberRepository에서 모두 사용이 되는데, 결국 저 3개의 구현체들은 Memeber를 의존한다고 볼 수 있으니, 이에 따른 side effect는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지, 만약 그렇다면 왜 그런지 궁금합니다.public enum Grade { Basic, VIP } public class Member {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private Grade grade; public Member(long id, String name, Grade grade) { this.id = id; this.name = name; this.grade = grade; } public Long getId() { return id;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Grade getGrade() { return grade; } public void setId(Long id) { this.id = id;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public void setGrade(Grade grade) { this.grade = grade; } } 둘째로, 명칭에 관해서도 확실히 하고 싶은게, Grade와 Member는 해당 프로젝트에서 마치 타입과 같은 역할을 하니, 이를 '타입 의존성'이 불러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타입스크립트 입문 - 기초부터 실전까지
타입 제한 질문드립니다
interface LengthType { length: number; } function logTextLength<T extends LengthType>(text: T): T { text.length; return text; } logTextLength('10'); https://www.inflearn.com/questions/411248 여기서 인자로 '10'이 length프로퍼티를 가진 객체만 가능하다고 하셨고 여기까진 이해 했습니다. 근데 '10'은 문자열로 프로토타입 체인상에 length프로퍼티를 갖지만 객체가 아니지 않나요 ? + 인터페이스는 객체의 프로퍼티 타입을 정의할 때만 사용하는것인지요 ? 감사합니다:)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왜 오류 발생하는지 모르겠음
밑에 보면 skill.Read(s, ref count)에서 count의 타입은 ushort이고, 위에 SkillInfo의 Read의 프로퍼티에 있 는 count의 타입도 또한, ushort인데, 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하는지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타입스크립트 입문 - 기초부터 실전까지
공식문서에 가능한 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라고 적혀있는데
안녕하세요. 캡틴판교님 강의영상 잘 보고 있는 구독자입니다. 이번영상에 마지막 부분에서 제목과 같이 공식문서에 가능한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라고 언급되어 있다고 말씀하셨는데요.. 목차를 보니 앞으로 들어야 할 강의가 다 "타입"과 관련된 강의밖에 없어서요. 아직 다 보진 못했지만 이정도면 "타입"위주로 코드를 만들어야 하는 거 아닌가 생각에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타입과 인터페이스 분명 역할은 다를거라 생각은 하고 있지만. 권장하는 "인터페이스"에 비해 타입에 대해서 커리큘럼을 이렇게 많이 잡은 이유가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