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EntityManager#flush()를 검증하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멤버를 저장하는 테스트에서 EntityManager#flush()를 호출해서 플러시되어 DB까지 쿼리문이 제대로 가는지 검증하시는 것을 보았습니다. (저는 플러시까지 테스트해볼 생각을 못했어서 아주 인상깊었습니다 ㅎㅎ) 하지만 해당 부분이 검증문 없이 홀로 호출되고 있습니다.좀더 의도를 드러내기 위해서는 assertThatCode(() -> em.flush()).doesNotThrowAnyException() 처럼 코드를 작성하는게 더 좋지 않을까 싶어서 질문드립니다!적용 예시@Test void 멤버를_저장한다() { var member = MemberFixture.createAny(); memberRepository.save(member); assertThat(member.id()).isNotNull(); assertThatCode(() -> em.flush()) .doesNotThrowAnyException(); }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테스트클래스명이 테스트 목적을 잘 나타내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MemberRepositoryTest는 EntityManager 나 @DataJpaTest 등 Jpa와 깊게 관련되어있는 테스트로 이해됐습니다. EntityManager#flush() 가 잘 호출되는지 확인하는 부분도 그런 이유에서 이해됩니다.하지만 테스트명이 MemberRepositoryTest인 점에서 헷갈리는 부분이 발생합니다. MemberRepository 인터페이스의 메서드를 테스트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좀 더 추상화된 테스트를 작성하는 것이 옳지 않았나? 라는 것이 주된 궁금증입니다. 물론 Spring Data JPA 특성상 런타임에 구현체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테스트 대상은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야 한다는 것은 이해합니다만, 최소한 클래스명은 좀 더 구체적으로 작성해주는 것이 의도에 부합하지 않나? 해서 질문드립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도메인 로직으로 분리해도 되나요?
해당 코드에서 자기 자신의 프로필 address와 비교하는 로직을 도메인에게 맡기는 건 어떨까요? 토비님! 이렇게 해도 되는건지 아니면 따로 빼신 이유가 있으신 지 궁금합니다. private void checkDuplicateProfile(Member member, String profileAddress) { if (profileAddress.isEmpty()) return; Profile currentProfile = member.getDetail().getProfile(); if (currentProfile != null && currentProfile.address().equals(profileAddress)) return; if (memberRepository.findByProfile(new Profile(profileAddress)).isPresent()) { throw new DuplicateProfileException("이미 존재하는 프로필 주소입니다: " + profileAddress); } }이런 식으로요!private void checkDuplicateProfile(Member member, String profileAddress) { if (profileAddress.isEmpty()) return; if (!member.isProfileNull() && member.isProfileEquals(profileAddress)) return; if (memberRepository.findByProfile(new Profile(profileAddress)).isPresent()) { throw new DuplicateProfileException("이미 존재하는 프로필 주소입니다: " + profileAddress); } }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도메인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이 다음 설계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토비님께서는 설계를 하실 때, 이전 경험에서 비롯된 도메인을 어느 정도까지 설계에 반영하시나요?
안녕하세요, 토비님. 주니어로서 아직 부족한 점이 많지만, 궁금한 점이 있어 또 이렇게 질문드립니다.Section 3에서 소개된 splearn 도메인 강의를 듣기 전에, 스스로 먼저 도메인 모델링을 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그 과정에서 회원, 수강, 강의 등의 개념 외에 수강신청이라는 도메인을 도출했는데요, 그 이유는 “수강은 수강신청 후 결제가 완료되어야 성립된다”는 제 안의 암묵적인 경험에 의한 도메인 해석 때문이었습니다.그런데 사실 강의에서 제시된 사용자 스토리에는 결제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거 경험에서 비롯된 도메인이 자연스럽게 설계에 스며들었고, 결과적으로 오버엔지니어링으로 이어졌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이런 식의 ‘의도되지 않았지만 그럴듯한 도메인’을 설계에 넣고 싶은 유혹은 실제 회사에서 설계할 때도 자주 느끼는 부분입니다.그래서 토비님께서는 이런 상황에서 어떤 기준으로 도메인을 포함하거나 배제하시는지, 그리고 본인의 경험을 어떤 방식으로 설계에 녹이시는지가 궁금해졌습니다.바쁘시겠지만, 짧은 의견이라도 들려주시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인터페이스 위치를 결정하는 기준에 관해
안녕하세요 토비님, 강의 너무 재미있게 듣고 있습니다.인터페이스를 도메인 계층에 둘지, required 포트에 둘지 결정하는 기준이 있을까요?Splearn의 코드를 예로 들어보면, 도메인 서비스 인터페이스인 passwordEncoder는 어댑터 계층에서 구체적인 기술로 구현된다는 점에서 EmailSender, MemberRepository 같은 required 포트의 인터페이스와 유사하게 느껴집니다. 이들 모두 외부 세계(또는 특정 기술)와 애플리케이션을 분리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만약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에서 passwordEncoder를 사용해 비밀번호를 암호화한 후, 암호화된 비밀번호(passwordHash)를 Member.register 메서드에 인자로 직접 넘겨준다면, passwordEncoder 역시 required 포트에 위치할 수 있지 않을까요? 도메인 계층도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에 의존하지 않게 되고요.그런데도 불구하고 passwordEncoder를 도메인 계층의 인터페이스로 두신 이유가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record 생성 시 휴먼 에러 발생 가능성
안녕하세요, 토비님. 메서드 파라미터가 많아질 경우 record 타입의 parameter object를 사용하여 가독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해주셨는데요,이 방법으로도 parameter object 인스턴스 생성 시 argument를 잘못 전달한다거나 등의 휴먼 에러는 여전히 발생 가능하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java record도 kotlin의 named parameter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면 좋겠지만 검색해봤을땐 아직 제공하지 않는 것 같더라구요. 이처럼 argument 전달 버그는 예방할 방법이 없을까요? 혹은 강의 뒷부분에서 이러한 점을 개선해주실까요?record에 builder를 사용해야 하나 생각이 들긴 하는데, 괜찮은 방법인지는 물음표네요.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토비님이 생각하시는 복잡한 도메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안녕하세요. 토비님강의가 마치 의도하신 것 처럼 시니어 개발자님과 함께 개발하면서 의논하는 느낌으로 진행되어서 재밌게 잘 수강하고 있습니다.강의 내용에서 DDD는 도메인이 복잡해진 순간에 택해야 한다. 라는 말씀을 해주셨는데요.문득, "토비님이 생각하시는 도메인이 복잡해진 순간은 어떤 순간일까? 나름의 기준이 있으신걸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개인적으로 저는 어떻게 생각할까 라고 고민을 해봤는데요. 1) 도메인을 설명하기 위해서 개발자가 코드를 살펴봐야 하는 순간2) 각 도메인 간의 결합도가 고객의 유스케이스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하게 결합되어야 하는 경우이 두 가지가 떠올랐는데, 토비님의 견해가 궁금해서 질문드려봅니다!늘 양질의 강의를 제공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_ _)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Email Pattern 테스트 검증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토비님, 강의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이메일 패턴 테스트 관련해서 궁금한 부분이 생겨 질문을 드립니다.해당 강의를 기준으로 기존 : Member 엔티티에서 패턴 검증변경 후 : Email 값객체에서 패턴 검증 변경 후 단계에서 Email 값 객체에 패턴 검증하는 로직이 들어갔기에 해당 로직에 대한 테스트는 EmailTest 에 들어가야 하지 않는가? 라는 생각이 들어요.해당 부분에 대해 의견을 여쭙고 싶습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Mybatis같은 sql mapper를 사용시..
안녕하세요 토비님! 강의 너무 잘듣고 있습니다. 애그리거트 쪽 강의를 들으면서 문득 든 생각을 질문드립니다.현재 사내에서 하고 있는 프로젝트는 JPA를 전혀사용하지 않고 Mybatis만을 사용하고 있는데요 이런 경우에도 에그리거트라던가 헥사고날 아키텍쳐를 적용하면서 진행하는게 충분히 가능할까요? 그게 아니라면 기존에 적용하고 있는 흔히 말하는 레이어드 아키텍쳐 및 트랜잭션 스크립트 방식으로 진행하는게 더 나은 방법일까요?혹시라도 수준 떨어지는 질문이라면 사과드립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mise도 사용하시나요?
안녕하세요, 토비님.5강 개발 환경 구성(2)에서 sdk man을 소개해주셨는데요,저는 처음 보는 서비스라 찾아보니 최근에는 편의성 등을 이유로 mise를 많이들 사용하는 것 같더라구요. 강의에서는 mise 대신 sdk man을 사용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아무래도 java만 다루는 강의다보니 sdk man을 선택하신 걸까요?토비님께서도 실무나 개인적으로는 mise를 사용하시는지 혹은 다른 서비스를 사용하시는지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Objects.requireNonNull()`을 계속 사용하시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15강에서 스프링의 @NonNull 지원과 SpotBugs를 통해서 null 안정성을 확보하신 내용을 봤습니다. 그런데 계속해서 Objects.requireNonNull() 을 사용하시는 것을 보고 의문이 들었습니다. 이미 Member 객체의 null 안정성은 확보된 것이 아닌가요?굳이 Objects.requireNonNull() 을 계속 남기시는 이유를 생각해봤는데, 애노테이션+도구의 조합과 함께 코드적으로 null 안정성을 확보하고 싶으신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해당 도구가 사라져도 코드 수준의 안정성은 남아있기 때문에, 코드를 수정할 필요는 없어지니까요!) null 검증에 대해서만큼은 코드가 장황해지는 비용보다 추후의 변경에 대한 비용이 더 크다고 생각하시는 것 같은데, 제 이해가 맞을까요?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MemberRepositoryTest 중 Member table이 생성이 안됨
토비님 지금 강의 '엔티티 식별자와 JPA 엔티티' 섹션을 수강하던 중 MemberRepositoryTest에서 맴버 생성 테스트를 진행하는데 저는 Member 테이블이 생성이 안되어서 오류가 터지네요![Table "MEMBER" not found (this database is empty)토비님께서는 별 다른 설정 안하시고 해도 성공적으로 돌아갔는데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compose.yml 파일 질문
안녕하세요 토비님처음 프로젝트를 실행하면 compose.yml 파일이services: mysql: image: 'mysql:latest' environment: - 'MYSQL_DATABASE=mydatabase' - 'MYSQL_PASSWORD=secret' - 'MYSQL_ROOT_PASSWORD=verysecret' - 'MYSQL_USER=myuser' ports: - '3306' 이렇게 설정되어있는데 저기서 데이터베이스 이름이나 user 정보를 변경하면 빌드가 되지않습니다.저 상태 그대로 놔두면 빌드는 되는데 인텔리제이의 데이터베이스 탭을 이용해서 접근해보면 splearn(제경우에는 이름을 변경하지 못했으니 아마 mydatabase)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되지 않고 Server Objects라는 폴더 하나만 존재합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iterm 설정 문의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다름이 아니라 cat .sdkmanrc로 file을 출력할 때 줄 번호와 같이 이쁘게 정돈되어 출력되는 것을 보고 기능을 찾아보고 있는데 무엇인지 잘 모르겠어서 질문 글에서 여쭤봅니다.
-
해결됨Readable Code: 읽기 좋은 코드를 작성하는 사고법
사용할 변수 가깝게 선언하기 질문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안녕하세요. 강사님.강의 내용 중 사용할 변수는 가깝게 선언하기(4:40~6:25)에 대한 내용을 설명해주셨는데요. 해당 내용이 메서드에도 적용되는 또는 적용될 수 있는 내용인지 궁금합니다. 만약 코드가 엄청 길다고 가정하면 현실적으로 단축키를 활용하여 '선언 위치'로 갔다 되돌아와서 흐름을 이어 갈 것 같습니다. 그렇게 되면 가깝게 위치 하는 것이 큰 의미가 없을 것 같습니다.반면에 아래 예시처럼 짧다고 하면 사용하는 위치가 가깝다면 한 눈에 들어올 것 같은데요.메서드에는 크게 의미가 없는 부분인지? 아니면 적용하면 좋은건지 궁금합니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howGameStartComments(); initializeGame(); } private static void showGameStartComments(){} private static void initializeGame(){}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howGameStartComments(); initializeGame(); } private static void showGameStartComments(){} // 코드 20줄 (다른 메서드) private static void initializeGame(){}
-
미해결Readable Code: 읽기 좋은 코드를 작성하는 사고법
오버 엔지니어링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안녕하세요. 우빈님인프런 워밍업 클럽 덕분에 우빈님 강의를 끝까지 수강 중에 있는 러너입니다! 오버 엔지니어링 강의에서 오버 엔지니어링을 경계하고 적재적소에 리팩토링 강의에서 배웠던 것들을 써야한다. 이건 '경험'의 차원이라고 말씀하셨는데 실무에서 객체지향으로 개발하지 않는 경우에는 따로 '경험'을 쌓아야하는데 우빈님 강의 외에 적절하고 정확한 경험을 쌓을 수 있는 방법이 따로 있을까요? 간접 경험이라도 충분히 쌓을 수 있을 만한 방법이 있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실전! 코틀린과 스프링 부트로 도서관리 애플리케이션 개발하기 (Java 프로젝트 리팩토링)
이 질문이 왜 없는지 이해가 안 되지만 문제 인식 및 해결 방법 남깁니다.
getStats() 안에 쿼리 작성할 때, book에서 id와 name은 불러와지는데, type이 불러지지 않습니다. QBook 클래스에서 확인해보니 final type만 없더군요. 찾아보니 이유는 이러합니다. "Kotlin에서 type은 리플렉션/메타프로그래밍에서 자주 사용되는 예약 필드명이고, QueryDSL이 Q 클래스 생성 시 내부적으로 getType()을 쓰기 때문에 필드명 충돌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아 생성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gradlew clean kaptKotlin 명령어로 재빌드 한 후 Q 클래스를 다시 생성하거나 type 명칭을 bookType으로 수정하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저는 ./gradlew clean kaptKotlin로 재빌드하니 해결됐습니다.
-
미해결Readable Code: 읽기 좋은 코드를 작성하는 사고법
학습용 java/spring 오픈소스 추천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이름 짓기와 관련된 팁 중에서 "좋은 코드를 많이 보고, 자주 쓰이는 단어와 개념을 습득하라"는 내용이 인상 깊었습니다. 말씀하신 대로 좋은 코드를 보는 것이 중요한 것 같지만, 제가 Java와 Spring을 이제 막 배우기 시작한 단계라 어떤 오픈소스를 참고하면 좋을지 잘 모르겠습니다.혹시 Java와 Spring 기반의 좋은 오픈소스 프로젝트 중에서,코드 네이밍이나 구조가 잘 되어 있어서 참고하기 좋은 것실무와도 연관 지어 학습하기 좋은 것이 있다면 추천해주실 수 있을까요?또한, 강사님께서 개인적으로 공부하거나 추천하시는 오픈소스가 있으시다면 함께 공유해주시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실전! FastAPI 입문
post 작성 오류
강의 내용 그대로 따라왔는데swagger에서 확인하니 post 요청에서 json으로 작성할수가 없고, no parameter라고 떠요. 왜 이런 건가요?
-
미해결실전! 코틀린과 스프링 부트로 도서관리 애플리케이션 개발하기 (Java 프로젝트 리팩토링)
테스트를 위한 코드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테스트를 위한 코드로 보이는 fun fixture 라는 생성자 만드는 코드를 엔티티 안에 생성해주셨는데테스트가 아니면 따로 사용되지 않을 것 같은 코드를 엔티티 단 안에 작성해도 괜찮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