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PM을 위한 데이터 리터러시(프로덕트 데이터 분석)
6-7. 데이터 로그 설계 연습 문제 풀이
안녕하세요,6강의 데이터 로그 설계 연습 문제 풀이 올립니다. 피드백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1. 이런 음식 어때요 / 동네 맛집 등의 기능의 잘 작동하고 있는지 확인하려면?설정한 지표 : 이런 음식 어때요 / 동네 맛집 등의 button 클릭률분모 : "home" page 진입한 user의 수(예상 : client log 사용)event_name : view_homeevent_parametersession_iddatetime : "home" page 진입한 시점분자 : "home" page 내의 특정 button(ex. 이런 음식 어때요, 동네 맛집 등) 클릭한 user의 수(예상 : client log 사용)"이런 음식 어때요" button caseevent_name : click_food_recommendevent_parameterfood_id food_category datetime : 해당 버튼 클릭한 시점 sequence : 클릭한 음식 목록 버튼의 순서(몇 번째 음식을 선택했는가)session_id"동네 맛집" button caseevent_name : click_area_storeevent_parameterstore_idstore_food_categorystore_distance : 설정한 배달지와 가게 간의 거리store_review : 선택한 가게 리뷰 별점sequence : 클릭한 가게 버튼 순서(몇 번째 가게를 선택했는가)2. 검색 만족도 지표설정한 지표 : 검색 통한 음식 목록 클릭 전환률분모 : search API request 후, response를 받은 user의 수(예상 : server log 활용)event_name : use_search_apievent_parametersearch_word : 검색 창에 입력한 단어datetime : response 받은 시점session_iduser_id분자 : search API 통해 받은 response에서 특정 음식 목록 버튼 클릭한 user의 수(예상 : client log 활용)event_name : click_search_resultevent_parameterfood_idfood_categoryfood_pricedatetime : 특정 음식 버튼 클릭한 시점sequence : 몇 번째 결과 클릭했는지session_id3. 검색 필터 기능의 활성화 지표설정한 지표 : 검색 기능 활용 시, 필터 사용률분모 : search API 사용한 user의 수(예상 : server log 활용)event_name, event_parameter는 2번 문제에서 정의한 내용(분모 part)과 이하 동문분자 : search API 사용 시, 필터 버튼 클릭한 user의 수(예상 : client log 활용)event_name : use_search_filterevent_parametersearch_word : 검색 창에 입력한 단어filter_name : 필터 명(ex. 가격 순, 거리 순 등)number_used_filter : 검색에 사용한 필터 수session_id
-
해결됨PM을 위한 데이터 리터러시(프로덕트 데이터 분석)
6-7 데이터 로그 설계 연습
안녕하세요! 6-7 데이터 로그 설계 실습해보았습니다.알려주신대로 데이터를 너무 많이 수집하면 사용자 경험에 해를 가할 수 있기 때문에 추후 분석이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로그 설계 해보았습니다!!처음이라 부족하지만 많이 지적해주시고 조언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질문 1. 저는 카테고리 열과 행(위치)이 유저들의 클릭 이벤트 수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했는데 제 가설이 맞을까요? 아니면 다른 방법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질문 2. 검색어와 검색된 음식의 유사도가 어느정도냐(검색 기술 수준)에 따라서 검색 기능이 잘 동작하는 지 확인할 수 있을 것 같아서 검색 유사도라는 파라미터를 삽입했는데 옳은 판단이었을까요?!질문 정리질문 1. 저는 카테고리 열과 행(위치)이 유저들의 클릭 이벤트 수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했는데 제 가설이 맞을까요? 아니면 다른 방법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질문 2. 검색어와 검색된 음식의 유사도가 어느정도냐(검색 기술 수준)에 따라서 검색 기능이 잘 동작하는 지 확인할 수 있을 것 같아서 검색 유사도라는 파라미터를 삽입했는데 옳은 판단이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