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1 - 언리얼 C++의 이해
구조체 바뀐내용 질문
안녕하세요. 현재 5.1버전의 올려주신 문서를 확인할 수 없긴 한데. 해당 내용에 구조체가 5.2에 와서는 가비지 컬렉션시스템에 의해 관리되지 않으며 UFUNCTION 함수를 제공할 수 없다고 뜨거든요. 5.1때는 가능했고 이게 바뀌었다는 걸까요?https://dev.epicgames.com/documentation/ko-kr/unreal-engine/structs-in-unreal-engine?application_version=5.25.1 구조체 내용은 더이상 찾아볼 수 없습니다.
-
미해결BigQuery(SQL) 활용편(퍼널 분석, 리텐션 분석)
[인프런 빅쿼리 빠짝스터디 2주차] 윈도우함수 활용 방법과 null을 다루는 법
[1~2번]윈도우 함수(탐색 함수) 연습 문제 1번 select *, lead(visit_month, 1) over(partition by user_id order by visit_month) as next_visit_month, lead(visit_month, 2) over(partition by user_id order by visit_month) as two_next_visit_month from `advanced.analytics_function_01 2번select *, lead(visit_month, 1) over(partition by user_id order by visit_month) as next_visit_month, lead(visit_month, 2) over(partition by user_id order by visit_month) as two_next_visit_month, lag(visit_month, 1) over(partition by user_id order by visit_month) as before_visit_month from `advanced.analytics_function_01` [1~4번] 윈도우 함수 Frame 연습 문제 1번/* 전체 계산 할 때 왜 over()를 써야 하는지 몰랐습니다. 그러나 일반 집계 함수의 방식과 비교해보니, 사용 이유를 알게 됐습니다. 집계함수를 사용할 때 over()를 사용했다는 건 '윈도우 함수가 적용된 결과값(각 행마다 결과 값이 반환 되는 것)으로 보겠다'는 의미인 걸 알게 됐습니다. 같은 집계함수를 사용하더라도 '어떤 방식(결과를 1개 행으로만 받아볼지, 여러개 값으로 받아볼지)으로 결과 값을 받아 볼 지' 생각해 봐야 한다는 걸 알았습니다. */ select *, sum(amount) over() as amount_total from `advanced.orders` 2번/* 처음에는 누적합을 구하는 건데 왜 over() 안에 order by를 써야하는지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누적합도 "어떤 방식으로 계산할지 '계산 방식'"을 지정해 줘야 한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 /* select *, sum(amount) over(order by order_id) as cumulative_sum from `advanced.orders` 3번select *, sum(amount) over(partition by user_id order by order_id) as cumulative_sum_by_user from `advanced.orders` 4번/* over() 안에 사용하는 order by와 over() 밖에서 사용하는 order by를 명확히 이해했습니다. 윈도우 함수에서 사용하는 order by는 '계산 순서'를 정하는 것이고, 윈도우 함수 밖에서 사용한 order by는 '눈에 보이는 정렬'을 컨트롤 한다는 걸 이해했습니다. 이해할 때 '쿼리 작동 순서'를 생각했더니, 큰 도움이 됐습니다. */ select *, avg(amount) over(order by order_id rows between 5 preceding and 1 preceding) as last_5_orders_avg_amount from `advanced.orders` order by order_id [1~7번] 윈도우 함수 연습 문제 1번select *, count(user) over(partition by user) as total_query_cnt from `advanced.query_logs` order by query_date 2번/* - date 형식 데이터를 extract()로 주 형식으로 바꾸는 걸 알게 됐습니다 - partition by 내에 2개 이상 컬럼을 넣어도 된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 */ with user_query_cnt as ( select extract(week from query_date) as week_number, team, user, count(user) as query_cnt from `advanced.query_logs` group by all ) select *, rank() over(partition by week_number, team order by query_cnt desc) as team_rank from user_query_cnt qualify team_rank = 1 order by 1,2 3번/* - lag()와 함께 쓰는 over() 사용법이 헷갈렸는데, 실행 후 수정하는 방향으로 쿼리를 작성해 보라고 하신 점이 인상 깊게 와닿았습니다. */ with base as ( select user, team, extract(week FROM query_date) as week_number, count(user) as query_count from advanced.query_logs group by all ) select *, lag(query_count, 1) over(partition by user order by week_number) as pre_query_cnt from base4번/* qualify cumulative_query_cnt != cumulative_query_cnt2 위 쿼리로 정합성을 체크하는 방식을 배우게 됐습니다. */ ## 4번 with query_cnt as ( select *, count(user) as query_count from advanced.query_logs group by all ) select *, sum(query_count) over(partition by user order by query_date) as cumulative_query_cnt, sum(query_count) over(partition by user order by query_date rows between unbounded preceding and current row) as cumulative_query_cnt2 from query_cnt -- qualify cumulative_query_cnt != cumulative_query_cnt2 5번/* - 4번에서 배운 정합성 체크하는 쿼리를 이용해서 컬럼 내 값이 있는지 테스트 해봤습니다. */ ## 정합성 테스트 -- select -- * -- from ( -- select -- *, -- last_value(number_of_orders) over(order by date) as last_values_order -- from raw_data -- ) as test1 -- where -- number_of_orders != last_values_order select *, last_value(number_of_orders ignore nulls) over(order by date) as last_values_order from raw_data 6번/* 처음에는 1. 평균을 구하고 2. 해당 테이블을 서브쿼리로 두고, lag(컬럼, 2)를 해야 하는줄 알았습니다. 그러나 Frame 사용 방법이 생각났고, 조건에 맞게 범위를 설정해서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 ## 6번 , base2 as ( select *, last_value(number_of_orders ignore nulls) over(order by date) as last_values_order, from raw_data ) select *, avg(last_values_order) over(order by date rows between 2 preceding and current row) as moving_avg from base2 7번/* - 타임스탬프 데이터를 다루는 다양한 방법을 알게 됐습니다. - 실무에서는 세션 기준과 보고 싶은 유저 혹은 이벤트를 지정해서 사용해도 된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 */ with base as ( select event_date, event_timestamp, datetime(timestamp_micros(event_timestamp), 'Asia/Seoul') as event_datetime, event_name, user_id, user_pseudo_id from `advanced.app_logs` where event_date = '2022-08-18' and user_pseudo_id = '1997494153.8491999091' ) select *, sum(session_start) over(order by event_datetime) as session_id from ( select *, case when second_diff >= 20 then 1 when second_diff is null then 1 else 0 end session_start from ( select *, timestamp_diff(event_datetime, before_event_datetime, second) as second_diff from ( select *, lag(event_datetime, 1) over(partition by user_pseudo_id order by event_datetime) as before_event_datetime from base ) as base2 ) as base3 ) as base4
-
미해결BigQuery(SQL) 활용편(퍼널 분석, 리텐션 분석)
[빠짝스터디 2주차 과제] 윈도우 함수 연습 문제
윈도우 함수 (탐색 함수) 연습 문제1번SELECT user_id, visit_month, lead(visit_month, 1) OVER(PARTITION BY user_id ORDER BY visit_month) AS next_1month, lead(visit_month, 2) OVER(PARTITION BY user_id ORDER BY visit_month) AS next_2month, FROM advanced.analytics_function_01 ORDER BY 1,2;2번SELECT user_id, visit_month, lead(visit_month, 1) OVER(PARTITION BY user_id ORDER BY visit_month) AS next_1month, lead(visit_month, 2) OVER(PARTITION BY user_id ORDER BY visit_month) AS next_2month, lag(visit_month, 1) OVER(PARTITION BY user_id ORDER BY visit_month) AS pre_1month FROM advanced.analytics_function_01 ORDER BY 1,2;윈도우 함수 연습 문제1번SELECT user, team, query_date, count(user) over(PARTITION BY user) AS total_query_cnt FROM advanced.query_logs ORDER BY query_date, user2번WITH base AS ( SELECT EXTRACT(week FROM query_date) AS week_number, team, user, count(user) AS query_cnt FROM advanced.query_logs GROUP BY 1,2,3 ) SELECT *, rank() OVER(PARTITION BY week_number, team ORDER BY query_cnt desc) AS team_rank FROM base QUALIFY team_rank = 1 ORDER BY week_number, query_cnt desc;3번WITH base AS ( SELECT EXTRACT(week FROM query_date) AS week_number, team, user, count(user) AS query_cnt FROM advanced.query_logs GROUP BY 1,2,3 ) SELECT *, lag(query_cnt) OVER(PARTITION BY team, user ORDER BY week_number asc) AS prev_week_query_cnt FROM base ORDER BY team, user, week_number;4번WITH base AS ( SELECT user, team, query_date, COUNT(user) as query_count FROM advanced.query_logs GROUP BY 1,2,3 ) SELECT user, team, query_date, query_count, SUM(query_count) OVER(PARTITION BY team, user ROWS BETWEEN UNBOUNDED PRECEDING AND CURRENT ROW) AS cumulative_query_count FROM base ORDER BY team, user, query_date;5번WITH raw_data AS( SELECT DATE'2024-05-01'AS date,15 AS number_of_orders UNION ALL SELECT DATE'2024-05-02',13 UNION ALL SELECT DATE'2024-05-03',NULL UNION ALL SELECT DATE'2024-05-04',16 UNION ALL SELECT DATE'2024-05-05',NULL UNION ALL SELECT DATE'2024-05-06',18 UNION ALL SELECT DATE'2024-05-07',20 UNION ALL SELECT DATE'2024-05-08',NULL UNION ALL SELECT DATE'2024-05-09',13 UNION ALL SELECT DATE'2024-05-10',14 UNION ALL SELECT DATE'2024-05-11',NULL UNION ALL SELECT DATE'2024-05-12',NULL ) SELECT date, IF(number_of_orders is null , last_value(number_of_orders IGNORE NULLS) OVER(ORDER BY date asc), number_of_orders) AS number_of_orders_not_null FROM raw_data;6번WITH raw_data AS( SELECT DATE'2024-05-01'AS date,15 AS number_of_orders UNION ALL SELECT DATE'2024-05-02',13 UNION ALL SELECT DATE'2024-05-03',NULL UNION ALL SELECT DATE'2024-05-04',16 UNION ALL SELECT DATE'2024-05-05',NULL UNION ALL SELECT DATE'2024-05-06',18 UNION ALL SELECT DATE'2024-05-07',20 UNION ALL SELECT DATE'2024-05-08',NULL UNION ALL SELECT DATE'2024-05-09',13 UNION ALL SELECT DATE'2024-05-10',14 UNION ALL SELECT DATE'2024-05-11',NULL UNION ALL SELECT DATE'2024-05-12',NULL ), fill_null AS ( SELECT date, IF(number_of_orders is null , last_value(number_of_orders IGNORE NULLS) OVER(ORDER BY date asc), number_of_orders) AS number_of_orders_not_null FROM raw_data ) SELECT date, number_of_orders_not_null, avg(number_of_orders_not_null) OVER(ORDER BY date ROWS BETWEEN 2 PRECEDING AND CURRENT ROW) AS moving_avg FROM fill_null;7번WITH base AS ( SELECT event_date, event_timestamp, DATETIME(TIMESTAMP_MICROS(event_timestamp), 'Asia/Seoul') AS event_datetime, event_name, user_id, user_pseudo_id FROM advanced.app_logs WHERE event_date = '2022-08-18' ), diff_date AS ( SELECT *, DATETIME_DIFF(event_datetime, pre_event_time, second) AS date_diff_sec FROM ( SELECT *, LAG(event_datetime, 1) OVER(PARTITION BY user_pseudo_id ORDER BY event_datetime asc) AS pre_event_time FROM base ) ), session_start AS ( SELECT *, CASE WHEN pre_event_time IS NULL THEN 1 WHEN date_diff_sec >= 20 THEN 1 END AS start_session FROM diff_date ) SELECT event_date, event_datetime, event_name, user_id, user_pseudo_id, date_diff_sec, SUM(start_session) OVER(PARTITION BY user_pseudo_id ORDER BY event_datetime) AS session_id FROM session_start ORDER BY user_pseudo_id, event_datetime;
-
미해결RAG를 활용한 LLM Application 개발 (feat. LangChain)
langsmith에서 openai 대신 upstage를 사용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upstage를 사용해 실습을 진행하던 중from langsmith.wrappers import wrap_openai 부분에서 막혀서 질문 드립니다.openai 대신 upstage를 사용하려면 어떤 라이브러리를 써야 하나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해시 충돌에 대해서 질문이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을 올립니다.해시 리스트? 를 만들고, 데이터를 넣다 보면 어쩔 수 없이 해시 충돌이 일어날 수 밖에 없을것 같은데요.여기서 질문이 생깁니다.영한님이 쓰신 대로 링크드 리스트를 이용해서, 해시 리스트를 만들었다고 치고데이터를 넣다 보니, 해시 충돌이 여러 번 일어나는 경우가 생겼습니다. 여기서 해시 충돌이 몇번 일어 나는게, 최악의 상황인가요?캐파시티를 40개 로 해 놓고, for문으로 8만개의 숫자를 넣어보니사진처럼 나오던데요. (제컴 기준 i3, 렘16기가)즉 질문은해시 충돌을 계속 일으켜야 하는 상황 이라면, 해시 충돌을 몇 번 일으 키는게 메모리 상? 안전한가요?답변 부탁 드립니다.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톰캣을 도커 컨테이너로 실행하시는 분들
영상과 달리 webapps안에 manager와 host-manager 디렉토리가 안보이실텐데 webapps.dist 디렉토리 안에 있습니다. 영상처럼 context.xml 수정하시고 cp -R webapps.dist/* webapps 명령어로 webapps.dist 안에 있는 파일들을 복사하여 webapps 아래로 옮겨주시고 재부팅하시면 됩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service에 dto 전달
안녕하세요!! service 메소드 호출 파라미터 관련 질문드립니다 saveMemberV2()에서 request.getName()으로 받은 이름을 member객체에 set 해주고, 이 member를 memberService.join()에 파라미터로 넘겨주는 방식인 것 같은데, memberService.join에 request를 통으로 넘겨서, 이후 join 메소드에서 member.setName(request.getName()) 후 처리하는 방식 은 사용하면 안되는 것인가요? 후자를 이용한다면 memberSerive.join의 파라미터도 Member 타입에서 CreateMemberRequest로 바꾸고요...!!
-
미해결[왕초보편] 앱 8개를 만들면서 배우는 안드로이드 코틀린(Android Kotlin)
빈프로젝트 형성 후 바로 오류가 납니다
empty poject 형성 후 바로 오류가 뜹니다....
-
미해결
작업형 2 모의문제 2
해당 상황에서 왜 train 데이터에서 id를 제거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질문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송아지 찾기 ch = new int[10001];10001 로 선언하는 이유가 확실히 이해가 가지 않아요...범위가 1부터 10000인데 왜 ch 배열의 크기는 10001로 설정하셨나요...?ㅠㅠ 감사합니다.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편)
실습 pc 사양
현재 그램 노트북에서 실습을 진행중입니다.CPU 6 core, RAM 16 GB인데 vm 세개를 동시에 돌리면메모리 사용량이 99%까지 차면서 노트북이 정상적으로 작동을 안합니다..혹시 해결 방법이나 차선책이 있을까요?작업 관리자에서 확인해보니 vagrant가 메모리를 많이 차지하는 것 같은데VM 생성 이후에는 그냥 vagrant 없이 oracle vm과 xshell 로만 실습을 해도 될까요?지금은 환경구성 단계까지만 실습을 했는데 그 뒤 강의에서 vagrant가 없어도 되는지도 궁금합니다.
-
해결됨[임베디드 입문용] 임베디드 개발은 실제로 이렇게 해요.
드라이기 동작질문
난방실 만들기(온도에 따른 드라이기 제어)4 수강중온도변화에 따른 드라이기 동작은 됩니다.(45도미만 에서 드라이기 켜짐 / 50도 이상에서 드라이기꺼짐) 그런데 드라이기가 켜질때 이전 강의에서 AC Relay를 이용해 2초마다 드라이기를 끄고 켰던것처럼 동작합니다 (드라이기가 지속적으로 동작하는게 아니라 2초마다 켜졌다 꺼졋다합니다)// HAL_GPIO_TogglePin(PB5_RELAY_ON_OFF_CTRL_GPIO_Port, PB5_RELAY_ON_OFF_CTRL_Pin);// HAL_Delay(2000);위 코드를 주석처리하거나 지운상태로 디버그를 해도 그렇게 동작합니다하드웨어적으로도 확인 해봤는데 문제가 없는 것 같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팝잇콘이 안 뜹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의 내용 14분 대에서 하신 것처럼 localhost:8080으로 들어갔는데, 에러메시지는 제대로 뜨지만 팝잇콘이 강사님의 말씀처럼 뜨지 않습니다 ㅜㅠㅜㅜ 뭐가 잘못된 걸까요?
-
미해결[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주석처리 질문
원래 주석처리 된거 드래그 후 ctrl + / 를 해도 주석변경이 안되고 계속 / 기호가 나와요. 항상 그러는게 아니라 어떨때는 되고 어떨때는 안되는데 혹시 이유가 있을까요?
-
미해결토비의 스프링 6 - 이해와 원리
스프링 부트와의 강의 순서 질문
안녕하세요, 토비님.저는 Spring 과 Java로 개발을 했었으나 좀 까먹은 상태고, 이번에 하면서 스프링에서 말하는 DI, AOP, Spring Application Context 등 여러 개념을 한번에 이해하고 넘어가고 싶습니다.업무에 사용할 예정은 Spring 3.X 대의 최신 버전입니다.이런 상태에서 토비의 스프링 부트와 토비의 스프링 6이 둘 다 있는데 어떤 것부터 들으면 좋을까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질문이있습니다
섹션8에 axios인터셉터와 access토큰 보고있습니다 여기서 지금 todo나 product를 클릭하면 오류나는데jwtfilter에서String accessToken = authHeaderStr.substring(7);이부분에서 request.getHeader ==null 이라 오류가뜨는데음.,..이게 mainpage나 about페이지에서는 왜오류가 안나는 지 궁금합니다...왜냐면 OncePerRequestFilter 를 상속받아서 if(path.startsWith("/api/member/")){ return true; }조건문을 member만 필터 제외시킨거같은데...
-
해결됨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배포 환경에서 request.nextUrl.origin 질문
안녕하세요 nextjs를 활용해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중에 해결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여 질문 드립니다.현재 도커를 활용해서 nextjs를 배포하고 있는데middleware에서 request.nextUrl.origin값이 https://localhost:3000이 들어가고 있습니다.x-forwarded-host를 찍었을때는 제가 사용하는 https://test.domain.com이 들어가는데 request.nextUrl.origin에 x-forwared-host와 같은 값이 들어가도록 설정하기 위한 방법이 있는지 알 수 있을까요??
-
해결됨직장인에게 꼭 필요한 파이썬-아래아한글 자동화 레시피
[성공 경험] hwp 문서 내에 파일명 타이핑하고 저장하기
이건 질문 아닙니다. ^^ 구현하고 싶은 간단한 내용이 있었는데,강의에서 배운 내용을 기반으로 하고, A.I.에 질문하여 코드를 작성한 후 정상 작동에 성공했습니다. 저 같은 왕초보도 작동하는 뭔가를 만들어 내게 하는 이 강의는 정말 훌륭합니다~!아주 기초적이고 작은 성공이라도 동기부여를 위해 소중합니다. ^^ # ■ 아래 코드의 용도 --- 작동 성공했음 _24-10-30 11:26 # "C:\\Users\\user\\Desktop\\제목 추가\\"에 여러 개의 hwp 파일들이 있을 때 # 파일을 하나씩 열고, 문서의 맨 처음으로 이동하여 파일명(~~~.hwp)을 타이핑하고 엔터를 3번 친 후 저장하고 닫기 import win32com.client as win32 hwp = win32.gencache.EnsureDispatch("hwpframe.hwpobject") hwp.XHwpWindows.Item(0).Visible = True hwp.RegisterModule("FilePathCheckDLL","FilePathCheckerModule") import os from time import sleep os.chdir("C:\\Users\\user\\Desktop\\제목 추가\\") # r"C:\Users\user\Desktop\\제목 추가\\"로도 작동 성공함 for i in os.listdir(): hwp.Open(os.path.join(os.getcwd(), i)) sleep(0.2) # 문서 객체 가져오기 --- 일코 doc = hwp.XHwpDocuments.Item(0) # 전체 경로에서 파일명 추출 --- 일코, GPT full_path = doc.FullName file_name = os.path.basename(full_path) # 커서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 (예: 문서 맨 처음) --- GPT hwp.HAction.Run("MoveTopLevelBegin") # 파일명 입력 (타이핑) --- GPT hwp.HAction.GetDefault("InsertText", hwp.HParameterSet.HInsertText.HSet) hwp.HParameterSet.HInsertText.Text = file_name hwp.HAction.Execute("InsertText", hwp.HParameterSet.HInsertText.HSet) # 엔터를 3번 치기 --- GPT for _ in range(3): hwp.HAction.Run("BreakPara") hwp.Save() hwp.Clear(1)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18]에서 level을 5에서 6으로 변경한 것 아닌가요?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질문과 관련된 영상 위치를 알려주면 더 빠르게 답변할 수 있어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18]에서 level을 5에서 6으로 변경한 것 아닌가요? 결과가 5가 나오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유연하지 못하다의 뜻이 궁금합니다.
[질문 내용] @Test @DisplayName("{빈이름+구체타입}으로 조회")//유연하지 못함 void findBeanByName2() {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context.getBean("memberService", MemberServiceImpl.class); assertThat(memberService).isInstanceOf(MemberServiceImpl.class); }강사님께서 유연하지 못하다 언급만하시고 빠르게 넘어가셔서 질문남깁니다.위 소스와같이 getBean의 두번째 인자로 구체타입을 명시하는 것이 어떤 상황에서 유연하지 못한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