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무한 depth 설계에 path enumeration 방식을 선택한 이유?
학습 관련 질문을 최대한 상세히 남겨주세요!고민 과정도 같이 나열해주셔도 좋습니다.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안녕하세요 무한 depth는 이전 강의에 소개된 adjency list로도 구현이 가능하고 또 adjacency list, path enumeration 방법 외에도 nested set, closure table 방법도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path enumeration 방법을 선택한 이유가 따로 있을까요??
-
해결됨RabbitMQ를 이용한 비동기 아키텍처 한방에 해결하기
클러스터와 페더레이션 관련 PDF 내용은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마지막 강의 영상의 6분 이후부터 본 강의 내용에는 없지만 강사님이 자료 정리 해주신 큐 제어하기, 클러스터와 페더레이션 관련 내용이 있는데 다운로드 받은 pdf 자료에서는 없네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메서드
[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public class MemberThis { public String nameField; public void initMember( String nameParameter ) { nameField = nameParameter ; }} 위에서 public void initMember( String nameParameter ) 이 메서드를 선언하는거라고 생각했는데요. 왜 public이랑 void 사이에 static이 없는건가요? 왜 없어도 되는건지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연결 리스트의 삭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항상 감사하게 보고있습니다연결리스트의 삭제에서 초기화를 시킨다고 했는데 참조값의 연결의 끊으면 사용되지 않으므로 gc대상이 되니 초기화는 안해도 되지 않나요?제가 놓친 부분이 있으면 말씀 부탁드리겠습니다 :)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값타입을 엔티티로 승급하면
39:00 쯤에 자체적인 id 가 있다면 엔티티이므로 엔티티의 값을 수정할 수 있다고 말씀하셨는데요.수정할 수 있다는 데이터는 모든 값타입을 의미하는 건 아니라고 받아드려지는데 맞을까요?즉, "값타입(자바 기본값(원시, 포장) , 임베디드, 컬렉션) 들 중에자바 기본값만 수정해도 된다."(임베디드와 컬렉션은 setter메소드를 사용하면 안되니private나 제거를 해야한다고 권장하셨기 떄문입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v1에서 POST할때 insert문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Postman에서 http://localhost:8080/api/v1/members를 POST하는 것을 하고 있는데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뜨고 insert into member (city, street, zipcode, name, member_id) values(NULL, NULL, NULL, 'hello', 1) 도 안뜨고 insert문 또한 한줄로 안나타나고 여러줄로 나옵니다...왜 이런걸까요 ?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일대일 관계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강의에서 `주 테이블이나 대상 테이블 중에 외래 키 선택 가능`이라고 하셨는데`대상 테이블에 외래키가 있는 일대일 단방향 관계는 JPA에서 지원 안한다는 게` 무슨 말인가요..?그러면 외래 키 선택 기준 이런 거 얘기할 필요 없이 무조건 일대일 단방향 관계에서는 주 테이블에 외래키를 설정해야하는 거 아닌가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em.flush()유무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Team team = new Team(); team.setName("TeamA"); em.persist(team); Member member = new Member();member.setName("member1");member.setTeam(team);em.persist(member);//em.flush(); // 영속성 컨텍스트에 있는 쿼리를 db에 전송한다.//em.clear(); // 영속성 컨텍스트를 초기화// 이렇게 하면, 위 em.persist()를 통해 영속성컨텍스트에 있는 Member를 가져오는게 아니라, // em.find()를 할때 db에서 select를 해서 가져온다. Team findTeam = em.find(Team.class, team.getId()); List<Member> members = findTeam.getMembers(); for (Member m : members) { System.out.println("m = " + m.getName()); }여기에서 em.flush()와 em.clear()를 하지않으면, findTeam에 Members가 비어있는 이유가 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em.flush()를해서 db에 있는 Team데이터와, em.flush()하지않은 영속성컨텍스트에 있는 Team데이터가 무엇이 다르길래 영속성컨텍스트에서 em.find를 하면 members가 비어있는것인지 모르겠습니다. 즉, db를 통해 em.find하면 members가 있고, 영속성컨텍스트를 통해 em.find를 하면 members가 없는데 왜 그런것인가요?1차캐시에 team데이터를 저장하는것과 db에 team데이터를 저장하는것이 다른가요? 강의를 계속 봐도 이해가 가질않아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카프카 설치 오류
카프카 설치 과정에서 뭔가 오류가 발생한거 같은데 해결이 어려워 글 남겨봅니다. 2025-02-05 20:04:47 ===> User2025-02-05 20:04:47 uid=1000(appuser) gid=1000(appuser) groups=1000(appuser)2025-02-05 20:04:47 ===> Setting default values of environment variables if not already set.2025-02-05 20:04:47 CLUSTER_ID not set. Setting it to default value: "5L6g3nShT-eMCtK--X86sw"2025-02-05 20:04:47 ===> Configuring ...2025-02-05 20:04:47 ===> Launching ... 2025-02-05 20:04:47 ===> Using provided cluster id 5L6g3nShT-eMCtK--X86sw ...2025-02-05 20:04:47 # # A fatal error has been detected by the Java Runtime Environment: # # SIGILL (0x4) at pc=0x0000ffff9513fc5c, pid=13, tid=390 # # JRE version: (21.0.4+7) (build ) # Java VM: OpenJDK 64-Bit Server VM (21.0.4+7-LTS, mixed mode, sharing, tiered, compressed oops, compressed class ptrs, g1 gc, linux-aarch64) # Problematic frame: # j java.lang.System.registerNatives()V+0 java.base # # No core dump will be written. Core dumps have been disabled. To enable core dumping, try "ulimit -c unlimited" before starting Java again # # An error report file with more information is saved as: # /tmp/hs_err_pid13.log [0.016s][warning][os] Loading hsdis library failed # # The crash happened outside the Java Virtual Machine in native code. # See problematic frame for where to report the bug. # 오류 로그는 이렇구요.대강.. 자바 버전? 제 로컬환경과 뭔가 문제가 있는거 같은데.. 맥미니 M4 이구,java -versionopenjdk version "21.0.5" 2024-10-15OpenJDK Runtime Environment Homebrew (build 21.0.5)OpenJDK 64-Bit Server VM Homebrew (build 21.0.5, mixed mode, sharing) 검색해보니 M4에서만 일어나는 문제인거 같기도 하고.. sve 라는 옵션을 꺼보래서docker run -d --name kuke-board-kafka -p 9092:9092 -e FAFKA_JVM_PERFORMANCE_OPTS="-XX:UseSVE=0" apache/kafka:3.8.0 이런식으로 설치 해봤는데 마찬가지네요.뭘 시도해봐야할지 도움 좀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테스트에서 트랜잭션 어노테이션 질문 있습니다.
먼저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해당 예제대로 진행하면 전부 동작 잘하는데 비관적 락 테스트 할때 테스트에 @Transactional을 붙이면 동작이 지연되다 실패하는데 그러한 이유로 테스트 전후 처리를 해주시는 걸까요?테스트에서 @Transactional(롤백)을 사용안하시는 이유가 있을까요?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회의실 배정 문제조건
문제조건에 동시간대에 진행되는 회의는 없다는 전제가 따로 없어서 혼동스러웠는데요..그런 케이스는 없는 경우에만 강의 풀이가 적용되는게 맞을까요? 31 31 11 1 이런경우 반례이지 않나 싶습니다.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강의 완강 후 다시 듣는 중, 배포 도전...?
만들어진 게시판을 간단하게 배포를 하려면 어떤 순서로 하는 것이 좋을까요? 직접 배포를 해보고 데이터의 이동 흐름을 보고 싶어서요. GPT 선생님은 아래와 같이 하라고 하는데, 선생님께서 생각하는 간단한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더... 🚀 간단한 배포 방법Docker Compose 파일 작성 (docker-compose.yml)애플리케이션 컨테이너화 (Dockerfile)서버(배포 환경)에서 실행1⃣ docker-compose.yml을 작성해서 모든 서비스(MySQL, Redis, Kafka, App)를 한 번에 실행2⃣ Dockerfile을 작성해서 애플리케이션을 컨테이너화3⃣ 서버에서 docker-compose up -d --build 실행으로 배포 완료
-
미해결실전! Querydsl
h2db와 QueryDSL사용시 preparedStatement의 한글깨짐
영한님 강의에서 where절에 들어가는 모든 구분은 전부영어입니다.ex) where(member.username.eq("member1")) 근데 저는 한글데이터를 넣고 where을 해보니 원하는 결과가 조회되지않았고 다음과같은 로그가 출력됩니다. org.hibernate.orm.jdbc.bind : binding parameter (1:VARCHAR) <- [%2프%]/**/prep5.setString(1, "%2\u1111\u1173%"); '2프'라는 글자를 where절에 넣어서 조회하려하고 hibernate에서는 실제로 %2프% 라는 원하는 결과를 바인딩 해줬습니다. 하지만 h2db의 로그에서는 2는 제대로지만 프가 ㅍ과 ㅡ를 분리하여 유니코드로 치환된 상태로 바인딩이 되서 분명 데이터가 있음에도 아무데이터도 조회되지않습니다. h2db에서 prepareStatement에 한글을 바인딩할때 깨지는현상 어떻게 해결할 수 있나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h2database 설치 안됨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h2database 설치 페이지로 아예 넘어가질 않습니다.사이트의 문제인건가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Error: Could not find or load main class ArticleApplication
안녕하세요.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세팅 중 계속해서 같은 예외가 발생해 문의드립니다.해당 예외 발생 관련해 검색해서 Settings, Project Structure의 버전도 확인하였고, 혹시 build.gradle에서 문제가 있는건가 싶어 강사님의 build.gradle 파일을 복사해서 재빌드 해보았지만 계속 같은 예외가 발생하고 있습니다.File > invalidate Caches > Invalidate and restart도 안되네요..어떻게 해야하나요?? ㅜㅜ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섹션4 강의 문의 입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항상 잘 보고있습니다 🙂이번 강의에서 ArrayList 클래스를 직접 사용하지 않고, 별도로 클래스를 구현하여 기능을 설명해 주셨는데요.이전 강의에서는 직접 구현한 뒤 해당 클래스를 함께 활용하셨던 것으로 기억하는데,이번에는 ArrayList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직접 구현만 하신 점이 궁금해서 문의드립니다.혹시 ArrayList를 사용하지 않아도 충분히 개념을 설명할 수 있어서 그렇게 진행하신 걸까요?아니면 별도로 구현하는 것이 ArrayList의 내부 구조를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일까요? 강의 정말 유익하게 보고 있으며, 많은 걸 배워가고 있습니다!제 질문이 혹시 의도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것이라면 너그럽게 이해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미해결실전! Querydsl
프로젝트 세팅시 궁금한게 있습니다 !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4.2'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7' } group = 'study' version = '0.0.1-SNAPSHOT' java { toolchain { languageVersion = JavaLanguageVersion.of(17) } } 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implementation 'com.github.gavlyukovskiy:p6spy-spring-boot-starter:1.9.0'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runtimeOnly 'com.h2database:h2'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test 롬복 사용 test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test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Querydsl 추가 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jpa:5.0.0:jakarta' annotationProcessor "com.querydsl:querydsl-apt:${dependencyManagement.importedProperties['querydsl.version']}:jakarta" annotationProcessor "jakarta.annotation:jakarta.annotation-api" annotationProcessor "jakarta.persistence:jakarta.persistence-api" } 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 } clean { delete file('src/main/generated') } 프로젝트 세팅하면서 두 가지 궁금한게 있습니다. 강의 교안에 나와있는것처럼 세팅을 완료하였는데, "Gradle -> Tasks -> other -> compileQuerydsl" 여기서 compileQuerydsl이 보이지 않습니다. compileJava를 하면 Q도메인이 생성되는데, 이러면 문제 없는게 맞을까요 ?Q도메인을 보면, 아래와 같이 javax.annotation.이 생성되는데, 이건 jakarta가 아니어도 상관 없는것일까요? package study.querydsl.entity; import static com.querydsl.core.types.PathMetadataFactory.*; import com.querydsl.core.types.dsl.*; import com.querydsl.core.types.PathMetadata; import javax.annotation.processing.Generated; import com.querydsl.core.types.Path; /** * QHello is a Querydsl query type for Hello */ @Generated("com.querydsl.codegen.DefaultEntitySerializer") public class QHello extends EntityPathBase<Hello> { private static final long serialVersionUID = 1910216155L; public static final QHello hello = new QHello("hello"); public final NumberPath<Long> id = createNumber("id", Long.class); public QHello(String variable) { super(Hello.class, forVariable(variable)); } public QHello(Path<? extends Hello> path) { super(path.getType(), path.getMetadata()); } public QHello(PathMetadata metadata) { super(Hello.class, metadata); } } 감사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배열에 제네릭 타입을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한 질문입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1. 제네릭은 생성자를 통해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시점에 타입이 결정된다. 2. 코드로 타입 인자가 전달되면 자바 컴파일러는 제네릭 정보를 이용해서 해당 타입을 이해한다. 3. 자바 이레이져에 의해 컴파일 후 제네릭 정보가 사라진다 => 상한인 Object로 변경됨제네릭 적용이 이런식으로 진행된다고 이해를 했습니다.그러면 배열에 타입 인자를 적용하더라도 결국 상한인 Object로 변경되어서 코드가 돌아가지 않나요?private E[] elementData; public MyArrayListV4() { elementData = new E[DEFAULT_CAPACITY]; }자바가 E를 알 수 없어서 사용 불가능하다는 부분이 이해가 잘 안됩니다... 제가 어떤 부분을 놓치고 있는 걸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TestString6 str.indexOf(Key, index + 1); 의 문장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While (index > = 0) 내부 코드에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을 드립니다. 제공해주신 코드 일부입니다. while (index >= 0) { index = str.indexOf(key, index + 1); System.out.println("index = " + index); count++; } System.out.println("count = " + count); } 결과를 보면,index = 18index = 32index = -1 이 순서대로 출력이 됩니다.궁금한점 입니다.1번 질문입니다. 18, 32, -1이 출력 된 뒤 count가 1씩 증가했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6, 18, 32가 출력이 되고 count = 3이 출력되어야 하지 않나 생각들었습니다. 제 생각이 맞는지 확인받고 싶습니다.2번 질문입니다.제가 수정한 코드의 일부입니다. 이 코드가 타당한지 검토받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while (index >= 0) { index = str.indexOf(key, index + 1); System.out.println("index = " + index); if (index == -1) { break; } count++; } System.out.println("count = " + count);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API에서 컬렉션을 직접 반환하는 부분에 관한 질문입니다.
API 개발 기본 - 회원 조회 API의 강의에서, membersV1은 엔티티를 직접 반환하기 때문에 좋지 않고, 컬렉션을 직접 반환하기 때문에 향후 API 스펙을 변경하기 어렵다고 하셨습니다. 따라서 membersV2에서는 엔티티를 직접 반환하지 않고 API 스펙에 따라 DTO를 맞춰 설계하고, 별도의 필드가 생길 것을 대비해 Result 클래스로 한번 감싸서 넘긴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이후 API 개발 고급부터는, Result 클래스로 감싸지 않고 List<DTO>로만 API의 응답값을 설정하시던데, 일부러 Result 클래스로 감싸는 부분을 생략하신 것인지 궁금합니다. 이와 별개로 실무에서는 Result와 같은 클래스로 감싸고 응답하는 것이 일반적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