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IntelliJ 에서 클래스 생성시 Exception 생성 기능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영한님처럼 클래스 생성시 Exception이 따로 안떠서 어떻게 하면 Exception도 클래스나 인터페이스처럼 바로 생성하는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지, 단순 버전 차이인지 궁금합니다.(2번째 사진은 제가 클래스 생성할 시 뜨는 창입니다.)
-
해결됨ESXi 가상 인프라 구축과 보안 솔루션을 활용한 이상징후 탐지 모니터링
설치 환경 문의
안녕하세요 처음 접하는 초보자입니다. 영상 초반 부분인데 영상에서 설명해주신 1,2,3번 방법들중에 3번 방법으로 할려고 하는데 리눅스 민트까지 ESXI에 설치하고 그 후에 우분투랑 칼리는 워크스테이션에 설치하면 되는건가요 아니면 영상처럼 ESXI에 올리면 되는건가요
-
해결됨Flutter 앱 개발 실전
flutter 로 앱개발 도중 AndroidManifest.xml 에러 문의
강의 잘듣고 있습니다. 강의를 활용하여 어떠한 앱을 만들고있습니다. 그런데 일단 앱은 잘 실행되고있는데(flutter 를 이용하여 앱개발중) AndroidManifest.xml 파일을 열어보면 저는 아무것도 수정한것이 없는데도 저렇게 다양한 빨간에러가 뜨곤합니다. 앱실행은 잘됩니다. 저부분은 뭐가 문제일까요 ... 수정을 따로 해줘야 하는걸까요? 백그라운드에서 앱을 실행하기위해 해당 파일 수정을 해야하는데에러가 떠있는상태에서 해당 백그라운드 실행 코드가적용 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도움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React 2부] 고급 주제와 훅
useRef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MyReact.useRef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const ref2 = MyReact.useRef();<input ref={ref}/> 이렇게 사용하면input태그에 접근할 수 있는데 정확히 어떤 원리로 접근 가능한건가요??ref2는 원래 undefined값이 아닌가요?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변수 선언을 내부에서 해도 문제없나요?
안녕하세요 선생님.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당근카 답안코드에서 선생님은 큐와 ny nx를 메인 함수 내부에서 선언하셨습니다. 맨 처음에 사용할 모든 변수를 선언해놓는 것과 선생님의 방식 사이에서 궁금한 것이 생겼습니다. 제 생각에는 선생님의 방식대로면 상대적으로 조금 더 흘러가는 대로 자유롭게 코드를 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혹시 코드가 복잡해지면 헷갈려서 실수 가능성이 올라가진 않을까 생각도 듭니다.그래서 그 둘을 그저 취향 차이로 여겨도 되는지 아니면 편의성과 성능 측면에서 우세한 것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감사합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타입 이레이저 동작방식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번에 정처기 문제에서 타입 이레이저 관련 문제가 나왔는데,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 올려봅니다.class Printer { void print(Integer a) { System.out.print("A" + a); } void print(Object a) { System.out.print("B" + a); } void print(Number a) { System.out.print("C" + a); } } public class Gisafir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new Container<>(0).print(); } public static class Container<T> { T value; public Container(T t) { value = t; } public void print() { new Printer().print(value); } } }제가 이해한 바로는, 강의에서 설명해주신대로 new Container<>(0)에서 public static class Container<Integer> { Integer value; public Container(Integer t) { value = t; } public void print() { new Printer().print(value); } }컴파일러가 컴파일 시점에 이렇게 이해하고 나서 컴파일 종료 후, 타입 소거가 일어나서, Object로 변환한다고 이해했습니다.그래서 print 메서드를 호출할 때 value는 Object 타입이므로 B0가 출력되는 것이죠.여기서 궁금한 점은 바로 print의 오버로딩 메서드 선택 시점입니다. 제가 찾아본 바로는 오버로딩 메서드 선택시점은 컴파일 단계에서 이루어진다로 알고있습니다. 그렇다면 동작방식이 컴파일 종료 후 타입 소거가 일어나는게 아니라, 정확히는"컴파일 시작 - 타입 소거 - 오버로딩 메서드 선택 - 컴파일 종료 - 런타임" 이런식으로 일어나는건가용?아니면 어디서 오해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
강의 재생이 안됩니다
30분 전부터 계속 영상 재생이 안됩니다
-
해결됨
작업형1 모의고사 풀어보기
세번째 문제에서 고유값 구하기 할 때,강의 내용을 따라 'print(a.sort_values(ascending=False), index[0])으로 입력하셔서저도 따라 입력을 하고 실행을 시켰는데 똑같은 답이 나오지 않습니다. 강의에서 주어진 문제, 코드 그대로 보고 개인 컴퓨터에서 복사-붙여넣기 해서 그대로 실습을 했는데도 불구하고 저한테는 똑같은 답이 나오지 않는 등 왜 그런 차이가 생길까요? P.S.> 같은 문제를 ChatGPT에서 적어서 검색을 하면 빠르게 답을 알 수 있기는 한데, 시험 당일에는 연습 때 전혀 접해보지 않은 신유형 문제가 나와서 적잖게 당황할 것 같네요...
-
미해결
강의 재생이 안됩니다
강의 재생이 안돼요
-
해결됨
영상 실행이 되지 않습니다 (10분 초과 영상)
영상 실행이 되지 않습니다.특정 강의의 문제인가 싶어 보유하고 있는 다른 강의를 클릭해보니 전부 동일한 것 같습니다.일부 재생이 되는 영상들의 경우 10분 안쪽 플레이 시간인 것 같습니다.
-
해결됨
[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9: MMO 컨텐츠 구현 (DB연동 + 대형 구조 + 라이브 준비) DummyClient#2 와 DummyClient#3 영상 재생이 안됩니다
[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9: MMO 컨텐츠 구현 (DB연동 + 대형 구조 + 라이브 준비)DummyClient#2 와 DummyClient#3 영상 재생이 안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영상 실행이 안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패키지 정리 영상부터 다음 영상 모두가 재생이 안됩니다
-
해결됨디지털 회로설계 실무 : Computer Architecture 와 SoC 프로토콜 Digital IP 설계하기
async fifo 질문있습니다!
async fifo 예제 코드는 bin counter의 값을 comb logic을 통해 gray형태로 바꾸어서 CDC를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하지만 강의 내용에서 Comb logic의 출력을 그대로 CDC한다면, Passing short cdc signal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gray 형태를 register에 저장하고, 이 register의 출력을 cdc하는 형태로 바꾸려고 하는데, 이것이 올바른 방식인지 알고 싶습니다!예제 코드)
-
미해결자바스크립트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코딩테스트 대비)
for loop 탈출은 return 문으로 해도 되지 않나요?
일곱난쟁이 문제에서, 가짜 난쟁이 둘을 발견 후에 for loop를 멈출 때 splice를 한 arr를 for loop에서 return arr 하면 전체 for loop에서 탈출하는데 그걸 사용해도 되지 않나요?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환경변수 문제
윈도우 cmd 자바 버전이랑sts 터미널창 자바 버전이 다른데 바라보는 환경변수 경로는 같아서 문제입니다터미널 새로고침도 해보고 환경변수도 다시 바꿔도 동일합니다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쉬운 리눅스
질문입니다.
제가 리눅스마스터 2급을 준비하고 있는데 이 강의를 통해서도 어느정도 도움이 될까요??
-
미해결[유니티 레벨 업!] 모듈식으로 개발하는 스킬 시스템
Effect만 이용하고 싶습니다.
Combat 시스템에 effect만 따로 사용하고 싶은데 아래처럼 그냥 사용하면[SerializeField] private Effect stunEffect; playerEntity.SkillSystem.Apply(stunEffect);Effect.cs var stackActions = StackActions.Where(x => x.Stack <= currentStack && !aplliedStackActions.Contains(x) && x.IsApplicable);위의 블록에서 ArgumentNullException: Value cannot be null 오류가 뜨더라구요 아마 StackActions값이 null이라 뜨는 것 같은데Skill을 사용 안하고 Effect를 사용하니 초기화 과정에서 문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아니면 혹시 다르게 사용할 방법이 있을까 싶어서 질문드려봅니다.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1 - 언리얼 C++의 이해
구조체 바뀐내용 질문
안녕하세요. 현재 5.1버전의 올려주신 문서를 확인할 수 없긴 한데. 해당 내용에 구조체가 5.2에 와서는 가비지 컬렉션시스템에 의해 관리되지 않으며 UFUNCTION 함수를 제공할 수 없다고 뜨거든요. 5.1때는 가능했고 이게 바뀌었다는 걸까요?https://dev.epicgames.com/documentation/ko-kr/unreal-engine/structs-in-unreal-engine?application_version=5.25.1 구조체 내용은 더이상 찾아볼 수 없습니다.
-
미해결BigQuery(SQL) 활용편(퍼널 분석, 리텐션 분석)
[인프런 빅쿼리 빠짝스터디 2주차] 윈도우함수 활용 방법과 null을 다루는 법
[1~2번]윈도우 함수(탐색 함수) 연습 문제 1번 select *, lead(visit_month, 1) over(partition by user_id order by visit_month) as next_visit_month, lead(visit_month, 2) over(partition by user_id order by visit_month) as two_next_visit_month from `advanced.analytics_function_01 2번select *, lead(visit_month, 1) over(partition by user_id order by visit_month) as next_visit_month, lead(visit_month, 2) over(partition by user_id order by visit_month) as two_next_visit_month, lag(visit_month, 1) over(partition by user_id order by visit_month) as before_visit_month from `advanced.analytics_function_01` [1~4번] 윈도우 함수 Frame 연습 문제 1번/* 전체 계산 할 때 왜 over()를 써야 하는지 몰랐습니다. 그러나 일반 집계 함수의 방식과 비교해보니, 사용 이유를 알게 됐습니다. 집계함수를 사용할 때 over()를 사용했다는 건 '윈도우 함수가 적용된 결과값(각 행마다 결과 값이 반환 되는 것)으로 보겠다'는 의미인 걸 알게 됐습니다. 같은 집계함수를 사용하더라도 '어떤 방식(결과를 1개 행으로만 받아볼지, 여러개 값으로 받아볼지)으로 결과 값을 받아 볼 지' 생각해 봐야 한다는 걸 알았습니다. */ select *, sum(amount) over() as amount_total from `advanced.orders` 2번/* 처음에는 누적합을 구하는 건데 왜 over() 안에 order by를 써야하는지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누적합도 "어떤 방식으로 계산할지 '계산 방식'"을 지정해 줘야 한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 /* select *, sum(amount) over(order by order_id) as cumulative_sum from `advanced.orders` 3번select *, sum(amount) over(partition by user_id order by order_id) as cumulative_sum_by_user from `advanced.orders` 4번/* over() 안에 사용하는 order by와 over() 밖에서 사용하는 order by를 명확히 이해했습니다. 윈도우 함수에서 사용하는 order by는 '계산 순서'를 정하는 것이고, 윈도우 함수 밖에서 사용한 order by는 '눈에 보이는 정렬'을 컨트롤 한다는 걸 이해했습니다. 이해할 때 '쿼리 작동 순서'를 생각했더니, 큰 도움이 됐습니다. */ select *, avg(amount) over(order by order_id rows between 5 preceding and 1 preceding) as last_5_orders_avg_amount from `advanced.orders` order by order_id [1~7번] 윈도우 함수 연습 문제 1번select *, count(user) over(partition by user) as total_query_cnt from `advanced.query_logs` order by query_date 2번/* - date 형식 데이터를 extract()로 주 형식으로 바꾸는 걸 알게 됐습니다 - partition by 내에 2개 이상 컬럼을 넣어도 된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 */ with user_query_cnt as ( select extract(week from query_date) as week_number, team, user, count(user) as query_cnt from `advanced.query_logs` group by all ) select *, rank() over(partition by week_number, team order by query_cnt desc) as team_rank from user_query_cnt qualify team_rank = 1 order by 1,2 3번/* - lag()와 함께 쓰는 over() 사용법이 헷갈렸는데, 실행 후 수정하는 방향으로 쿼리를 작성해 보라고 하신 점이 인상 깊게 와닿았습니다. */ with base as ( select user, team, extract(week FROM query_date) as week_number, count(user) as query_count from advanced.query_logs group by all ) select *, lag(query_count, 1) over(partition by user order by week_number) as pre_query_cnt from base4번/* qualify cumulative_query_cnt != cumulative_query_cnt2 위 쿼리로 정합성을 체크하는 방식을 배우게 됐습니다. */ ## 4번 with query_cnt as ( select *, count(user) as query_count from advanced.query_logs group by all ) select *, sum(query_count) over(partition by user order by query_date) as cumulative_query_cnt, sum(query_count) over(partition by user order by query_date rows between unbounded preceding and current row) as cumulative_query_cnt2 from query_cnt -- qualify cumulative_query_cnt != cumulative_query_cnt2 5번/* - 4번에서 배운 정합성 체크하는 쿼리를 이용해서 컬럼 내 값이 있는지 테스트 해봤습니다. */ ## 정합성 테스트 -- select -- * -- from ( -- select -- *, -- last_value(number_of_orders) over(order by date) as last_values_order -- from raw_data -- ) as test1 -- where -- number_of_orders != last_values_order select *, last_value(number_of_orders ignore nulls) over(order by date) as last_values_order from raw_data 6번/* 처음에는 1. 평균을 구하고 2. 해당 테이블을 서브쿼리로 두고, lag(컬럼, 2)를 해야 하는줄 알았습니다. 그러나 Frame 사용 방법이 생각났고, 조건에 맞게 범위를 설정해서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 ## 6번 , base2 as ( select *, last_value(number_of_orders ignore nulls) over(order by date) as last_values_order, from raw_data ) select *, avg(last_values_order) over(order by date rows between 2 preceding and current row) as moving_avg from base2 7번/* - 타임스탬프 데이터를 다루는 다양한 방법을 알게 됐습니다. - 실무에서는 세션 기준과 보고 싶은 유저 혹은 이벤트를 지정해서 사용해도 된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 */ with base as ( select event_date, event_timestamp, datetime(timestamp_micros(event_timestamp), 'Asia/Seoul') as event_datetime, event_name, user_id, user_pseudo_id from `advanced.app_logs` where event_date = '2022-08-18' and user_pseudo_id = '1997494153.8491999091' ) select *, sum(session_start) over(order by event_datetime) as session_id from ( select *, case when second_diff >= 20 then 1 when second_diff is null then 1 else 0 end session_start from ( select *, timestamp_diff(event_datetime, before_event_datetime, second) as second_diff from ( select *, lag(event_datetime, 1) over(partition by user_pseudo_id order by event_datetime) as before_event_datetime from base ) as base2 ) as base3 ) as base4
-
미해결BigQuery(SQL) 활용편(퍼널 분석, 리텐션 분석)
[빠짝스터디 2주차 과제] 윈도우 함수 연습 문제
윈도우 함수 (탐색 함수) 연습 문제1번SELECT user_id, visit_month, lead(visit_month, 1) OVER(PARTITION BY user_id ORDER BY visit_month) AS next_1month, lead(visit_month, 2) OVER(PARTITION BY user_id ORDER BY visit_month) AS next_2month, FROM advanced.analytics_function_01 ORDER BY 1,2;2번SELECT user_id, visit_month, lead(visit_month, 1) OVER(PARTITION BY user_id ORDER BY visit_month) AS next_1month, lead(visit_month, 2) OVER(PARTITION BY user_id ORDER BY visit_month) AS next_2month, lag(visit_month, 1) OVER(PARTITION BY user_id ORDER BY visit_month) AS pre_1month FROM advanced.analytics_function_01 ORDER BY 1,2;윈도우 함수 연습 문제1번SELECT user, team, query_date, count(user) over(PARTITION BY user) AS total_query_cnt FROM advanced.query_logs ORDER BY query_date, user2번WITH base AS ( SELECT EXTRACT(week FROM query_date) AS week_number, team, user, count(user) AS query_cnt FROM advanced.query_logs GROUP BY 1,2,3 ) SELECT *, rank() OVER(PARTITION BY week_number, team ORDER BY query_cnt desc) AS team_rank FROM base QUALIFY team_rank = 1 ORDER BY week_number, query_cnt desc;3번WITH base AS ( SELECT EXTRACT(week FROM query_date) AS week_number, team, user, count(user) AS query_cnt FROM advanced.query_logs GROUP BY 1,2,3 ) SELECT *, lag(query_cnt) OVER(PARTITION BY team, user ORDER BY week_number asc) AS prev_week_query_cnt FROM base ORDER BY team, user, week_number;4번WITH base AS ( SELECT user, team, query_date, COUNT(user) as query_count FROM advanced.query_logs GROUP BY 1,2,3 ) SELECT user, team, query_date, query_count, SUM(query_count) OVER(PARTITION BY team, user ROWS BETWEEN UNBOUNDED PRECEDING AND CURRENT ROW) AS cumulative_query_count FROM base ORDER BY team, user, query_date;5번WITH raw_data AS( SELECT DATE'2024-05-01'AS date,15 AS number_of_orders UNION ALL SELECT DATE'2024-05-02',13 UNION ALL SELECT DATE'2024-05-03',NULL UNION ALL SELECT DATE'2024-05-04',16 UNION ALL SELECT DATE'2024-05-05',NULL UNION ALL SELECT DATE'2024-05-06',18 UNION ALL SELECT DATE'2024-05-07',20 UNION ALL SELECT DATE'2024-05-08',NULL UNION ALL SELECT DATE'2024-05-09',13 UNION ALL SELECT DATE'2024-05-10',14 UNION ALL SELECT DATE'2024-05-11',NULL UNION ALL SELECT DATE'2024-05-12',NULL ) SELECT date, IF(number_of_orders is null , last_value(number_of_orders IGNORE NULLS) OVER(ORDER BY date asc), number_of_orders) AS number_of_orders_not_null FROM raw_data;6번WITH raw_data AS( SELECT DATE'2024-05-01'AS date,15 AS number_of_orders UNION ALL SELECT DATE'2024-05-02',13 UNION ALL SELECT DATE'2024-05-03',NULL UNION ALL SELECT DATE'2024-05-04',16 UNION ALL SELECT DATE'2024-05-05',NULL UNION ALL SELECT DATE'2024-05-06',18 UNION ALL SELECT DATE'2024-05-07',20 UNION ALL SELECT DATE'2024-05-08',NULL UNION ALL SELECT DATE'2024-05-09',13 UNION ALL SELECT DATE'2024-05-10',14 UNION ALL SELECT DATE'2024-05-11',NULL UNION ALL SELECT DATE'2024-05-12',NULL ), fill_null AS ( SELECT date, IF(number_of_orders is null , last_value(number_of_orders IGNORE NULLS) OVER(ORDER BY date asc), number_of_orders) AS number_of_orders_not_null FROM raw_data ) SELECT date, number_of_orders_not_null, avg(number_of_orders_not_null) OVER(ORDER BY date ROWS BETWEEN 2 PRECEDING AND CURRENT ROW) AS moving_avg FROM fill_null;7번WITH base AS ( SELECT event_date, event_timestamp, DATETIME(TIMESTAMP_MICROS(event_timestamp), 'Asia/Seoul') AS event_datetime, event_name, user_id, user_pseudo_id FROM advanced.app_logs WHERE event_date = '2022-08-18' ), diff_date AS ( SELECT *, DATETIME_DIFF(event_datetime, pre_event_time, second) AS date_diff_sec FROM ( SELECT *, LAG(event_datetime, 1) OVER(PARTITION BY user_pseudo_id ORDER BY event_datetime asc) AS pre_event_time FROM base ) ), session_start AS ( SELECT *, CASE WHEN pre_event_time IS NULL THEN 1 WHEN date_diff_sec >= 20 THEN 1 END AS start_session FROM diff_date ) SELECT event_date, event_datetime, event_name, user_id, user_pseudo_id, date_diff_sec, SUM(start_session) OVER(PARTITION BY user_pseudo_id ORDER BY event_datetime) AS session_id FROM session_start ORDER BY user_pseudo_id, event_date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