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static Factory method로 빈 생성
스프링으로 전환하기 1:07 부터의 강의 내용에 추가로 공부하다가 생긴 의문점에 관한 내용입니다.스프링공식문서위의 공식문서에서는 빈을 생성하는 또다른 방법으로 정적 팩터리 메서드가 있다고 했습니다.public class StaticFactoryMethodBean { private String value; private StaticFactoryMethodBean(String value) { this.value = value; } public static StaticFactoryMethodBean createInstance(String value) { return new StaticFactoryMethodBean(value); } }이런 클래스가 있다고 가정하면, 두가지 종류의 빈을 만들 수 있습니다. (물론 따로 따로 생성. 동시에 두가지는 생성이 안됨.)(컴파일에러는 안나지만, 실제 실행을 시키면 런타임 에러 발생)@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Config { @Bean public StaticFactoryMethodBean factoryMethodBean() { return StaticFactoryMethodBean.createInstance("value"); } @Bean public static StaticFactoryMethodBean staticFactoryMethodBean() { return StaticFactoryMethodBean.createInstance("value"); } }여기서 생기는 궁금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이 static 빈은 @Configuration 에 영향을 받지 않고, 프록시를 생성하지 않아 여러 기능들을 쓸 수 없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럼에도 이걸 쓰는 경우가 있을까 해서 질문드립니다. 제 생각엔 외부 라이브러리나 이런거를 쓸 때, 쓸 거 같기도 하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혹시 실무에서도 쓰는 경우가 종종 있었는지 여쭈어봅니다.
-
미해결나도코딩의 자바 기본편 - 풀코스 (20시간)
Chap_08 Quiz 호출에러
Exception in thread "main" java.lang.NullPointerException: Cannot invoke "chap_08.ditector.Detectable.detect()" because "this.detector" is null at chap_08.Camera.SpeedCam.detect(SpeedCam.java:28) at chap_08._Quiz_08.main(_Quiz_08.java:17) Process finis호출할수 없다는 에러가 나오는데 혼자서 해결이 안되어,, 글남깁니다 ㅠㅠ
-
해결됨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ScannerWhileEx4 변수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선생님 수업을 듣다 궁금한 사항이 생겨서 여쭈어봅니다. 위 사진은 제가 작성한 코드 입니다.Q1 . 1번을 누르고 처음 내용을 입력하고 다시 1번을 눌러 새로운 정보를 입력 후 2번으로 합계를 보내면 따로 처음 total값과 두번째 total값을 더하는 식이 없고 누적시키는 로직도 작성을 하지 않아 정상적으로 작동이 되면 안될 것 같은데 정상적으로 합계가 나오고, 누적한 total 값이 자동으로 합산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Q2. 일단 정상적으로 로직이 작동하여서 2번 결제를 선택 후 total 값을 확인하였고 변수를 초기화를 하지 않은것을 실행 후에 알게 되었는데, main에서 선언한 변수라 초기화가 되지 않고 값이 저장되어서 기록되는 것은 다른 질문을 보고 이해를 했지만 그렇게 되면 2번 결제 항목에서 초기화를 따로 시켜주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2번 결제를 선택 후 다시 1번으로 가서 값을 새로 입력하고 2번을 선택 하면 자동으로 초기화가 되어 새로 입력한 값만 불러와 졌는데 어떠한 원리로 이렇게 작동이 된것인지 궁금합니다.항상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필드명을 빈이름으로 변경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파라미터 네임을 변경했는데 찾지 못했다고 오류가 뜨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혹시 제가 놓치는 부분이잇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수업내용 글들은 어디서 확인 할수있나여?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 [질문 내용]수업내용 글들은 어디서 확인 할수있나여?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HashSet 실제 구현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HashSet의 코드를 보니 HashMap을 사용하여 구현이 되어있는데 실제 구현도 결국에는 강의 내용처럼 배열안에 LinkedList 나 TreeSet으로 구현과 최적화가 되는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Autowired에 빨간불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Autowired에 빨간불이 뜨면서 에러가 뜨는데 이유가 뭘까요?? Autowired members must be defined in valid Spring bean (@Component|@Service|...) package hello.core.scope; import jakarta.annotation.PostConstruct; import jakarta.annotation.PreDestroy;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Scope;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assertThat; public class SingletonWithPrototypeTest1 { @Test void prototypeFind()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PrototypeBean.class); PrototypeBean prototypeBean1 = ac.getBean(PrototypeBean.class); prototypeBean1.addCount(); assertThat(prototypeBean1.getCount()).isEqualTo(1); PrototypeBean prototypeBean2 = ac.getBean(PrototypeBean.class); prototypeBean2.addCount(); assertThat(prototypeBean2.getCount()).isEqualTo(1); } @Test void SingletonClientUsePrototype()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ClientBean.class, PrototypeBean.class); ClientBean clientBean1 = ac.getBean(ClientBean.class); int count1 = clientBean1.logic(); assertThat(count1).isEqualTo(1); ClientBean clientBean2 = ac.getBean(ClientBean.class); int count2 = clientBean2.logic(); assertThat(count2).isEqualTo(2); } @Scope("singleton") static class ClientBean { private final PrototypeBean prototypeBean; @Autowired public ClientBean(PrototypeBean prototypeBean) { this.prototypeBean = prototypeBean; } public int logic() { prototypeBean.addCount(); return prototypeBean.getCount(); } } @Scope("prototype") static class PrototypeBean { private int count = 0; public void addCount() { count++; } public int getCount() { return count; } @PostConstruct public void init() { System.out.println("PrototypeBean.init " + this); } @PreDestroy public void destroy() { System.out.println("PrototypeBean.destroy"); } } }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coreApplicationTests
coreApplicationTests를 실행하면 밑에 WARNING이라고 뜨는데 이거는 어떻게 처리해야하나요??ㅠㅠ뭔가 문제가 있는건가요.. 13:31:52.196 [main] INFO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support.AnnotationConfigContextLoaderUtils -- Could not detect default configuration classes for test class [hello.core.CoreApplicationTests]: CoreApplicationTests does not declare any static, non-private, non-final, nested classes annotated with @Configuration.13:31:52.288 [main] INFO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ContextBootstrapper -- Found @SpringBootConfiguration hello.core.CoreApplication for test class hello.core.CoreApplicationTests . ____ _ /\\ / ___'_ __ (_)_ _ \ \ \ \( ( )\___ | '_ | '_| | '_ \/ _` | \ \ \ \ \\/ ___)| |_)| | | | | || (_| | ) ) ) ) ' |____| .__|_| |_|_| |_\__, | / / / / =========|_|==============|___/=/_/_/_/ :: Spring Boot :: (v3.3.0)2024-05-30T13:31:52.657+09:00 INFO 27976 --- [core] [ main] hello.core.CoreApplicationTests : Starting CoreApplicationTests using Java 21.0.3 with PID 27976 (started by IDEAPAD in E:\study\core)2024-05-30T13:31:52.658+09:00 INFO 27976 --- [core] [ main] hello.core.CoreApplicationTests : No active profile set, falling back to 1 default profile: "default"2024-05-30T13:31:53.068+09:00 INFO 27976 --- [core] [ main] hello.core.CoreApplicationTests : Started CoreApplicationTests in 0.645 seconds (process running for 1.512)WARNING: A Java agent has been loaded dynamically (C:\Users\IDEAPAD\.gradle\caches\modules-2\files-2.1\net.bytebuddy\byte-buddy-agent\1.14.16\4a451ee6484abac3a498df0f3b33ed00a6fced4d\byte-buddy-agent-1.14.16.jar)WARNING: If a serviceability tool is in use, please run with -XX:+EnableDynamicAgentLoading to hide this warningWARNING: If a serviceability tool is not in use, please run with -Djdk.instrument.traceUsage for more informationWARNING: Dynamic loading of agents will be disallowed by default in a future releaseOpenJDK 64-Bit Server VM warning: Sharing is only supported for boot loader classes because bootstrap classpath has been appended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0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전체 테스트시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전체 테스트시 CoreApplicationTests에서 이런 오류가 발생합니다!!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Failed to load ApplicationContext for [MergedContextConfiguration@24db6ce testClass = hello.core.CoreApplicationTests, locations = [], classes = [hello.core.CoreApplication], contextInitializerClasses = [], activeProfiles = [], propertySourceDescriptors = [], propertySourceProperties =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ContextBootstrapper=true"], contextCustomizers =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actuate.observability.ObservabilityContextCustomizerFactory$DisableObservabilityContextCustomizer@1f,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properties.PropertyMappingContextCustomizer@0,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web.servlet.WebDriverContextCustomizer@56bc3fac,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filter.ExcludeFilterContextCustomizer@37ff4054, org.springframework.boot.test.json.DuplicateJsonObjectContextCustomizerFactory$DuplicateJsonObjectContextCustomizer@74cf8b28, org.springframework.boot.test.mock.mockito.MockitoContextCustomizer@0, org.springframework.boot.test.web.client.TestRestTemplateContextCustomizer@718607eb,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Annotation@7d85fe52], contextLoader =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ContextLoader, parent = null]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cache.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loadContext(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java:180)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support.DefaultTestContext.getApplicationContext(DefaultTestContext.java:130)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support.DependencyInjectionTestExecutionListener.injectDependencies(DependencyInjectionTestExecutionListener.java:142)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support.DependencyInjectionTestExecutionListener.prepareTestInstance(DependencyInjectionTestExecutionListener.java:98)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TestContextManager.prepareTestInstance(TestContextManager.java:260)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jupiter.SpringExtension.postProcessTestInstance(SpringExtension.java:163) at java.base/java.util.stream.ReferencePipeline$3$1.accept(ReferencePipeline.java:197) at java.base/java.util.stream.ReferencePipeline$2$1.accept(ReferencePipeline.java:179) at java.base/java.util.ArrayList$ArrayListSpliterator.forEachRemaining(ArrayList.java:1708) at java.base/java.util.stream.AbstractPipeline.copyInto(AbstractPipeline.java:509) at java.base/java.util.stream.AbstractPipeline.wrapAndCopyInto(AbstractPipeline.java:499) at java.base/java.util.stream.StreamSpliterators$WrappingSpliterator.forEachRemaining(StreamSpliterators.java:310) at java.base/java.util.stream.Streams$ConcatSpliterator.forEachRemaining(Streams.java:735) at java.base/java.util.stream.Streams$ConcatSpliterator.forEachRemaining(Streams.java:734) at java.base/java.util.stream.ReferencePipeline$Head.forEach(ReferencePipeline.java:762) at java.base/java.util.Optional.orElseGet(Optional.java:364) at java.base/java.util.ArrayList.forEach(ArrayList.java:1596) at java.base/java.util.ArrayList.forEach(ArrayList.java:1596)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memberServiceImpl' defined in file [/Users/kimcheoljun/Desktop/CODING/BE/spring/core/out/production/classes/hello/core/member/MemberServiceImpl.class]: Unsatisfied dependency expressed through constructor parameter 0: No qualifying bean of type 'hello.core.member.MemberRepository' available: expected single matching bean but found 2: memoryMemberRepository,memberRepository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ConstructorResolver.createArgumentArray(ConstructorResolver.java:795)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ConstructorResolver.autowireConstructor(ConstructorResolver.java:237)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autowireConstructor(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1355)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createBeanInstance(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1192)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doCreat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562)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creat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522)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lambda$doGetBean$0(AbstractBeanFactory.java:326)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SingletonBeanRegistry.getSingleton(DefaultSingletonBeanRegistry.java:234)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doGetBean(AbstractBeanFactory.java:324)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getBean(AbstractBeanFactory.java:200)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preInstantiateSingletons(DefaultListableBeanFactory.java:975) 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finishBeanFactoryInitialization(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962) 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refresh(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624)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efresh(SpringApplication.java:754)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efreshContext(SpringApplication.java:456)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un(SpringApplication.java:334) a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ContextLoader.lambda$loadContext$3(SpringBootContextLoader.java:137) at org.springframework.util.function.ThrowingSupplier.get(ThrowingSupplier.java:58) at org.springframework.util.function.ThrowingSupplier.get(ThrowingSupplier.java:46)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withHook(SpringApplication.java:1454) a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ContextLoader$ContextLoaderHook.run(SpringBootContextLoader.java:553) a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ContextLoader.loadContext(SpringBootContextLoader.java:137) a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ContextLoader.loadContext(SpringBootContextLoader.java:108)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cache.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loadContextInternal(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java:225)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cache.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loadContext(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java:152) ... 17 more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NoUniqueBeanDefinitionException: No qualifying bean of type 'hello.core.member.MemberRepository' available: expected single matching bean but found 2: memoryMemberRepository,memberRepository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config.DependencyDescriptor.resolveNotUnique(DependencyDescriptor.java:218)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doResolveDependency(DefaultListableBeanFactory.java:1420)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resolveDependency(DefaultListableBeanFactory.java:1353)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ConstructorResolver.resolveAutowiredArgument(ConstructorResolver.java:904)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ConstructorResolver.createArgumentArray(ConstructorResolver.java:782) ... 41 more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자식 클래스와 protected 메서드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package parent; public class Parent { protected static void staticTest(){ System.out.println("정적 메서드"); } protected void notStaticTest(){ System.out.println("인스턴스 메서드"); } } package child; import parent.Parent; public class Child extends Paren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Paretn.staticTest(); //정적 메서드는 정적 메서드 호출가능 Parent parent = new Parent(); parent.notStaticTest(); // 호출불가 컴파일 오류 Child child = new Child(); child.notStaticTest(); // 호출가능 Child 클래스가 Parent 클래스를 상속 받았고notStaticTest 메서드의 접근제어자가protected 인데Parent parent = new Parent();parent.notStaticTest();// 호출불가 컴파일 오류Child child = new Child();child.notStaticTest();// 호출가능 둘의 차이가 무엇이어서호출의 가능여부가 다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강의 테스트 오류내용 질문 / 소스코드 있음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소스코드]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2UKQ6SBa5fZeSdpWkr36EDpLkZtXad4t?usp=sharing 강의를 듣는데 @Autowired 어노테이션에서 같은 타입이 2개이상 조회된 경우 필드명을 동일하게 해주면 해당 필드명에 맞는 빈을 주입한다고 했는데 빈이 적용되지 않는 오류가 납니다.. ㅠㅠ 테스트 코드를 아무리 돌려봐도 안되네요. 도와주세요!또한 rateDiscountPolicy로 바꿔도 강사님과는 다르게 전체 테스트를 돌려보았을 때 xml은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모습입니다. 이것도 왜 그런지 잘 모르겠습니다.앞전 강의에서 전체 테스트를 돌렸을 때 CoreApplicationTests 에서 에러가 났는데, 여기서도 에러가 해결되지 않아 CoreApplication에 컴포넌트 스캔 및 excludeFilters 를 달아서 해결하였는데 이것도 왜 안되었던건지 궁금합니다.!!전체 테스트를 돌렸을 때 총 3개가 에러가 나는데 basicSacn 뿐 아니라 나머지 2개가 왜 에러나는지도 해결 부탁드리고 싶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수업 관련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ScannerWhile2 코드를 다음과 같이 int sum = num1 + num2; System.out.println("두 숫자의 합:" + sum); 내용을 else문 안에 적는 것과 else 문을 쓰지 않고 강의처럼 적는 것은 어떻게 적나 상관없는 건가요?if(num1 == 0 && num2 == 0){ System.out.println("프로그램 종료"); break; } else{ int sum = num1 + num2; System.out.println("두 숫자의 합:" + sum); }
-
미해결아무것도 모르고 시작하는 C#
도구 상자에 항목이 없습니다.
섹션7 강의를 듣고 있습니다.visual studio 2022을 다운받고 windows forms net framework에 들어가도구 상자에서 button을 선택하려는데화면처럼 사용할 수 있는 컨트롤이 없다고 나옵니다.구글에 검색했더니 같은 문제를 겪는 사람은 많았으나 리셋, toolbox.tbd toolbox_reset.tbd toolboxIndex.tbd toolboxIndex_reset.tbd 지우기 등등 모두 시도해보았지만 전혀 되지 않습니다.모두 보기로 보면 도구들이 표시는 되나 여전히 회색으로 사용할 수 없는 상태입니다. 이 문제를 도대체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섹션 10. List.of()
복습하다 문득 이 코드를 보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ArrayList<MyUser> list = new ArrayList<>(List.of(myUser1, myUser2, myUser3));List<MyUser> list1 = List.of(myUser1, myUser2, myUser3);List로 반환되는 건 맞는 거 같은데... static <E> List<E> of(E e1, E e2, E e3) { return ImmutableCollections.listFromTrustedArray(e1, e2, e3); }List.of()는 분명 List타입으로 반환이 되는데 ArrayList에 어떻게 들어가는 건가요?List가 ArrayList를 받을 수는 있지만, 그 반대는 안 되는 거 아닌가 해서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instanceof 연산자 실제 구현
instanceof 연산자를 어떤식으로 사용이 되는지는 감이 오는데 실제로 이것이 어떤식으로 구현되어 있는지가 갑자기 궁금해져서 구글링을 해보니 아래와 같은 글이 나오긴 하는데요, java - How is 'instanceof' implemented in the JVM? - Stack Overflow 글만 봐서는 살짝 느낌이 안오는데 조금 더 쉽게 설명된 글이 있을까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Class 클래스 질문입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사님 중급 1편도 너무 알차게 듣고 있습니다! Class 클래스 편 강의 듣다가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이 부분 (강의 12:00 쯤!) 인데요!Class 클래스의 정보 (생성자)를 이용해 객체생성 하는 방법 보여주셨는데 평소처럼 Hello hello = new Hello();로 객체생성하고 hello.hello() 처럼 메서드 사용도 가능한데 이렇게도 생성할 수 있다를 보여주신걸까요?? 강의로 배우고있는 저의 입장에선 당연히 평소하던대로 Hello hello = new Hello()로 객체생성하고 hello.hello()메서드 사용하는게 훨씬 편할거라고 생각해서 질문드립니다! 위에서 Class.forName("사용자가 스캐너 같은걸로 직접 입력하는 상황도 있을것") 처럼 패키지와 클래스명으로 생성해야할 경우는 경로 직접 입력하는 방식이 더 편리.즉, 객체 생성에는 여러 방법이 있다. 상황마다 알맞게 사용하면 된다로 이해하면 될까요?! 사실 그냥 넘기라고 하셨긴 한데 굳이왜 reflection으로 이렇게 복잡하게 객체를 생성하는지 궁금합니다..!간단하게라도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연결리스트 배열 선언?
해시 알고리즘6-해시 충돌 구현 파트에서 LinkedList<Integer>[] buckets = new LinkedList[CAPACITY];이런 코드가 등장했는데요. 제가 앞선 강의에서 이런 내용을 놓친 것인지는 잘 모르겠지만...ㅠ제네릭을 통해 선언하는 것인데new LinkedList<>()[CAPACITY]; 를 하면 안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빈 생명주기에서 @PostConstruct, @PreDestory는 필수인가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스프링 빈 생명주기를 공부하다가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보통 스프링 빈 생명주기라고 함은 아래와 같이 설명하는데요.스프링컨테이너 생성 -> 스프링 빈 생성 -> 의존관계 주입 -> 초기화 콜백 -> 사용 -> 소멸전 콜백 -> 스프링 종료여기서 궁금한게, 초기화 콜백 과 소멸전 콜백 단계는 모든 스프링 빈의 생명주기에 필수단계인지 궁금합니다.DB 커넥션처럼 WAS 띄울 때 한번 연결하고 두고두고 쓸 것 들을 대상으로만 @PostConstruct 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대부분 인터넷에서 빈 생명주기를 설명할 때 초기화콜백, 소멸전 콜백을 꼭 포함시키길래 모든 스프링 빈 생명주기에 위 단계가 필요한 것인지 궁금하여 여쭤봅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String도 래퍼클래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기본형 타입에 불변을 씌우고 기능을 탑재하여 새로운 객체를 만들어내는것을 래퍼 클래스라고 이해했는데 그렇게 생각하면 char로 하여금 String 클래스도 래퍼 클래스로 들어가는거라고 봐도 될까요? 기본형의 불변과 기능을 추가해서 객체로 만들었는게 똑같은데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직접 구현 하는 컬렉션 코드는 실제 내부 구현과 유사하게 구현하시는건가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직접 구현 하는 컬렉션 코드는 실제 내부 구현과 유사하게 구현하시는건가요?예를 들면 배열 리스트에서 capacity를 넘어서 데이터를 추가 시에 기존 배열의 50% 정도 증가하는 방법을 사용한다고 pdf에 나와있는데 이런 부분들이 실제 구현과 같은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