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독하게 시작하는 C 프로그래밍
vs코드 인터프리터
vs코드를 깔고 인터프리터를 따로 깔아야하는걸로 알고있는데 그냥 아무 인터프리터나 깔아도 상관이 없나요 ??
-
미해결[리뉴얼] 파이썬입문과 크롤링기초 부트캠프 [파이썬, 웹, 데이터 이해 기본까지] (업데이트)
입문 강의 인데 진행이 너무 막힙니다.
Exercise 3. 출력print 함수를 사용하여 3.1415의 값을 출력하세요.단, 소수점 아래는 첫 번째 자리까지만 표시되도록 하세요.Example3.1 아니 이건 배우지도 않았는데어떻게 알아내나요 ? 검색해서 구글링해서 찾아야 하나요 ?시간 아끼면서 지루하지 않게 같이 배우면서 하려고 한건데Exercise 1. 출력화면에 "Hello World!"를 출력하세요.[1]:print ("Hello World!")Hello World! [2]:print ("Hello World!")Hello World! Exercise 2. 출력화면에 "I don't like C language"를 출력하세요. 이건 그냥 타이핑 치면 되지만 구글링 해가면서까지 시간 허비하는 건 아닌 거 같아요 바로 알려주면서 넘어가도 될 거 같은데요 휴
-
미해결무작정 따라하며 원리를 깨우치는 웹 해킹 : WebGoat 편
webgoat 실행 오류
포트를 바꾸어가며 실행해보았는데, 실행이 되지 않고ERROR org.owasp.webgoat.StartWebGoat - Port 127.0.0.1:8080 is already in use라는 오류가 계속 뜹니다.netstat -ano | findstr를 사용하여 검색을 해봤는데, 결과는 아무것도 뜨지 않아 질문 드립니다.
-
미해결테스트 with Jest: 제로초에게 제대로 배우기
강의 교안
안녕하세요 제로초님. 강의 교안이 어디있는지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스택 영역과 힙 영역 강의 내용 중 질문이 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package memory; public class JavaMemoryMain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main start"); method1(); System.out.println("main end"); } static void method1() { System.out.println("method1 start"); Data data1 = new Data(10); method2(data1); System.out.println("method1 end"); } static void method2(Data data2) { System.out.println("method2 start"); System.out.println("data.value=" + data2.getValue()); System.out.println("method2 end"); }} 다음과 같은 코드로 자바 프로그램을 1번 실행했다가 종료하면, 강의 내용에선 x001(예를 들어서) 참조값을 가진 Data 인스턴스를 참조하는 곳이 더이상 없기에 GC의 제거 대상이 된다고 하셨는데요,그렇다면 어떤 자바 프로그램이든 한 번 실행했다가 종료된 직후에는 자바 메모리 힙 영역에 한 번 실행될 때 사용했던 객체들이 남아있게 되고 전부 참조하는 곳이 더 이상 없기에 전부 GC의 제거 대상이 된다고 생각하면 될까요? 마치 콘서트 한 번 진행하고 나서 발생한 쓰레기들을 청소한다고 생각하면 될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
미해결빅데이터 파이프라인 마스터; 성공을 위한 도구와 기술
수강기간연장가능할까요?
생각보다 진도를 못나가서 혹시 연장이 가능한가요?
-
미해결BigQuery(SQL) 활용편(퍼널 분석, 리텐션 분석)
[인프런 빅쿼리 빠짝스터디 2주차] 윈도우 함수, FRAME 설정, QUALIFY
연습 문제 (1)-- 1) SELECT user_id , visit_month , LEAD(visit_month, 1) OVER (PARTITION BY user_id ORDER BY visit_month) AS lead_visit_month , LEAD(visit_month, 2) OVER (PARTITION BY user_id ORDER BY visit_month) AS lead2_visit_month FROM advanced.analytics_function_01 ORDER BY user_id -- 2) SELECT user_id , visit_month , LEAD(visit_month) OVER (PARTITION BY user_id ORDER BY visit_month) AS after_visit_month , LEAD(visit_month, 2) OVER (PARTITION BY user_id ORDER BY visit_month) AS after2_visit_month , LAG(visit_month) OVER (PARTITION BY user_id ORDER BY visit_month) AS before_visit_month FROM advanced.analytics_function_01 ORDER BY user_id, visit_month -- 3) 유저가 접속했을 때, 다음 접속까지의 간격을 구하시오. SELECT * , after_visit_month - visit_month AS diff_month FROM ( SELECT user_id , visit_month , LEAD(visit_month) OVER (PARTITION BY user_id ORDER BY visit_month) AS after_visit_month FROM advanced.analytics_function_01 ) ORDER BY user_id , visit_month -- 4) 이 데이터셋을 기준으로 user_id의 첫번째 방문 월, 마지막 방문 월을 구하는 쿼리를 작성해주세요. SELECT * , FIRST_VALUE(visit_month) OVER (PARTITION BY user_id ORDER BY visit_month) AS first_month , LAST_VALUE(visit_month) OVER (PARTITION BY user_id ORDER BY visit_month) AS last_month FROM advanced.analytics_function_01 ORDER BY user_id , visit_month -- 윈도우 함수 - 데이터 범위 지정 SELECT * , SUM(amount) OVER () AS amount_sum , SUM(amount) OVER (ORDER BY order_id) AS cumulative_sum , SUM(amount) OVER (PARTITION BY user_id ORDER BY order_id) AS cumulative_sum_by_user , AVG(amount) OVER (ORDER BY order_id ROWS BETWEEN 5 PRECEDING AND 1 PRECEDING) AS last_5_orders_avg_amount FROM advanced.orders ORDER BY order_id 연습 문제 (2)-- 1) SELECT * , COUNT(user) OVER (PARTITION BY user) AS total_query_cnt FROM advanced.query_logs ORDER BY user -- 2) WITH query_cnt_by_team AS ( SELECT EXTRACT(WEEK FROM query_date) AS week_number , team , user , COUNT(user) AS query_cnt FROM advanced.query_logs GROUP BY ALL ) SELECT * , RANK() OVER (PARTITION BY week_number, team ORDER BY query_cnt DESC) AS rk FROM query_cnt_by_team QUALIFY rk = 1 ORDER BY week_number , team , query_cnt DESC -- 3) WITH query_cnt_by_team AS ( SELECT EXTRACT(WEEK FROM query_date) AS week_number , team , user , COUNT(user) AS query_cnt FROM advanced.query_logs GROUP BY ALL ) SELECT * , LAG(query_cnt, 1) OVER (PARTITION BY user ORDER BY week_number) AS prev_week_query_cnt FROM query_cnt_by_team ORDER BY user , week_number -- 4) SELECT query_date , team , user , query_cnt , SUM(query_cnt) OVER (PARTITION BY user ORDER BY query_date ROWS BETWEEN UNBOUNDED PRECEDING AND CURRENT ROW) AS cumulative_sum FROM ( SELECT query_date , team , user , COUNT(user) AS query_cnt FROM advanced.query_logs GROUP BY ALL ) ORDER BY user , query_date -- 5) WITH raw_data AS ( SELECT DATE '2024-05-01' AS date, 15 AS number_of_orders UNION ALL SELECT DATE '2024-05-02', 13 UNION ALL SELECT DATE '2024-05-03', NULL UNION ALL SELECT DATE '2024-05-04', 16 UNION ALL SELECT DATE '2024-05-05', NULL UNION ALL SELECT DATE '2024-05-06', 18 UNION ALL SELECT DATE '2024-05-07', 20 UNION ALL SELECT DATE '2024-05-08', NULL UNION ALL SELECT DATE '2024-05-09', 13 UNION ALL SELECT DATE '2024-05-10', 14 UNION ALL SELECT DATE '2024-05-11', NULL UNION ALL SELECT DATE '2024-05-12', NULL ) SELECT * , LAST_VALUE(number_of_orders IGNORE NULLS) OVER (ORDER BY date) AS before_number_of_orders FROM raw_data -- 6) WITH raw_data AS ( SELECT DATE '2024-05-01' AS date, 15 AS number_of_orders UNION ALL SELECT DATE '2024-05-02', 13 UNION ALL SELECT DATE '2024-05-03', NULL UNION ALL SELECT DATE '2024-05-04', 16 UNION ALL SELECT DATE '2024-05-05', NULL UNION ALL SELECT DATE '2024-05-06', 18 UNION ALL SELECT DATE '2024-05-07', 20 UNION ALL SELECT DATE '2024-05-08', NULL UNION ALL SELECT DATE '2024-05-09', 13 UNION ALL SELECT DATE '2024-05-10', 14 UNION ALL SELECT DATE '2024-05-11', NULL UNION ALL SELECT DATE '2024-05-12', NULL ), filled_data AS ( SELECT * EXCEPT(number_of_orders) , LAST_VALUE(number_of_orders IGNORE NULLS) OVER (ORDER BY date) AS number_of_orders FROM raw_data ) SELECT * , AVG(number_of_orders) OVER (ORDER BY date ROWS BETWEEN 2 PRECEDING AND CURRENT ROW) AS moving_avg FROM filled_data -- 7) WITH step1 AS ( SELECT * EXCEPT(event_params, platform) , DATETIME(TIMESTAMP_MICROS(event_timestamp), "Asia/Seoul") AS event_datetime FROM advanced.app_logs WHERE user_pseudo_id = "1997494153.8491999091" AND event_date = '2022-08-18' ), step2 AS ( SELECT * , DATETIME_DIFF(event_datetime, prev_event_datetime, SECOND) AS second_diff FROM ( SELECT * , LAG(event_datetime) OVER (ORDER BY event_datetime) AS prev_event_datetime FROM step1 ) ORDER BY event_datetime ) SELECT * , SUM(session_start) OVER (ORDER BY event_datetime) AS session_num FROM ( SELECT * , CASE WHEN second_diff IS NULL THEN 1 WHEN second_diff >= 20 THEN 1 ELSE 0 END AS session_start FROM step2 ) ORDER BY event_datetime
-
미해결[PY 0201] 인공지능을 위한 파이썬 레벨1
semester1,2 관련 질문입니다 ㅎㅎ
혹시 총 커리큘럼의 semester1,2에 대한 강의는 인프런에 탑재하실 생각은 없는지 여쭤보고 싶네요~
-
해결됨서버개발자 과제전형 완벽가이드 - 1편
비즈니스 로직 담당 서비스
비즈니스 로직만을 담당하는 BookApplicationService 를 두는게 새롭고 좋은 구조 아닐까 생각이 들어서 제 생각이 맞는지 궁금해서 여쭙습니다. Query 이름의 서비스는 조회만을Command 는 등록, 수정, 삭제 담당하는 것이고 또한 이런 서비스 구조가 순환참조 발생 가능성도 줄일 수 있겠죠? p.s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처음 겪어보는 내용들이 많아서 재밌고 배울게 많네요. 강의 빨리 더 내주십시오.
-
미해결[유니티 레벨 업!] 모듈식으로 개발하는 스킬 시스템
UseInAction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제가 TargetSelectionTimingOption을 useInAction으로 했는데 SpawnSkillObjectAction클래스의 Apply부분에서 에러가 발생합니다.public override void Apply(Skill skill){foreach (var targetPosition in skill.TargetPositions) // 이 부분에서 에러 발생{var skillObject = GameObject.Instantiate(skillObjectPrefab).GetComponent<SkillObject>();skillObject.transform.position = targetPosition + (Vector3.up * 0.001f);skillObject.Setup(skill, targetSearcherForSkillObject, duration, applyCount, objectScale);}} 에러는 다음 오류가 발생합니다.NullReferenceException: Object reference not set to an instance of an objectSpawnSkillObjectAction.Apply (Skill skill) (at Assets/Scripts/Core/Skill/Action/SpawnSkillObjectAction.cs:25)Skill.Apply (System.Boolean isConsumeApplyCount) (at Assets/Scripts/Core/Skill/Skill.cs:643)InActionState.Apply () (at Assets/Scripts/Core/Skill/StateMachine/State/InActionState.cs:75)InActionState.Enter () (at Assets/Scripts/Core/Skill/StateMachine/State/InActionState.cs:23)StateMachine`1[EntityType].ChangeState (StateMachine`1+StateData[EntityType] newStateData) (at Assets/Scripts/Core/StateMachine/StateMachine.cs:88)StateMachine`1[EntityType].ChangeState (State`1[EntityType] newState, System.Int32 layer) (at Assets/Scripts/Core/StateMachine/StateMachine.cs:99)StateMachine`1[EntityType].TryTransition (System.Collections.Generic.IReadOnlyList`1[T] transtions, System.Int32 layer) (at Assets/Scripts/Core/StateMachine/StateMachine.cs:117)StateMachine`1[EntityType].Update () (at Assets/Scripts/Core/StateMachine/StateMachine.cs:135)Skill.Update () (at Assets/Scripts/Core/Skill/Skill.cs:396)SkillSystem.UpdateSkills () (at Assets/Scripts/Core/Skill/SkillSystem.cs:165)SkillSystem.Update () (at Assets/Scripts/Core/Skill/SkillSystem.cs:76)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변수 작명하신 부분에 궁금증이 있습니다!
<섹션 2 - 제네릭이 필요한 이유>부분인데요. IntegerBox 클래스는 set 메서드에 변수가 value로 작명 되어있습니다. 그러나,StringBox 클래스는 set 메서드에 변수가 object로 작명 되어 있습니다.StringBox에 set 함수 매개변수에, String str이 아니라, String object라고 하신 이유가 혹시 있는걸까요? String str이라고 해도 물론 되겠지만, 혹시 "String object"로 매개변수를 받도록 하신 특별한 의도가 있는건가 싶어서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충돌문제 강의실습과 다른 결과가 나타납니다.
06:03 부터 @SpringBootApplication어노테이션으로 스프링구동을 진행함으로서앞서 AutoAppConfigTest 를 했을 때 replace되어 정상구동되는 현상과 반대되는 결과를 보여주시고 계십니다. 스프링부트는 오류를 발생시키는 것을 저도 똑같이 확인하기 위해 실습을 했는데요. 결과메세지가 달랐습니다. Parameter 0 of constructor in hello.core.member.MemberServiceImpl required a single bean, but 2 were found: - memoryMemberRepository: defined in file [C:\Users\eh\Desktop\Source\core\out\production\classes\hello\core\member\MemoryMemberRepository.class] - memberRepository: defined by method 'memberRepository' in class path resource [hello/core/AppConfig.class]강의에서는 AutoAppConfig에 작성한 수동빈과 @Compoent로 등록된 자동빈의 충돌을 다뤘으나, 저의 경우 AppConfig가 등장했습니다. 강사님도 AppConfig를 건들지 않으신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다음과 같습니다.@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Config { public AppConfig() { System.out.println("AppConfig 생성자호출"); } // 서비스단 @Bean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System.out.println("call AppConfig.memberService"); return new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 @Bean public OrderService orderService(){ System.out.println("call AppConfig.orderService"); return new OrderServiceImpl( memberRepository(), discountPolicy()); } // Repository @Bean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System.out.println("call AppConfig.memberRepository");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 @Bean public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System.out.println("call AppConfig.discountPolicy"); return new RateDiscountPolicy();//return new FixDiscountPolicy(); } } 다음은 자동구성입니다.@ComponentScan( excludeFilters = @ComponentScan.Filter(type = FilterType.ANNOTATION, classes = Configuration.class) ) public class AutoAppConfig { public AutoAppConfig() { System.out.println("AutoAppConfig의 생성자호출"); } // [수동빈등록] // 자동등록 된 빈과 충돌이 발생하지 않으며 아래 수동등록 빈으로 덮어써짐 @Bean(name = "memoryMemberRepository")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 }@Component public class MemoryMemberRepository implements MemberRepository{...} 총 3개의 코드가 충돌을 일으킬 후보를 추려봤습니다.AppConfig의 MemberRepository 수동등록 코드(name = "memberRepository")AutoAppConfig의 MemberRepository 수동등록 코드(name = "memoryMemberRepository")MemoryMemberRepository 자동등록 코드(name = "memoryMemberRepository") 강사님은 2,3이 충돌했는데저는 왜 1,3이 충돌한 걸까요ㅠㅠ
-
미해결자바 개발자를 위한 코틀린 입문(Java to Kotlin Starter Guide)
확장 프로퍼티 질문
안녕하세요, 확장 프로퍼티 관련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확장 프로퍼티를 생성자에 추가하는건 어려운 것 같고 내부프로퍼티로 활용하는 정도로 사용하는 것 같은데..이렇다면 확장 프로퍼티를 주로 사용하는게 isAdult같은 특정 프로퍼티를 이용해 새로운 값을 반환해주는 용도의 프로퍼티를 만드는것 위주로 사용하게 될까요?? 사용처가 와닿는게 없어서 실무에서 사용하는경우가 어떤게 있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그리고 추가로 제가 KMan이라는 Person을 상속받는 클래스를 임의로 만들어서 거기에 test2라는 확장 프로퍼티를 만들었는데요,코드를 찍어보니 아래처럼 KMan에 받아온 value를 대입해주는 것 같은데 KMan이라는 클래스에는 test2라는 프로퍼티가 선언되있는게 없으니 역시나 에러가 나더라구요커스텀 프로퍼티에서 setter를 만들 수 있는건 그냥 ide에서 대응을 못할 뿐 사실상 불가능한게 맞는건가요? @_@.. public static final void setTest2(@NotNull KMan $this$test2, @NotNull String value) { Intrinsics.checkNotNullParameter($this$test2, "<this>"); Intrinsics.checkNotNullParameter(value, "value"); setTest2($this$test2, value); }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type했더니 dict가 나오는게 아니라 이상한게 나옵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findByItemNameLikeAndPriceLessThanEqual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스프링 데이터 JPA 적용1 강의에서findByItemNameLikeAndPriceLessThanEqual 라는 쿼리메서드는'select i from Item where i.price<= ?' 라는 JPQL이 실행된다 라고했는데 'select i from Item i where i.itemName like :itemName and i.price <= :price'가 맞는거 아닌가해서요LikeAnd가 붙었는데 기존과 동일하다고 설명되어있길래 질문드려요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타입스크립트(TypeScript)
강의 영상이 나오지 않습니다.
섹션3 타입스크립트 기본타입 별칭과 인덱스 시그니처, Enum 타입, Any와 Unknown 타입, Void와 Never 타입 총 4개 음성은 나오나 영상은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확인 부탁 드리겠습니다.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캐시를 기다리는 중. 질문드립니다
공통 컴포넌트 만들기 과정에서 Header left right버튼을 넣어서 수정하고 랜더링하는 과정에서 무한 대기로 빠집니다.Header를 삭제하면 랜더링이 잘 되는데, 동일하게 코드를 따라했음에도 Header를 넣으면 "캐시를 기다리는 중"이라는 문구와 함께 대기 상태로 접어듭니다원인을 잘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한국에서 제일 쉬운 리눅스 커널 강의
set_ftrace 질문
안녕하세요. 커널 강의 잘 듣고있습니다. set_ftrace.sh 스크립트 실행하다가 오류가 발생했는데21 번째 줄 ttw_do_wakeup 이 available_filter_functions에 없는 것으로 판단 됩니다. do_wakeup 대신 do_activate로 바뀐 거 같은데 맞는 걸까요? 커널 버전은 6.6 입니다!
-
해결됨실무 환경 그대로 주문게시판 만들기 웹개발 기초 마스터
강의 관련
강의를 새로 구매하기에는 비용이 부담되어 현재 수강중인 것 기간만료 후 연장하고 싶은데, 방법이 있을까요?비용을 조금 추가하는 방법이라도 좋으니, 2주정도만 연장하고 싶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자바 메모리 구조 관련 질문입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자바 메모리 구조"라는 게, 자바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JVM이라는 가상 컴퓨터에서 항상 실행되고, 그 컴퓨터의 메모리 구조가 메서드영역 / 스택 영역 / 힙 영역 이렇게 구분된다고 받아드리면 될까요?그러면 이 JVM은 실제 컴퓨터의 물리적인 메모리의 일부를 할당받아서 사용한다고 보면 될까요?그리고 실제 컴퓨터의 메모리는 메서드영역 / 스택 영역 / 힙 영역 이렇게 구분되는 건 아닌거라고 생각하면 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