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DataSourceUtils import가 안돼요.
[질문 내용]저는 이클립스 4.2 , JDK17버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근데 datasource 연결하는데import가 되지 않습니다..private Connection getConnection() { return DataSourceUtils.getConnection(dataSource); }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회원 가입 시 member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public Long join(Member member){ validateDuplicateMember(member); System.out.println(member.getId()); memberRepository.save(member); System.out.println(member.getId()); return member.getId(); }위 코드는 멤버 가입 시 MemberService의 join 메소드 입니다.member의 아이디가 부여되는 시점은 memberRepository.save(member);가 호출되어 저장이 되는 시점입니다.위 코드에서 return member.getId();의 member는 컨트롤러에서 넘어온 member왜 같은 인스턴스라고 생각됩니다. 1. memberRepository.save(member);가 아닌member = memberRepository.save(member); 2번의 코드의 경우 id가 생긴 member를 다시 member에 저장하게 되어 member.getId()를 호출하면 아이디가 나오는 것이 맞다고 생각되는데 1번처럼 코드를 작성해도 member에 id가 왜 저장되어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8분쯤 나오는 첫번째테스트 오류
[질문 내용]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하는데 이유를 모르겠네요 ㅠㅠ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질문이 있습니다
[질문 내용]이런 로깅기능을 사용하는 이유는 에러가 발생했을때 어떤 오류때문에 발생했는지 확인하기위해서 로그를 찍어본다고 생각하면 될까요?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model에 관한 질문
컨트롤러에서 모델에 등록하고 html에서 타임리프로모델에 등록된 값을 보여줄 수 있어요컨트롤러당 1개 모델 사용하는건가요? 모델 1개로 여러 컨트롤러가 사용하는건가요? 궁금하네요~!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모델이라는것이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컨트롤러 설계시간에서 부터 이해에 어려움이 있었는데 모델이라는 것이 어떤것을 의미 하는지 모르겠습니다.서블릿을 이용할때 request.setAttribute(“member”, member); 코드에서 모델에 데이터를 담는다 라고 하셨었는데그때는 모델이 폼에서 회원가입을 누르면 나오는 뷰를 말하는줄 알았는데 지금까지 수업을 들어보니 뷰를 의미하는것이 아닌것 같습니다. 컨트롤러 버전을 강화하면서 프론트컨트롤러 v3에서 Map<String, String> ParamMap = new HashMap<>();이라는 코드가 왜 있는지 각각의 키와 벨류는 어떤것인지도 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 paramMap.get(“username”)으로 값을 꺼내왔는데 어떻게 이 기능이 가능한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모델이 무엇인지 Map<String, String> ParamMap = new HashMap<>();의 코드가 어떤 기능을 하고 각 키, 벨류가 무엇을 의미 하는지이해하고 싶습니다. 모르는것이 있으면 빠르게 정리하여 질문했어야 하는데 늦게 질문해서 죄송합니다 ㅠㅠ
-
미해결처음하는 파이썬 백엔드 FastAPI 입문 (FastAPI부터 비동기 SQLAlchemy까지) [풀스택 Part1-2]
혹시 나중에 Django 강의도 내실건가요??
Flask도 내시고, fastAPI도 내셨으면 Django도 내실거 같아서요.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RequestMapping은 안드로이드 어플 개발에서 사용이 가능한가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해당 어노테이션은 url이 들어와야 매핑이 되는거로 인지 하였는데 안드로이드 어플에서는 url로 호출을 하지 않을거 같은데 웹이 아닌 앱 개발에서는 다른 기능을 사용하여야 하나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application.properties datasource질문
Test 부분에서 application.properties에 spring.profiles.active=test #spring.datasource.url=jdbc:h2:tcp://localhost/~/testcase #spring.datasource.username=sa #jdbcTemplate sql log logging.level.org.springframework.jdbc=debugurl과 username을 추가했었는데 h2 서버를 띄우지도 않았는데 작동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저 주석은 마지막강의 임베디드 메모리 강의듣느라 주석처리했습니다.) 이미 서버를 한번 띄었었기 때문에 작동이 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웹 페이지 배경 검은색 출력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배경이 흰색 페이지였다가 hello 서블릿 호출을 클릭하니까배경이 검정색으로 바뀌었습니다. 혹시 왜 그런걸까요??뭔가 파라미터 값을 넘길때만 그런 것 같기도 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빌드 관련 질문 있습니다.
윈도우로 하고 있는데gradlew.bat 을 빌드 하면 해당 오류가 뜨고 있습니다.세팅은스프링 부터 3.2.3자바 21 입니다. Gradle 세팅은해당 입니다.환경변수 확인 해봤는데 사용자 변수에는 JAVA_HOME 자체가 탐색도 안되는거 같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Transactional 위치와 적용에 대하여
[질문 내용] @Transactional public void accountTransfer(String fromId, String toId, int money) throws SQLException { bizLogic(fromId, toId, money); } public void bizLogic(String fromId, String toId, int money) throws SQLException { Member from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fromId); Member to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toId); memberRepository.update(fromId, fromMember.getMoney() - money); validation(toMember); memberRepository.update(toId, toMember.getMoney() + money); }안녕하세요. 강의 코드와 같이 accountTransfer을 실행했을때 트랜잭션이 잘 작동되어 오류가 발생했을때 롤백이 실행됩니다. @Transactional public void accountTransfer(String fromId, String toId, int money) throws SQLException { Member from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fromId); Member to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toId); memberRepository.update(fromId, fromMember.getMoney() - money); validation(toMember); memberRepository.update(toId, toMember.getMoney() + money); }이 코드 또한 그렇습니다. public void accountTransfer(String fromId, String toId, int money) throws SQLException { bizLogic(fromId, toId, money); } @Transactional public void bizLogic(String fromId, String toId, int money) throws SQLException { Member from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fromId); Member to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toId); memberRepository.update(fromId, fromMember.getMoney() - money); validation(toMember); memberRepository.update(toId, toMember.getMoney() + money); }하지만 이 코드에서 accountTransfer을 실행했을때 트랜잭션이 작동하지 않습니다.이유가 무엇일까요?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안녕하세요! 강의 내용을 바탕으로 응용해서 H2 데이터베이스에서 MySQL로 바꾸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https://drive.google.com/file/d/1ZTyx0uvGjnTkhf1YH7t2espgi1Koaf0N/view?usp=sharing build.gradle이랑 application.properties diver 설정도 했는데 왜 부트가 꺼지는지 모르겠네요...ㅠ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프로젝트가 처음부터 오류가 발생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스프링 부트 프로젝트 생성open build.gradle as project아래와 같이 프로젝트들이 모두 붉은색인데 괜찮은건가요..? build.gradle제 Gradle JVM 도 21버전입니다.Build and run using 과 Run tests using 모두 Gradle입니다.설정도 다 마치고, HelloServlet 에서 오버라이드가 안됩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스프링이 제공하는 기능과 스프링 빈의 관계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스프링이 제공하는 트렌잭션 AOP를 사용하면 스프링 부트에서 관련된 로직을 자동으로 스프링 빈으로 등록한다는 설명에서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 개발자들이 직접 컴포넌트 스캔이나 @Controller 와 같은 애너테이션을 사용해서 등록하는 빈들과 별개로 트렌젝션과 같은 부가 가능또한 빈으로서 관리가 되어야 사용할 수 있는 것인 걸까요? 어떻게 보면 당연히 등록되어야지! 라는 생각도 들지만, 스프링 빈으로 등록이 되어야하는 객체에 기준이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예상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1. 개발자가 서비스 로직을 만들기 위해 개발되는 모든 것은 스프링 빈으로 등록하여 싱글톤으로 용이하게 관리하며 자동의존 주입을 받는다. 2. 데이터 접근 기술이나 트랜잭션 같이 스프링에서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게 만들어 놓은 것을 사용하려면 스프링 빈으로 등록해서 사용해야한다. 2-1. 다만 스프링에서 제공하는 기능적인 기술은 스프링 부트를 사용시 자동으로 등록해준다.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리소스가 정확히 뭔가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저번 HTTP 웹지식 강의에서는 리소스가 명사? 라고 했던거 같은데 여기서는 정적 리소스, 동적리소스라고 하니깐 리소스가 정확히 뭔지 감이 안 잡히네요. 완벽히 짖고 넘어가고 싶네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log에 빨간줄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log에 빨간줄이 그어지고 test를 돌려도 log 기록이 남지 않는데 무엇이 문제일까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Mybatis에서 Connection의 생명주기 및 Pooling Proxy객체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제목과 같습니다.Mybatis에서의 Connection 생명주기와커넥션풀을 연동했을때의 Connection 생명주기가 궁금합니다.Mybatis에서 커넥션풀을 적용한다고 가정합니다.만약 하나의 기능 즉, 하나의 쓰레드 단위로 쿼리를 호출하는 매퍼 메소드를 4번 호출한다면 이때 커넥션은 Mapper를 통해 호출하는 DAO 메소드 단위로 Pool에서 4번 꺼내는것인지?만약 그렇다면, 4번 꺼내는 객체들이 앞서 배운 내용처럼 처음 Pool에서 꺼내서 사용하고 반환한 동일한 Connection 객체를 다시 꺼내어 재사용 하는건지 궁금합니다!또한 Transcation Rollback 되는것도 동일한 Connection, 동일한 Session에 의한것과 연관성이 있는건지도 궁금합니다.제가 이해한 부분은 아래와 같습니다.커넥션풀을 사용하면 커넥션풀에 각각 다른 커넥션이 생성됨(10개)하나의 커넥션당 하나의 세션이 생성되며, 커넥션의 생명주기에 종속되어 있다.세션은 트랜잭션을 시작하고 커밋을 관리한다.커넥션 풀을 사용하면 하나의 스레드내에 각각의 쿼리에 대한 작업 단위가 동일한 커넥션을 반환받는다.커넥션이 동일하다면 세션도 동일하므로 하나의 트랜잭션으로 관리된다?이게 맞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시스템 os locale 과 intellij default locale이 다릅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intellij 에서 로케일 티폴트를 찍으면 en-us라고 나오는데시스템 os locale은 한국입니다.locale.korea 라고 했을 때 messages_kr 파일이 없어 messages.properties(디폴트)를 먼저 찾아 테스트가 동작한다는 설명은 이해했습니다. (locale null 대신 locale.korea로 테스트성공) 하지만 null값으로 주게 되면 시스템 os 를 먼저 찾고(저의 경우 kr) -> messages_kr이 없으니 그대로 messages.properties를 찾을 줄 알았으나 messages_en.properties를 계속해서 참조했습니다. (아래) default값을 찍어보니 맨 위 사진처럼 intellij에서 디폴트값을 us로 인식하고 있었습니다. 혹시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KeyHolder 질문
@Override public Item save(Item item) { String sql = "insert into item (item_name, price, quantity) " + "values(:itemName, :price, :quantity)"; SqlParameterSource param = new BeanPropertySqlParameterSource(item); KeyHolder keyHolder = new GeneratedKeyHolder(); template.update(sql, param, keyHolder); long key = keyHolder.getKey().longValue(); item.setId(key); return item; } KeyHolder같은경우 id를 내부에서 직접 구성해줘야하기 때문에 쓰는거라고 알고있는데 서버를 열어서 추가를 해줄때마다 숫자가 증가되는걸 볼수있었습니다. 숫자가 증가되는건 코드에서 자체적으로 해주는건가요?항상 답변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