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AOP 활용에 대하여 질문 드립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AOP는 핵심 로직이 아닌 부가적인 로직을 처리할 때 주로 사용한다고 알고있습니다. 보통 많이 사용하는 경우는 로그추적, 트랜잭션 등이 있다고 하셨는데 권한을 체크할 때도 사용할 수 있나요?만약 사용자들은 방을 생성해서 그 방안의 참여자들만 글을 쓸 수 있을 때, 이 유저가 참여자인지 확인하는 로직이 필요하다면 이 로직을 AOP를 활용하여 작성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여러 메서드들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공통 관심사라는 생각이 들긴 합니다. 직접 서비스단에서 매번 확인하면 중복 코드가 발생할 것 같아서 AOP를 활용하고 싶은데 이런 경우도 사용이 가능한지 궁금해 질문남깁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프로젝트 실행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영상보며 차근차근 따라하는데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만들고 build.gradle 오픈하니 사진과 같이 에러가 뜹니다.질문전 다른 분들의 같은 문제를 보았는데 저는 제 어떤 부분이 문제인지 잘모르겠습니다ㅠ..환경변수하고 체크해봤는데 제 눈에는 문제를 잘모르겠어요.혹시나해서 오류 및 프로젝트 설정, 환경 변수등의 사진들을 올려봅니다. <오류> <Project Structure - Project>위 사진에서 처음에는 <No SDK>로 설정되어있어서 이것문제인가 싶어 open-jdk로 변경했지만 그대로더군요ㅠ <Project Structure - SDKs>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설정> <환경변수 설정> 이상입니다. 도움좀 주세요ㅠ 스프링 공부하고싶어여
-
미해결실전! Querydsl
Querydsl Fetchjoin 해서 이미 조회한 엔티티를 Spring Data JPA findBy 다시 하면 영속성 컨텍스트에서 가져오지 않고 쿼리가 실행되는 문제
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사님 안녕하세요.프로젝트를 진행하다가 Querydsl의 fetcjoin을 쓰고, 로직 처리를 위해 엔티티를 따로 조회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코드를 짰는데, 중간에 for 문으로 c.getUser()했을 떄는 fetcjoin이 제대로 되어서 쿼리가 발생하지 않고, userId가 1인 UserEntity가 잘 조회됩니다.그런데 이미 userId가 1인 user 엔티티가 조회 됐음에도 불구하고 맨 아래의 userId가 1인 User findBy를 사용하여 조회하면 select UserEntity where userId=1 인 한 번 더 쿼리가 발생합니다.원래 fetcjoin는 엔티티.get연관엔티티() 에서만 작동을 하는 걸까요?for 문 돌면서 id 체크하고 c.getUser()로 재사용하기에는 비효율적일 것 같은데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는 어떤 식으로 쿼리가 한 번더 발생하지 않으면서 동일한 이미 fetcjoin으로 가져온 엔티티를 사용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fetcjoin 한 getPopUpStoreComments querydsl 코드는 위와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문제와 풀이2번 궁금증
영한님 안녕하세요. 문제와 풀이 2번을 풀고 고민하고 강의를 학습해도 약간의 의문점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Thread t1 = new Thread(new MyTask(), "t1"); Thread t2 = new Thread(new MyTask(), "t2"); Thread t3 = new Thread(new MyTask(), "t3"); t1.start(); t2.start(); t3.start(); // 1초 t1.join(); t2.join(); t3.join(); // 대기현재 위와 같은 코드에서 main 쓰레드가 t1, t2, t3에게 작업을 시킵니다. 그리고 t1의 join을 만나니까 t1이 작업이 완전히 끝날때까지 대기상태에 빠집니다. 그리고 t1이 작업이 완료되면 t2.join()이 실행된다면 결과가 아래와 같이 나와야 하는데 왜 이렇게 안 되는지 의문입니다. ㅠㅠt1: 1t1: 2t1: 3t2: 1t2: 2t2: 3...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C언어 기출문제의 변형 23:00문제 질문할게요
*ptr++의 경우에는 arr의 값도 증가 시키고 포인터 위치도 변경시키는거고,++*ptr 일경우에는 바라보고 있는 포인터위치는 변하지 않고 arr의 값만 증가 시키고 끝나는건가요? 제가 지금 이해하고 있는건 *ptr 의 앞에 "++"이 붙으면 값만 선증가시키고, "++"이 뒤에 붙이면 값을 후증가시키고 메모리값도 증가시킨다. 인데 이게 맞나요?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이해가 되질 않습니다. 선생님이 작성해주신 코드로 제출했는데 오답처리됩니다. ( 배열 11.임시반장정하기)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package DJ_LEE.Array;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10 { public int solutionOfLecture(int[][] arr, int num) { int answer =0; int min = 0; for (int i=1; i<= num; i++) { int cnt = 0; for (int j = 1; j <= num; j++) { for (int k = 1; k <= 5; k++) { if (arr[i][k] == arr[j][k]) { cnt++; break; } } } if(cnt>min){ min=cnt; answer=i; } } return answ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ain10 T = new Main10(); Scanner kb = new Scanner(System.in); int num = kb.nextInt(); int[][] arr = new int[num+1][6]; for( int i=1; i<=num; i++){ for(int j =1; j<=num; j++){ int el = kb.nextInt(); arr[i][j]=el; } } System.out.println(T.solutionOfLecture(arr,num)); } }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불변 객체가 되기 위한 조건
불변 객체가 되기 위해서는 해당 객체의 상태가 변경될 수 없는 형태여야하는데, 상태(필드, 멤버 변수) 중 변경 가능한 상태와 변경 불가능한 상태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는 불변 객체로 보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오타 있습니다
강의 자료 : 8. 생산자 소비자 문제1.pdf43페이지큐가 가득 찾을 때 -> 큐가 가득 찼을 때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Value 추가 시 에러 발생
학습 관련 질문을 최대한 상세히 남겨주세요!고민 과정도 같이 나열해주셔도 좋습니다.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좋아요 수 구현 부분 강의를 듣고 따라하던 도중 문제가 생겼습니다.ArticleLikeCount의 엔티티에서 version에 @Version을 붙이고 난 후, 테이블의 값을 모두 삭제하고 나서 테스트를 돌리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계속해서..Row was updated or deleted by another transaction (or unsaved-value mapping was incorrect):위 에러가 계속 발생하네요.테스트는 like 메서드를 실행했습니다.이상하게도 강사님 코드로는 정상 작동이 되어서, 그대로 복사해서 붙여넣기로 가져와서 돌려보면 안되네요.테이블에 데이터가 이미 존재하면 그때부터는 정상적으로 되는 것 같은데, 테이블이 비어있으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ㅜㅜ혹시라도 확인하실 수 있도록 제 프로젝트 파일을 압축해서 올려놓은 링크 공유하겠습니다. ㅜㅜhttps://drive.google.com/file/d/1H9UR9UXZhgmBH-XrXoXPc2-dgrixF7b-/view?usp=drive_link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java -jar jpashop-0.0.1-SNAPSHOT.jar 예외발생
20분 47초경에서 정체중입니다.위와같은 오류가 계속 발생중입니다.위는 project structure입니다인텔리제이에서 그냥실행했을떄는 잘 작동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java -jar hello-spring-0.0.1-SNAPSHOT.jar 까지 가는 경로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현재 cmd에서C:\Users\choiminseok>cd studyC:\Users\choiminseok\study>cd hello-springC:\Users\choiminseok\study\hello-spring>gradlew이렇게 쳐서 build successful이 나왔고C:\Users\choiminseok\study\hello-spring>gradlew build이렇게 입력해서마찬가지로 build successful이 나왔습니다.이제 여기서java -jar hello-spring-0.0.1-SNAPSHOT.jar이런게 보이는 쪽으로 가야하는데 뭘 입력하면 되나요?강사님은 ls -arlth를 입력해 뭔가 나오는데저는 ls를 입력하면 'ls'은(는) 내부 또는 외부 명령,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배치 파일이 아닙니다.라고 나옵니다. 해결방법 알려주세요참고로 윈도우입니다.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프론트에서 페이지네이션 count 계산법 질문드립니다!
페이지 번호 공식은 다음 버튼 활성화 유무만 판단하는 거고 이전 버튼 유무는 프론트에서'만' 제어하는 걸까요? 프론트에서도 페이지 번호 공식을 알고 있는걸까요? 2:50초 11~20번 페이지에 있을때프론트에서 계산한값(601) == 백엔드에서 내려준 값(601)=> 같으므로 '다음' 버튼 활성화 프론트에서 계산한값(601) == 백엔드에서 내려준 값(500)=> 601 미만 이므로 '다음' 버튼 비활성화 (강의 넘 재밌어요. 게임 하는거 보다 재밌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build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C:\Users\choiminseok\study\hello-spring>gradlew buildERROR: JAVA_HOME is set to an invalid directory: C:\Program Files\Files\Java\Java\jdk-17Please set the JAVA_HOME variable in your environment to match thelocation of your Java installation. 이렇게 cmd에서 오류가 나서 환경변수에서 jdk-17에 맞게 설정해줘야한다는 이해했습니다. 근데 제가 jdk-23을 다운을 받아서 23으로 환경변수를 설정해놨는데ERROR: JAVA_HOME is set to an invalid directory: C:\Program Files\Files\Java\Java\jdk-17계속 이렇게 뜨는데 directory가 17말고 23으로 가게 하고싶은데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윈도우 build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윈도우를 쓰고 있어서 cmd를 켠 후C:\Users\choiminseok\study\hello-spring>gradlew.bat이렇게 입력하니 아래와 같이 뜨는데 왜 그런가요?ERROR: JAVA_HOME is set to an invalid directory: C:\Program Files\Files\Java\Java\jdk-17Please set the JAVA_HOME variable in your environment to match thelocation of your Java installation. gradlew를 입력했을때도 똑같이 나와요C:\Users\choiminseok\study\hello-spring>gradlewERROR: JAVA_HOME is set to an invalid directory: C:\Program Files\Files\Java\Java\jdk-17Please set the JAVA_HOME variable in your environment to match thelocation of your Java installation.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localhost:8080 연결할 수 없음이 떠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이렇게 해두고 서버 재시작 누르고 확인해봐도 연결할 수 없다고 뜹니다. C:\Users\choiminseok\.jdks\corretto-17.0.13\bin\java.exe "-javaagent:C:\Program Files\JetBrains\IntelliJ IDEA Community Edition 2024.1.4\lib\idea_rt.jar=5957:C:\Program Files\JetBrains\IntelliJ IDEA Community Edition 2024.1.4\bin" -Dfile.encoding=UTF-8 -classpath C:\Users\choiminseok\OneDrive\Desktop\inflearn\inflearnSpringstart\hello-spring\out\production\classes;C:\Users\choiminseok\OneDrive\Desktop\inflearn\inflearnSpringstart\hello-spring\out\production\resources;C:\Users\choiminseok\.gradle\caches\modules-2\files-2.1\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hymeleaf\3.4.2\8dcb10dc369c51639b32bcc2a423fd5625c299f4\spring-boot-starter-thymeleaf-3.4.2.jar;C:\Users\choiminseok\.gradle\caches\modules-2\files-2.1\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3.4.2\cf1c8efe77dccf221acf5f0ce9cc24c718c0ca44\spring-boot-starter-web-3.4.2.jar;C:\Users\choiminseok\.gradle\caches\modules-2\files-2.1\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3.4.2\9d914208449fce99a67d3def60957cdcc98b552a\spring-boot-starter-3.4.2.jar;C:\Users\choiminseok\.gradle\caches\modules-2\files-2.1\org.thymeleaf\thymeleaf-spring6\3.1.3.RELEASE\4b276ea2bd536a18e44b40ff1d9f4848965ff59c\thymeleaf-spring6-3.1.3.RELEASE.jar;C:\Users\choiminseok\.gradle\caches\modules-2\files-2.1\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json\3.4.2\e413d51228ddaf6a9644533987faa0ae6e18fe47\spring-boot-starter-json-3.4.2.jar;C:\Users\choiminseok\.gradle\caches\modules-2\files-2.1\org.springframework\spring-webmvc\6.2.2\9b1aeb179ba9667bc78a4a5cec4ec8087db404d7\spring-webmvc-6.2.2.jar;C:\Users\choiminseok\.gradle\caches\modules-2\files-2.1\org.springframework\spring-web\6.2.2\bd2ef98bf98b6ecf8dd29106ae27b7515524c21\spring-web-6.2.2.jar;C:\Users\choiminseok\.gradle\caches\modules-2\files-2.1\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autoconfigure\3.4.2\c50511dba751ffe7df320d27c6875feb2745654e\spring-boot-autoconfigure-3.4.2.jar;C:\Users\choiminseok\.gradle\caches\modules-2\files-2.1\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3.4.2\b2514201ba6b838bd638a51619515501c5baefea\spring-boot-3.4.2.jar;C:\Users\choiminseok\.gradle\caches\modules-2\files-2.1\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logging\3.4.2\be7631ab8d3cb2a6a3c9981dcaa6d0867c964772\spring-boot-starter-logging-3.4.2.jar;C:\Users\choiminseok\.gradle\caches\modules-2\files-2.1\org.springframework\spring-core\6.2.2\94269e888dc979e75a1a1b9600d7153d72e6a7f1\spring-core-6.2.2.jar;C:\Users\choiminseok\.gradle\caches\modules-2\files-2.1\org.yaml\snakeyaml\2.3\936b36210e27320f920536f695cf1af210c44586\snakeyaml-2.3.jar;C:\Users\choiminseok\.gradle\caches\modules-2\files-2.1\org.thymeleaf\thymeleaf\3.1.3.RELEASE\51474f2a90b282ee97dabcd159c7faf24790f373\thymeleaf-3.1.3.RELEASE.jar;C:\Users\choiminseok\.gradle\caches\modules-2\files-2.1\org.slf4j\slf4j-api\2.0.16\172931663a09a1fa515567af5fbef00897d3c04\slf4j-api-2.0.16.jar;C:\Users\choiminseok\.gradle\caches\modules-2\files-2.1\com.fasterxml.jackson.datatype\jackson-datatype-jsr310\2.18.2\7b6ff96adf421f4c6edbd694e797dd8fe434510a\jackson-datatype-jsr310-2.18.2.jar;C:\Users\choiminseok\.gradle\caches\modules-2\files-2.1\com.fasterxml.jackson.module\jackson-module-parameter-names\2.18.2\72960cb3277347a748911d100c3302d60e8a616a\jackson-module-parameter-names-2.18.2.jar;C:\Users\choiminseok\.gradle\caches\modules-2\files-2.1\com.fasterxml.jackson.datatype\jackson-datatype-jdk8\2.18.2\9ed6d538ebcc66864e114a7040953dce6ab6ea53\jackson-datatype-jdk8-2.18.2.jar;C:\Users\choiminseok\.gradle\caches\modules-2\files-2.1\com.fasterxml.jackson.core\jackson-databind\2.18.2\deef8697b92141fb6caf7aa86966cff4eec9b04f\jackson-databind-2.18.2.jar;C:\Users\choiminseok\.gradle\caches\modules-2\files-2.1\org.springframework\spring-context\6.2.2\aa01a7faa3694983339ca7e45619860ef34052d6\spring-context-6.2.2.jar;C:\Users\choiminseok\.gradle\caches\modules-2\files-2.1\org.springframework\spring-aop\6.2.2\2a1a445d4cd8e5fe2311df04fc25c0bc54bd2ce4\spring-aop-6.2.2.jar;C:\Users\choiminseok\.gradle\caches\modules-2\files-2.1\org.springframework\spring-beans\6.2.2\ec8ee520ff7b147de8ac04d330848d468253f84d\spring-beans-6.2.2.jar;C:\Users\choiminseok\.gradle\caches\modules-2\files-2.1\org.springframework\spring-expression\6.2.2\20164dd3a70d0048185cf02bb1b097b22e73d820\spring-expression-6.2.2.jar;C:\Users\choiminseok\.gradle\caches\modules-2\files-2.1\io.micrometer\micrometer-observation\1.14.3\cd66186a1fe8465dc732d9514bade1104044b56d\micrometer-observation-1.14.3.jar;C:\Users\choiminseok\.gradle\caches\modules-2\files-2.1\ch.qos.logback\logback-classic\1.5.16\113979db51dfad6dc895b34460d7b7ff64ffe7d2\logback-classic-1.5.16.jar;C:\Users\choiminseok\.gradle\caches\modules-2\files-2.1\org.apache.logging.log4j\log4j-to-slf4j\2.24.3\da1143e2a2531ee1c2d90baa98eb50a28a39d5a7\log4j-to-slf4j-2.24.3.jar;C:\Users\choiminseok\.gradle\caches\modules-2\files-2.1\org.slf4j\jul-to-slf4j\2.0.16\6d57da3e961daac65bcca0dd3def6cd11e48a24a\jul-to-slf4j-2.0.16.jar;C:\Users\choiminseok\.gradle\caches\modules-2\files-2.1\org.springframework\spring-jcl\6.2.2\1fbbb0b2e85c6eac7c366c5eed5b124785f05ac8\spring-jcl-6.2.2.jar;C:\Users\choiminseok\.gradle\caches\modules-2\files-2.1\org.attoparser\attoparser\2.0.7.RELEASE\e5d0e988d9124139d645bb5872b24dfa23e283cc\attoparser-2.0.7.RELEASE.jar;C:\Users\choiminseok\.gradle\caches\modules-2\files-2.1\org.unbescape\unbescape\1.1.6.RELEASE\7b90360afb2b860e09e8347112800d12c12b2a13\unbescape-1.1.6.RELEASE.jar;C:\Users\choiminseok\.gradle\caches\modules-2\files-2.1\com.fasterxml.jackson.core\jackson-annotations\2.18.2\985d77751ebc7fce5db115a986bc9aa82f973f4a\jackson-annotations-2.18.2.jar;C:\Users\choiminseok\.gradle\caches\modules-2\files-2.1\com.fasterxml.jackson.core\jackson-core\2.18.2\fb64ccac5c27dca8819418eb4e443a9f496d9ee7\jackson-core-2.18.2.jar;C:\Users\choiminseok\.gradle\caches\modules-2\files-2.1\io.micrometer\micrometer-commons\1.14.3\bf17f05dd6343d36ecc31076197a962cfdf46131\micrometer-commons-1.14.3.jar;C:\Users\choiminseok\.gradle\caches\modules-2\files-2.1\ch.qos.logback\logback-core\1.5.16\4f17700f046900aea2fadf115e2d67fec921f7fd\logback-core-1.5.16.jar;C:\Users\choiminseok\.gradle\caches\modules-2\files-2.1\org.apache.logging.log4j\log4j-api\2.24.3\b02c125db8b6d295adf72ae6e71af5d83bce2370\log4j-api-2.24.3.jar hello.hello_spring.HelloSpringApplication . ____ _ __ _ _ /\\ / ___'_ __ _ ()_ __ __ _ \ \ \ \( ( )\___ | '_ | '_| | '_ \/ _` | \ \ \ \ \\/ ___)| |_)| | | | | || (_| | ) ) ) ) ' |____| .__|_| |_|_| |_\__, | / / / / =========|_|==============|___/=/_/_/_/ :: Spring Boot :: (v3.4.2)2025-02-14T17:51:51.150+09:00 INFO 24936 --- [hello-spring] [ main] h.hello_spring.HelloSpringApplication : Starting HelloSpringApplication using Java 17.0.13 with PID 24936 (C:\Users\choiminseok\OneDrive\Desktop\inflearn\inflearnSpringstart\hello-spring\out\production\classes started by choiminseok in C:\Users\choiminseok\OneDrive\Desktop\inflearn\inflearnSpringstart\hello-spring)2025-02-14T17:51:51.153+09:00 INFO 24936 --- [hello-spring] [ main] h.hello_spring.HelloSpringApplication : No active profile set, falling back to 1 default profile: "default"2025-02-14T17:51:52.245+09:00 WARN 24936 --- [hello-spring] [ main] ion$DefaultTemplateResolverConfiguration : Cannot find template location: classpath:/templates/ (please add some templates, check your Thymeleaf configuration, or set spring.thymeleaf.check-template-location=false)2025-02-14T17:51:52.363+09:00 INFO 24936 --- [hello-spring] [ main] h.hello_spring.HelloSpringApplication : Started HelloSpringApplication in 1.931 seconds (process running for 4.824)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0이게 콘솔에서 나온 값이구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대규모 트래픽 환경에서는 Jpa 보단 서브쿼리를 활용하시나요?
22:40에 서브 쿼리를 제시해주셨는데요.쿼리를 분리하여 애플리케이션 로직으로 풀수 없을때만 nativeQuery를 사용해서 서브쿼리를 즉시 적용하시는 걸까요? 아니면 서브쿼리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시는 걸까요? 대규모 트래픽 환경에서는 Jpa, Querydsl를 단순한 기능에 사용할때도 조심해서 써야할 것 같아요.. 팀 컨벤션이 도메인을 풍부하게 활용하는 거라면 nativeQuery는 지양해야 할것 같기두 하네요. 지식이 부족해서 가정만 하게 되네요 ㅠ.ㅠ답변 부탁드립니다~ (반복 학습 필수네요. 강의 1분 1초를 씹고 뜯고 맛보고 즐기면서 공부하겠습니닷!)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v4에서 DTO 전용 리포지토리를 만들 때 유지보수 비용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package jpabook.jpashop.repository.order.simplequery;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Repository; import javax.persistence.EntityManager; import java.util.List; @Repository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OrderSimpleQueryRepository { private final EntityManager em; public List<OrderSimpleQueryDto> findOrderDtos() { return em.createQuery( "select new jpabook.jpashop.repository.order.simplequery.OrderSimpleQueryDto(o.id, m.name, o.orderDate, o.status, d.address)" + " from Order o" + " join o.member m" + " join o.delivery d", OrderSimpleQueryDto.class) .getResultList(); } } 이 코드 같은 경우 유지보수가 더 좋아졌다고 할 수 있나요?만약, 다른 도메인 계층에 있는 엔티티가 수정될 경우 오히려 이 부분도 수정해야 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한다고도 볼 수 있지 않나요? 원래처럼 일반 리포지토리에 두었을 때 API에 핏하게 설계했기 때문에 API 스펙이 변경될 경우 리포지토리를 수정해야하는 거랑 따로 DTO 전용 리포지토리를 만들었을 때 다른 도메인 계층의 엔티티가 수정되었을 때 이 부분 코드를 수정하는 거랑 유지보수 비용이 어느게 더 적은 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 코딩테스트 - it 대기업 유제
가장 많이 사용된 회의실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강사님 코드를 보면서 드는 의문이 굳이while문이 필요한 가 입니다.while문에 없어도 어쩌피 if else로직만으로도 잘 답을 가져오는 거 같아서요 혹시 예외 케이스가 있나요? ```javapackage org.youyk.inflearn.latest.sec03.Problem6;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7 { public int solution(int n, int[][] meetings){ int answer = 0; int[] rest = new int[n]; // 끝나는 시간, 순번 PriorityQueue<int[]> rooms = new PriorityQueue<>((a,b)->a[0] == b[0] ? a[1]-b[1] : a[0] - b[0]); TreeSet<Integer> roomSet = new TreeSet<>(); for(int i=0;i<n;i++){ roomSet.add(i); } Arrays.sort(meetings,(a,b)->a[0] - b[0]); for(int[] m : meetings){ if(!roomSet.isEmpty()){ int r = roomSet.pollFirst(); rest[r]++; rooms.add(new int[]{m[1],r}); }else{ int[] poll= rooms.poll(); rest[poll[1]]++; rooms.add(new int[]{poll[0] + (m[1] - m[0]), poll[1]}); } } int max=0; for(int i=0;i<n;i++){ if(max<rest[i]){ max = rest[i]; answer = i; } } return answ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olution7 T = new Solution7(); System.out.println(T.solution(2, new int[][]{{0, 5}, {2, 7}, {4, 5}, {7, 10}, {9, 12}})); System.out.println(T.solution(3, new int[][]{{3, 9}, {1, 10}, {5, 8}, {10, 15}, {9, 14}, {12, 14}, {15, 20}})); System.out.println(T.solution(3, new int[][]{{1, 30}, {2, 15}, {3, 10}, {4, 12}, {6, 10}})); System.out.println(T.solution(4, new int[][]{{3, 20}, {1, 25}, {5, 8}, {10, 15}, {9, 14}, {12, 14}, {15, 20}})); System.out.println(T.solution(2, new int[][]{ {0, 5}, {1, 2}, {2, 3}, {3, 6}, {6, 8} })); } }```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XxxResponse를 service 패키지에 두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XxxRequest / XxxResponse 클래스를 controller 패키지 하위가 아닌 Service 패키지 하위에 두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의존성 방향을 Controller부터 단방향을 유지하기 위해 하신것으로 유추 하는 바입니다. 하지만 XxxRequest / XxxResponse가 service 패키지 클래스에 있는게 조금 어색해 보여서요. 저는 controller 하위 패키지에 requeset / response를 두고facade 혹은 service에 클래스로 묶어서 넘길경우 에는는 domain 계층에 만든 dto를 생성해서 넘깁니다. 제가 생각한게 맞는지 답변 부탁드립니다~ (강의 최고입니다. 저만 듣고 싶어요 흙흙)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선착순 이벤트 시스템
카프카를 도입하고 난 뒤 로그로 보여지는 장점을 발견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마지막에 API서브모듈에서 직접 MySQL로 여러 쓰레드가 JPA save를 통해 INSERT하는 과부하가 발생하던 것을 카프카를 통해서 처리량을 조절할 수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카프카를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처리량이 조절된다는 뜻이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특히 컨슈머서브모듈에서 보여지는 로그를 확인해보면 여전히 단 건으로 SQL들이 전송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배치방식으로 여러 SQL을 한데 모아 한번에 SQL횟수를 줄여주는 것을 기대했으나 그렇지 않아 어떤 원리로 처리량이 줄어드는 것인지 이해를 못했습니다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