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Caw -> Cow 오타 안 고치신 건가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PDF 교안 최신버전(20240411 ver)으로 다시 확인해봤는데 Caw 오타 그대로인거 같아서 문의드립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문제와풀이1 문제2번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for (int i = 0; i < numbers.size(); i++) { System.out.print(numbers.get(i)); if(i<numbers.size()-1){ System.out.print(", "); } }i < number.size()-1 쪽이 제대로 이해가 안되는거같아서 질문합니다.정수 입력을 1,2,3 입력했으면 numbers.size() = 3i값 = 0 , numbers.size =3i값 = 1 , numbers.size = 3마지막 반복인 i값 = 2 , numbers.size = 3 을 할때는2<3-1 은 맞지않으니 마지막 3뒤에 " , " 출력안됨제가 이해한게 맞을까요 ?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자바 복습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질문이 생겨서 글을 남깁니다.저가 이것저것(아픔 + 번아웃..등)이 있어서 한 2주 정도 인가요? 코딩하는데 거의 손을 놓고 있엇습니다.(해 봐야 30분에서 2시간이하 정확히는 기억이 안남 ,아니면 아에 안함 )그리고 나서 날짜와 시간 사이에서 너무 막혀서(캘린더 는 정말 싫네요.. 하신 분들 존경 합니다.)에라이 전에 있던 문제 풀이나 복습 해보자 하고 하였는데.. String챕터 문제 풀이 부터 막히더라고요.(문제와 풀이만 보고서여.pdf파일에 있는 내용 참조 안함)그래서 다시 보고 있긴 한데, 시간이 지나고 나서( ex)예외처리까지 챕터 까지했을때 - 7월달까지 중급2편을 끝내고 싶었는데.. 역시 계획 대로는 안되네요...), 저가 이것들을 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더라고요.이럴 때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지금은 저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손코딩 + 동영상 보면서 코드 를 지우고 다시 침, 이렇게 하고 있긴 한데 더욱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아니면 지금 이대로 계속 하는 게 맞는 방법인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변수에 final 붙인 이유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NetworkClient 클래스, SendException 클래스,ConnectException 클래스들의 필드를 캡슐화로 외부에서 상태 변경을 막았는데 왜 final로 정의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list.sort() vs Collections.sort()
강의 내용중 Comparable, Comparator 파트에서 List 데이터를 정렬할 때 Collections.sort() 와 list.sort() 중 list.sort를 권장하는 이유를 조금 더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이 부분에서 list.sort()를 사용하는 게 더 객체지향적인 코드라고 말씀해주셨는데 List 인터페이스에 정의된 sort() 메서드를 사용하는 게 Collections class 에 정의된 static 메서드보다 어떤 측면에서 더 객체지향적인지 느낌은 오는데 이것 때문이다 라고 정리가 잘 안돼서 질문 드립니다. Collections 의 코드를 봤을 때 내부에서 Collections.sort(list, comparator)를 보게되면 list.sort(comparator) 메서드를 사용하고 있는데 그러면 굳이 Collections.sort()를 사용해야 할 케이스가 따로 있어서 정의한 것인지 어떤 경우에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public static <T> void sort(List<T> list, Comparator<? super T> c) { list.sort(c); }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섹션 3 질문
섹션 3 에서 AppConfig를 이용하여 test 코드 수정하는 장면에서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려요.Before each가 매 테스트가 실행되기전에 실행되는것 까지는 이해가 가는데 왜 appConfig를 이용하여 구현체 연결해줄때 before each가 사용되어야하는지 잘이해가안갑니다. 이 테스트를 할때 beforeEach를 굳이 사용하여야 하는 이유가있을까요? 제 생각에는 안쓰고 테스트가 여러개 있어도 상관없을거 같은데. 예시와 함께 설명해주시면 이해가 더 잘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인터페이스 질문.
안녕하세요 지금 막 섹션 2강을 다들은 학생입니다.강의를 보면서 따라서 코딩을 치다보니 궁금한 점들이 생겨서 질문남깁니다.MemberSerive와 OrderService는 각각의 구현객체가 하나씩 밖에 없고 구현객체가 하나밖에 없을시에는 Impl 구현객체클래스에 impl을 붙인다고 하셨는데, 구현객체가 어차피 하나밖에 없을경우에는 굳이 Interface를 안만들고 구현객체 클래스만 만들어도 되는거 아닌가요?지금 Interface를 만든이유가 나중에 추후에 확장 혹은 수정이 있기때문에 저렇게 코드를 짜놓은건가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예외 처리 질문
안녕하세요.예외 처리 질문드립니다.checked exception을 잡을 때 catch 블럭에서 임의로 발생시킨 MyCheckedException이 아닌 RuntimeException을 잡으려고 하면 여기서 예외 처리를 못하니 throws로 예외를 다시 던져줘서 코드가 에러가 없었는데, unchecked exception을 잡을 때 똑같이 catch 블럭에서 발생된 MyUncheckedException이 아닌 다른 예외를 catch로 선언하고 나서 못 잡을 경우 밖으로 예외를 던지나 보려고 했는데 catch 에서 MyUncheckedException이 아닌 예외 중 어떤 건 에러가 안 나고 어떤 건 에러가 납니다.예를 들어 NullPointerExceptoin으로 잡으려고 하면 코드에 이상이 없고, MyCheckedException으로 잡으려고 하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어차피 둘 다 catch 블럭에서 처리할 수 없어서 밖으로 던질텐데 왜 이런 걸까요 ?public void callCatch(){ try{ client.call(); }catch(NullPointerException e){ System.out.println("예외처리, message = " + e.getMessage()); } System.out.println("정상 흐름"); }public void callCatch(){ try{ client.call(); }catch(MyCheckedException e){ System.out.println("예외처리, message = " + e.getMessage()); } System.out.println("정상 흐름"); }java: exception exception.basic.checked.MyCheckedException is never thrown in body of corresponding try statement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지역 클래스 지역 변수 캡쳐 질문
안녕하세요.자바의 설계상 동기화 등의 문제로 지역 클래스가 생성되 때 지역 변수의 값을 캡쳐하기 때문에 값을 변경하면 컴파일 에러가 난다는 설명에서 문의드릴 게 있습니다.설명해주신 예제로 확인하면 순서가 1.process() 호출 -> 스택 프레임 생성2. 해당 메서드 바디의 코드 실행3. LocalPrinter() 객체 생성인데, 여기서 3번 LocalPrinter() 객체가 생성이 될 때 지역 변수를 쓰는 게 있다면 그 지역 변수를 LocalPrinter() 객체 내부로 변수를 캡쳐해서 활용한다는 것이잖아요 ? 그러면 설명해주신 것과 같이 객체 생성 이후에 값을 변경하려고 하면 동기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서 자바에서 그렇게 설계를 안했다는 건 이해를 하겠는데, 객체 생성 전에 값을 바꾸는 건 어떻게 이해를 해야 할까요 ? 생성 전에 값을 바꾸면 사실상 객체 생성 이후 캡쳐를 하더라도 바뀐 값으로 캡쳐를 하면 되니 동기화 문제가 전혀 없을 거 같아서요.캡쳐본 중 위에는 객체 생성(캡쳐) 이후 바꾸면 안되는 예시이고 동기화 등을 고려하였을 때 제가 궁금한 건 캡쳐 전의 값 변경이 왜 캡쳐에 영향을 주느냐는 겁니다. (아래 캡쳐본) public Printer process(int param){ int localVar = 1; class LocalPrinter implements Printer{ int value = 0; @Override public void print(){ System.out.println("value = " + value); System.out.println("local value = " + localVar); System.out.println("param = " + param); System.out.println("outInstance = " + outInstance); } } LocalPrinter printer = new LocalPrinter(); localVar = 10; // printer.print(); return printer; }public Printer process(int param){ int localVar = 1; localVar = 10; class LocalPrinter implements Printer{ int value = 0; @Override public void print(){ System.out.println("value = " + value); System.out.println("local value = " + localVar); System.out.println("param = " + param); System.out.println("outInstance = " + outInstance); } } LocalPrinter printer = new LocalPrinter(); //localVar = 10; // printer.print(); return printer; }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내부 클래스 질문이 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공부하다가 궁금한 부분이 생겨서 질문 남깁니다.지역 클래스는 지역 변수와 마찬가지로 코드(메서드) 안에 작성해야 하는데 만약 메서드(지역 클래스 밖에 있는) process의 반환 타입을 지역 클래스로는 사용할 수 없는 건가요? 혼자 코드를 작성 해봤는데 컴파일 오류가 떠서 왜 그런건지 이유가 궁금합니다. 내부 클래스는 반환 타입으로 사용이 가능한데 지역 클래스는 안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객체지향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주니어 개발자 입니다. 취업을 위해 스프링 공부에만 급급하여 이해하지도 못한 채 넘어갔던 자바 기초 지식을 이제서야 강사님 강의를 통해 이해가 되는 것 같아 정말 감사드립니다. 현재 제가 있는 실무에서는 객체지향을 잘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것 같고 부족하다고 생각되어 이번 강의를 계기로 객체지향 관련해서 더 공부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앞으로 강사님 로드맵 자바 (기초 > 중급 > 고급) -> 스프링 .. 이런식으로 차근차근 들을 예정인데 이 로드맵을 따라가면 더욱 객체지향을 이해할 수 있는지 아니면 따로 추가적으로 공부를 해야할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질문 아님. 질문 많이 하시는 내용 정리] 빈생성과 초기화(라이프사이클)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빈 생성 -> 초기화 순서에서 빈 생성이 어디까지인지 저를 포함해서 헷갈리는 분들이 많이 계신 거 같습니다. 다른 분들 질문도 많이 있어 정리하여 공유합니다. 중요한 내용은 @Bean 어노테이션이 붙은 함수의 리턴 값이 빈으로 등록되는 것이고 이게 곧 빈 등록 부분입니다. 이해하셨다면 아래는 안 읽으셔도 됩니다.@Configuration static class LifeCycleConfig { @Bean public NetworkClient networkClient() { NetworkClient networkClient = new NetworkClient(); networkClient.setUrl("http://hello-spring.dev"); return networkClient; } }해당 코드에서 @Bean 어노테이션이 등록되어 있는데요. 이 코드는 라이프 사이클 중 빈 생성입니다. 초기화랑은 관계가 없습니다. 빈 생성 과정을 구체적으로 보면, 스프링 컨테이너가 빈 이름은 networkClient 으로 networkClient() 호출 결과(return networkClient;)의 객체를 등록하게 됩니다.(객체 참조값이 등록되겠죠)코드 중간에 setUrl 을 호출해주기 때문에, url은 세팅이 된 상태로 빈 생성이 되어있게 되구요.이후 초기화(강의 내용 중 @PostConstruct을 포함한 세가지 방법)는 별도의 프로세스로 진행됩니다. 해당 코드와 무관하다는 뜻입니다.참고차 비슷한 질문도 링크 남겨놓습니다https://www.inflearn.com/questions/378705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내부 인스턴스 질문
안녕하십니까.내부 인스턴스 생성시에 바깥 인스턴스의 참조값을 보관한다고 하셨는데 확인해보고 싶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참조값을 어떤 필드에 담고 있는지 참조값이 같은지 확인하고 싶습니다 .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풀이 방법을 못 찾아서 indexOf를 사용하지 안고 풀었는데 이 풀이가 맞는지 봐주실수 있을까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TestString6를 풀다가 찾다찾다 못찾아서 제 식대로 풀어버렸는데 논리적으로 하자가 없는 지가 궁금해서 풀이식을 올려봅니다.물론 인덱스메소드를 쓰지 않았지만 이렇게 풀면 문제되는 부분이 있을까요? 아직도 배열에서 헤메고 있는 초보라 배열을 제대로 썼는지도 궁금합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제약 관련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질문 내용]private static void run(TaskScheduler scheduler) { while (scheduler.getRemainingTasksSize() > 0) { scheduler.processNextTask(); } }여기에서 while (scheduler.getRemainingTasksSize() > 0)로 이미 task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조건 처리가 있는데 public void processNextTask() { Task processTask = tasks.poll(); if (processTask != null) { processTask.execute(); } }내부 실행 메서드에서도 한번 더 task가 있는지 null 체크를 했습니다. 제가 풀었을 때는 이미 제약이 걸렸다고 생각하여null 체크까지는 해주지 않고 풀어서 질문 남깁니다. 이미 이전에 비슷한 제약이 걸려있는데,내부 메서드에서도 한번 더 제약을 거는 이유가 궁금합니다.아니면 다른 예외가 발생할 수 있는 케이스가 있는건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인스턴스 메서드와 클래스 메서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클래스 메서드와 인스턴스 메서드 모두 메서드 영역에 존재한다고 하셨는데, 클래스 메서드는 인스턴스 생성 없이도 사용 가능하지만 인스턴스 메서드는 인스턴스 생성 없이는 사용이 불가능한 걸로 이해했습니다. 그럼 Java 내부적으로 같은 메서드 영역에 속한 클래스 메서드와 인스턴스 메서드를 어떻게 구분하여 클래스 메서드는 사용 가능하도록, 인스턴스 메서드는 사용 불가능하도록 처리하는 것인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내부클래스는 중첩클래스에 속하는것 아닌가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섹션 7-4 내부클래스] 에서 마지막 정리 부분에서 설명해 주신 "중첩이라는 단어와 내부라는 단어의 의미의 차이" 에서 중첩 을 어떤 다른 것이 내부에 위치하거나 포함되는 구조적 관계, 나의 안에 있지만 내것이 아닌 것을 말한다.중첩(Nested)은 나의 안에 있지만 내것이 아닌것을 말한다. 단순히 위치만 안에 있는 것이다. 반면에 여기서 의미하는 내부(Inner)는 나의 내부에서 나를 구성하는 요소를 말한다.라고 말씀하셨는데 이부분이 좀 햇갈려서요! 앞서 [섹션 7-1 중첩 클래스, 내부 클래스란?] 강의 파트 에서 가장 처음 설명해 주셨을 때 중첩클래스는 4가지 종류가 있으며 그 안에는 내부 클래스도 포함되어있다 라고 말씀하셨는데해당 파트의 강의 중간에 중첩과 내부라는 단어에 차이가 있다고 하셔서요.그렇다면 사실 "내것이 아닌것" 이라는 의미는 단순한 중첩인 순수 nested가 아니라 정적 중첩 즉, static nested에 해당하는것 아닌가요!?제가 잘못 이해하고 있다면... 처음에 중첩 안에 4가지 종류중 내부 클래스는 제외되어야 하는거 아닌가? 생각이 들었습니다. 중첩 클래스는 클래스를 정의하는 위치에 따라 여러가지 분류가 있다. 총 4가지가 있으며, 크게 2가지로 분류된다. - 중첩 클래스 분류 1. Static 정적 중첩 클래스 2. Non-Static 내부 클래스 1. inner 내부 클래스 2. local 지역 클래스 3. annonymous 익명 클래스 중첩 클래스를 정의하는 위치는 변수의 선언 위치와 같다.이렇게 교안으로도 함께 설명해주셨던 정의가 틀린것이 아닌가 해서요..죄송하지만 계속 햇갈려서 정확히 해 둬야 할거 같아요! 명쾌한 답변부탁드립니다 ^^(바쁘시더라도 강의를 직접 찍으신 영한형님께서 직접 답변 부탁드려요.. AI는 가끔제 질문의 요지를 잘 못알아먹고 오해를 불러일으키니..)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스프링돌릴떄 디버그 로깅뜨는부분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실행은 잘되는데 이런개 너무 많이뜨는데 제가 뭐 잘못만진건가요 ?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자바 메모리 구조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클래스 정보들이 메서드 영역에 올라 간다고 했는데 만약 A라는 클래스에 멤버 변수, 메서드, 생성자 들이 존재한다고 할때 값이 아닌 코드들 자체가 이진수로 바껴서 메서드 영역에 올라가는 건가요?기본형 변수든 참조형 변수든 변수 자체를 가리키는 주소가 따로 있는지 궁금합니다.pdf 자료 3페이지에 "자바에서 특정 클래스로 100개의 인스턴스를 생성하면, 힙 메모리에 100개의 인스턴스가 생긴다. 각각의 인스턴스는 내부에 변수와 메서드를 가진다." 라는 내용이 있는데요 여기서 내부에 변수와 메서드를 가진다. 부분이 이해가 안갑니다. 변수를 가진다는건 변수에 담긴 값과 변수 정보가 저장된다는건가요? 그리고 메서드를 가진다는건 이미 메서드 영역에 메서드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데 왜 힙 영역에도 저장되는지 모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ArrayDeque와 LinkedList 선택 기준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지난 강의에서 ArrayList와 LinkedList 구현체 선택 기준이데이터를 조회할 일이 많거나 뒷 부분에 데이터를 추가,삭제가 많은 경우→ 배열 리스트앞쪽의 데이터 추가, 삭제가 많은 경우→ 연결 리스트로 알려주셨습니다. 이번 ArrayDeque와 LinkedList의 구현체 선택 기준에 대한 언급은 없는데, 실무에서 거의 ArrayDeque로만 사용해서 그런건가요? 아니면 실무에서 ArrayDeque 대신 LinkedList로 사용할 때도 ArrayList와 LinkedList의 선택 기준이랑 동일하게 앞쪽에 데이터 추가, 삭제가 많을 때 사용하나요? 강의에서는 덱의 구현체는노드 링크를 사용하는 LinkedList보다는 단순한 배열 구조로 성능이 빠른 ArrayDeque를 사용하자로 마무리하셔서 질문 남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