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유니티 시스템 프로그래밍 Pt.1 - 상용 게임 구현을 위한 핵심 시스템 올인원 패키지
FindObjectOfType Deprecated오류가 발생하는데요.
LobbyUIController = FindObjectOfType<LobbyUIController>();강의대로 위의 코드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있어서.. LobbyUIController = FindFirstObjectByType<LobbyUIController>();이렇게 수정하라고 나오는데, 이 때문인지 로비 쪽의 Scene을 로드하면 Log에서 아래와 같이 Error가 찍힙니다.NullReferenceException: Object reference not set to an instance of an objectLobbyManager.Start () (at Assets/Scripts/Lobby/LobbyManager.cs:23)
-
미해결설계독학맛비's 실전 AI HW 설계를 위한 바이블, CNN 연산 완전정복 (Verilog HDL + FPGA 를 이용한 가속기 실습)
cnn_core simulaiton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혹시 시뮬레이션을 윈도우 vivado 프로그램으로 볼 때 따로 방법이 있을까요?값이 high impedance(z) 혹은 x 만 들어와서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1. 질문 챕터] : eg) 몇 장, 몇 분 몇 초 쯤. or 수강생 분들이 봤을 때 어디구나?! 할 수 있게 표기 부탁 드려요.[2. 질문 내용] : eg) 질문 내용을 자유롭게 작성해주시면 되겠습니다 🙂[3. 시도했던 내용,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 : eg) 설치영상은 이렇게 시도했는데 안되더라 or 본인의 생각을 적어주세요. (실습 내용 중에 이해가 안되거나 잘못된 내용이 있는데, 이러 이러한 근거로 나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 다음 내용은 읽어보시고 지우시면 됩니다.=================질문 내용을 작성해주실 때, 위의 3단계로 제가 이해할 수 있게 작성해주시면 정확한 답변을 드릴 수 있을 것 같아요!!현업자인지라 업무때문에 답변이 늦을 수 있습니다. (길어도 만 3일 안에는 꼭 답변드리려고 노력중입니다 ㅠㅠ)강의에서 다룬 내용들의 질문들을 부탁드립니다!! (설치과정, 강의내용을 듣고 이해가 안되었던 부분들, 강의의 오류 등등)이런 질문은 부담스러워요.. (답변거부해도 양해 부탁드려요)개인 과제, 강의에서 다루지 않은 내용들의 궁금증 해소, 영상과 다른 접근방법 후 디버깅 요청, 고민 상담 등..글쓰기 에티튜드를 지켜주세요 (저 포함, 다른 수강생 분들이 함께보는 공간입니다.)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질문글을 보고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남겨주시면 답변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미해결BigQuery(SQL) 활용편(퍼널 분석, 리텐션 분석)
[빠짝스터디 3주차 과제] 리텐션 과제
# 1) Weekly Retention을 구하는 쿼리를 바닥부터 스스로 작성해보세요 WITH base AS ( SELECT DISTINCT user_id, event_name, DATE(DATETIME(TIMESTAMP_MICROS(event_timestamp), 'Asia/Seoul')) AS event_date, DATETIME(TIMESTAMP_MICROS(event_timestamp), 'Asia/Seoul') AS event_datetime, user_pseudo_id FROM advanced.app_logs WHERE event_date BETWEEN '2022-08-01' AND '2023-08-03' ), first_diff_of_week AS ( SELECT *, DATE_DIFF(event_week, first_week, WEEK) AS diff_of_week FROM ( SELECT DISTINCT user_pseudo_id, DATE_TRUNC(MIN(event_date) OVER(PARTITION BY user_pseudo_id), WEEK(MONDAY)) AS first_week, DATE_TRUNC(event_date, WEEK(MONDAY)) AS event_week FROM base ) ), user_counts AS ( SELECT diff_of_week, COUNT(DISTINCT user_pseudo_id) AS user_cnt FROM first_diff_of_week GROUP BY diff_of_week ) SELECT diff_of_week, user_cnt, ROUND(SAFE_DIVIDE(user_cnt, first_cnt), 3) AS retention_rate FROM ( SELECT *, FIRST_VALUE(user_cnt) OVER(ORDER BY diff_of_week) AS first_cnt FROM user_counts ) ORDER BY diff_of_week# 2) Retain User를 New + Current + Resurrected + Dormant User로 나누는 쿼리를 작성해보세요. # 신규유저(New) : 제품을 처음 사용하는 유저 # 기존유저(Current) : 제품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유저 # 복귀유저(Resurrected) : 과거에 사용 -> 비활성 -> 다시 제품을 사용한 유저 # 휴면유저(Dormant) : 일정 기간 제품을 사용하지 않은 비활성화 사용자 WITH base AS ( SELECT DISTINCT user_id, DATE(DATETIME(TIMESTAMP_MICROS(event_timestamp), 'Asia/Seoul')) AS event_date, DATE_TRUNC(DATETIME(TIMESTAMP_MICROS(event_timestamp), 'Asia/Seoul'), WEEK(MONDAY)) AS event_week, user_pseudo_id FROM advanced.app_logs WHERE event_date BETWEEN '2022-08-01' AND '2023-08-03' ), user_activity AS ( SELECT user_pseudo_id, event_week, LAG(event_week, 1) OVER(PARTITION BY user_pseudo_id ORDER BY event_week) AS prev_week, MIN(event_week) OVER(PARTITION BY user_pseudo_id) AS first_week FROM base ), user_classification AS ( SELECT user_pseudo_id, event_week, CASE WHEN event_week = first_week THEN 'New' WHEN prev_week IS NOT NULL AND DATE_DIFF(event_week, prev_week, WEEK) = 1 THEN 'Current' WHEN prev_week IS NOT NULL AND DATE_DIFF(event_week, prev_week, WEEK) > 1 THEN 'Resurrected' ELSE 'Dormant' END AS user_type FROM user_activity ) SELECT event_week, user_type, COUNT(DISTINCT user_pseudo_id) AS user_count FROM user_classification GROUP BY ALL ORDER BY event_week, user_type# 3) 주어진 데이터에서 어떤 사람들이 리텐션이 그나마 높을까요? WITH base AS ( SELECT DISTINCT user_id, DATE(DATETIME(TIMESTAMP_MICROS(event_timestamp), 'Asia/Seoul')) AS event_date, DATE_TRUNC(DATETIME(TIMESTAMP_MICROS(event_timestamp), 'Asia/Seoul'), WEEK(MONDAY)) AS event_week, user_pseudo_id FROM advanced.app_logs WHERE event_date BETWEEN '2022-08-01' AND '2023-08-03' ), user_activity AS ( SELECT user_pseudo_id, event_week, LAG(event_week, 1) OVER(PARTITION BY user_pseudo_id ORDER BY event_week) AS prev_week, MIN(event_week) OVER(PARTITION BY user_pseudo_id) AS first_week FROM base ), user_classification AS ( SELECT user_pseudo_id, event_week, CASE WHEN event_week = first_week THEN 'New' WHEN prev_week IS NOT NULL AND DATE_DIFF(event_week, prev_week, WEEK) = 1 THEN 'Current' WHEN prev_week IS NOT NULL AND DATE_DIFF(event_week, prev_week, WEEK) > 1 THEN 'Resurrected' ELSE 'Dormant' END AS user_type FROM user_activity ), user_counts AS ( SELECT event_week, user_type, COUNT(DISTINCT user_pseudo_id) AS user_count FROM user_classification GROUP BY ALL ORDER BY event_week, user_type ) SELECT event_week, DATE_DIFF(event_week, first_week, WEEK) AS weeks_after_first_week, user_type, user_count, cohort_users, ROUND(SAFE_DIVIDE(user_count, cohort_users), 3) AS retention_rate FROM ( SELECT DATE(event_week) AS event_week, DATE(MIN(event_week) OVER()) AS first_week, user_type, user_count, MAX(CASE WHEN user_type = 'New' THEN user_count END) OVER(PARTITION BY DATE(event_week)) AS cohort_users FROM user_counts ORDER BY event_week, CASE user_type WHEN 'New' THEN 1 WHEN 'Current' THEN 2 WHEN 'Resurrected' THEN 3 WHEN 'Dormant' THEN 4 END )2022-08-01 ~ 2023-08-03 기간으로 설정하여, 개인적인 의견으로 Retain User를 쪼개 보았습니다.배달어플은 유저들의 사용 간격이 짧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주의 주기로 리텐션으로 설정했습니다. 저는바로 전 주에 사용했고, 그 다음주에 사용했다면 기존유저(Current)로 설정했습니다.2주 이상 텀을 두고 다시 사용했다면 복귀유저(Resurrected)로 설정했습니다.처음 들어가고 사용하지 않았다면 휴면유저(Dormant)로 설정했습니다.주차마다 '신규/기존/복귀/휴면' 유저를 새로 계산하는 쿼리입니다. 데이터를 살펴보면,1) 신규유저(New) : 제품을 처음 사용하는 유저출시(2022-08-01을 출시기간으로 생각하면)로부터 현재(2023-01-16 => 0803으로 설정했지만 0116까지가 끝입니다.)까지의 신규유저 수의 변화를 살펴보겠습니다.런칭부터 10주까지의 신규유저의 수는 주춤한 경우도 있지만 평균 4~500명 정도 증가했습니다.하지만, 11주에 4000명 대에서 3100명으로 900명이 급감한 이후로 계속 하락세를 타고 24주차 현재 신규 가입자의 수는 500명 남짓하고 있습니다.11주차부터의 마케팅 효과는 빛을 보지 못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코호트 리텐션 시각화를 보자면,2) 기존유저(Current) : 제품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유저(바로 전 주와 이번 주)출시로부터 현재까지 줄곧 주차마다의 신규유저 대비 기존유저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습니다.특히, 24주차에 가입한 신규유저 대비 기존유저의 비율은 76%나 차지하고 있습니다.시간이 흐름에 따라 점차 어플이 안정화되면서 신규유저들이 만족을 느끼는 비율이 늘어가고 있다고 보입니다. 3) 복귀유저(Resurrected) : 과거에 사용 -> 비활성화 -> 다시 제품을 사용한 유저(2주 후 복귀)복귀유저는 12주차를 분기로 13주차부터는 신규가입자보다 복귀유저의 수가 많아지기 시작했습니다.24주차에는 신규유저 대비 복귀유저는 6배가 많습니다.복귀유저가 기존유저로 안정되는 현황을 추출할 수 있는 쿼리는 조금 더 연구해 보겠습니다. 4) 휴면유저(Dormant) : 일정기간 제품을 사용하지 않은 비활성화 사용자신규유저 대비 휴면유저는 꾸준히 늘어가고 있습니다(휴면유저가 누적됨).24주차 신규가입자의 5.7배가 휴면유저 입니다.# 4) Core Event를 'click_payment'라고 설정하고 Weekly Retention을 구해주세요 WITH base AS ( SELECT DISTINCT user_id, DATE(DATETIME(TIMESTAMP_MICROS(event_timestamp), 'Asia/Seoul')) AS event_date, DATETIME(TIMESTAMP_MICROS(event_timestamp), 'Asia/Seoul') AS event_datetime, user_pseudo_id FROM advanced.app_logs WHERE event_date BETWEEN '2022-08-01' AND '2023-08-03' AND event_name = 'click_payment' ), first_week_and_diff AS ( SELECT *, DATE_DIFF(event_week, first_week, WEEK) AS diff_of_week FROM ( SELECT DISTINCT user_pseudo_id, DATE_TRUNC(MIN(event_date) OVER(PARTITION BY user_pseudo_id), WEEK(MONDAY)) AS first_week, DATE_TRUNC(event_date, WEEK(MONDAY)) AS event_week FROM base ) ), user_counts AS ( SELECT diff_of_week, COUNT(DISTINCT user_pseudo_id) AS user_cnt FROM first_week_and_diff GROUP BY diff_of_week ORDER BY diff_of_week ) SELECT diff_of_week, user_cnt, ROUND(SAFE_DIVIDE(user_cnt, cohort_users), 3) AS retention_rate FROM ( SELECT *, FIRST_VALUE(user_cnt) OVER(ORDER BY diff_of_week) AS cohort_users FROM user_counts ) ORDER BY diff_of_week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자바 입문- 기본
안녕하세요? 자바로 data structure 에 대한 공부를 해야 하는데 선생님 수업을 기본을 신청했습니다. 혹시 어느 수업에서 데이터 구조에 대한 설명을 잘 들을수 있나요?
-
해결됨태블로 지도 시각화, 기초부터 고급까지
태블로로 분석 가능한 데이터 크기 제한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수업 다 듣고 분석해보려고 합니다.행 갯수가 수백만개 (컬럼은 수십개)인 데이터를 Tableau Prep에 넣어서 전처리를 하려고 하는데요. 데이터 로드부터 좀 버거워하는 느낌이 드네요.업로드 할 데이터는 행 갯수가 천만행은 훨씬 넘을 것 같고, Join 및 계산식 등의 전처리가 필요합니다.이 정도 크기여도 Prep에서 전처리하고 Desktop에서 분석하고 대시보드 만드는데 문제 없을까요? 제 PC가 성능이 다소 떨어지는 면도 있기는 하나, 동일 데이터로 다른 BI에서는 분석이 됐었습니다.PC 교체를 염두에 두고 있는데, Mac 기준으로 Pro 정도 되어야 하는 건가요? 아니면 그 이하에서도 무리없이 가능한가요?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h2파일 cmd,git bash에서 열려고 하는데 안됩니다.
H2 데이터베이스 설치 강의 3분 42초부터 안됩니다.일단 저는 최신 스프링 인텔리제이를 설치해 사용중이며자바는 따로 설치하지 않은 상황입니다.19년도 인텔맥에 윈도우10을 설치하여 공부중에 있습니다. cmd와 git bash로 시도중에 있습니다.각각 h2.bat 과 ./h2.sh 를 입력하는데 안되고 있습니다.
-
해결됨중고급 SQL과 실전 데이터 분석 101 문제 풀이
mysql 워크 벤치 커뮤니티 설치 중 에러
설치 중 이 단계에서 계속 에러가 납니다구글링 해보니까 pc명이 한글이라서 그렇다는데제 pc명은 영어거든요......그외의 블로그나 구글에서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했지만..안되네요이제 포맷 하나 남았는데..포맷까진 가고 싶지 않아요 너무 귀찮습니다..도와주세요..
-
해결됨이해하면 인생이 바뀌는 Windows API hook
"수업에 사용된 예제 (x86)" 강의 재생 문제
안녕하세요, 강사님 수업에 사용된 예제 (x86) 06:03해당 강의가 아래 화면과 같이 재생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우측에 스크립트가 있는 것으로 보아, 소스코드 이외에 강의가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아래와 같은 에러 메시지가 발생하고 있습니다.해당 강의 이외에 앞뒤 강의는 정상적으로 재생 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위 강의에 대해 한번 확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members.csv을 다운받았을 때 데이터가 깨지는 현상
members.csv을 다운받았을 때 데이터가 깨지는 현상이 발생하는데해결방안이 있을까요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학습 진도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기존에 파이썬으로 코딩테스트 공부 하다가, 큰돌님 유튜브 영상 보고 강의까지 입문하게 된 취준생입니다. 공부 계획을 짜던 중, 강의 순서가 주차 단위로만 나뉘어져 있고 일일 단위로는 안 나누어져 있어서 일일 계획을 짜기를 힘들어하고 있습니다.n주차 강의는 해당 주차에 끝내고 싶은데, 주차별로 일일 학습량에 대한 계산을 따로 해 두신게 있는지 궁금합니다.없다면 어떤 식으로 하루 공부량을 잡아야 할지도 조언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디지털포렌식 입문자를 위한 디지털포렌식 전문가 2급 실기 시험대비 강의(Encase/Autopsy)
[Autopsy]실습 시나리오 풀이 2-2 질문입니다!!
[Autopsy]실습 시나리오 풀이 2-2 중 아래와 같이 궁금한게 있어 질문드립니다. 파일의 시작섹터를 보려고 아래와 같이 FTK Imager에서 확인해보니 시작섹터가 안나옵니다. 하지만, Root에서 우측에 파일을 클릭해야만 제대로 나옵니다. ※ 개별 파일의 시작 섹터를 확인하려면, 반드시 Root에서 찾아서 확인해야만 하는 걸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entity 복제 방법
안녕하세요!이번에 jpa 엔티티를 복제할 일이 생겼습니다 제가 복제해야 할 엔티티는 자기참조도 하고, 1:n 관계의 조인도 되어있는 복잡한 엔티티 입니다 이런 경우 하나하나 deep copy 를 하려니 양방향 연관관계 등 로직이 너무 복잡해지는 부분이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찾아보니 entity 복제를 위해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https://www.baeldung.com/java-jpa-clone-entity요약해보면수동 복제 Cloneable 인터페이스 사용 BeanUtils 사용 ModelMapper 사용 detach() 메서드 사용 다양한 방법이 있는 것 같은데 현업에서는 주로 어떤 방식을 사용하나요?
-
해결됨[임베디드 입문용] 임베디드 개발은 실제로 이렇게 해요.
멀티미터기 필요 유무
안녕하세요! 이제 막 강의를 수강하려고 합니다. 질문 글을 찾아보니 오실로스코프는 이 강의자체에서는 필요없다고 하셨는데 그럼 멀티미터기는 필요할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배열도 리스트라고 할 수 있나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직접 구현하는 배열 리스트1 -시작 2:15초>리스트의 정의를 보았을 때, 순서가 있고 중복을 허용하는 자료구조를 리스트라고 한다. 배열: 순서가 있고 중복을 허용하지만 크기가 정적으로 고정됨. 리스트: 순서가 있고 중복을 허용하지만, 크기가 정적으로 변할 수 있음. 배열은 리스트에 포함이 되는 것 같기도, 안 되는 것 같기도 합니다..!정의를 보면 배열은 리스트에 포함되는 것 같고,리스트와 대조해보면 리스트가 아닌 것 같아요..! 배열도 리스트 자료구조인가요..?
-
해결됨[리뉴얼] 맛집 지도앱 만들기 (React Native & NestJS)
윈도우/안드로이드 npm start
$ npm start > MatzipApp@0.0.1 start > react-native start ▒▒▓▓▓▓▒▒ ▒▓▓▓▒▒░░▒▒▓▓▓▒ ▒▓▓▓▓░░░▒▒▒▒░░░▓▓▓▓▒ ▓▓▒▒▒▓▓▓▓▓▓▓▓▓▓▓▓▒▒▒▓▓ ▓▓░░░░░▒▓▓▓▓▓▓▒░░░░░▓▓ ▓▓░░▓▓▒░░░▒▒░░░▒▓▒░░▓▓ ▓▓░░▓▓▓▓▓▒▒▒▒▓▓▓▓▒░░▓▓ ▓▓░░▓▓▓▓▓▓▓▓▓▓▓▓▓▒░░▓▓ ▓▓▒░░▒▒▓▓▓▓▓▓▓▓▒░░░▒▓▓ ▒▓▓▓▒░░░▒▓▓▒░░░▒▓▓▓▒ ▒▓▓▓▒░░░░▒▓▓▓▒ ▒▒▓▓▓▓▒▒ Welcome to Metro v0.76.8 Fast - Scalable - Integrated r - reload the app d - open developer menu i - run on iOS a - run on Android info Opening the app on Android... info JS server already running. info Launching emulator... info Installing the app... > Task :gradle-plugin:compileKotlin UP-TO-DATE > Task :gradle-plugin:compileJava NO-SOURCE > Task :gradle-plugin:pluginDescriptors UP-TO-DATE > Task :gradle-plugin:processResources UP-TO-DATE > Task :gradle-plugin:classes UP-TO-DATE > Task :gradle-plugin:jar UP-TO-DATE > Task :gradle-plugin:inspectClassesForKotlinIC UP-TO-DATE > Task :app:buildCodegenCLI SKIPPED > Task :app:generateCodegenSchemaFromJavaScript SKIPPED > Task :app:generateCodegenArtifactsFromSchema SKIPPED > Task :app:generatePackageList > Task :app:preBuild > Task :app:preDebugBuild > Task :app:compileDebugAidl NO-SOURCE > Task :app:compileDebugRenderscript NO-SOURCE > Task :app:generateDebugBuildConfig UP-TO-DATE > Task :app:javaPreCompileDebug UP-TO-DATE > Task :app:checkDebugAarMetadata UP-TO-DATE > Task :app:generateDebugResValues UP-TO-DATE > Task :app:mapDebugSourceSetPaths UP-TO-DATE > Task :app:generateDebugResources UP-TO-DATE > Task :app:mergeDebugResources UP-TO-DATE > Task :app:createDebugCompatibleScreenManifests UP-TO-DATE > Task :app:extractDeepLinksDebug UP-TO-DATE > Task :app:processDebugMainManifest UP-TO-DATE > Task :app:processDebugManifest UP-TO-DATE > Task :app:processDebugManifestForPackage UP-TO-DATE > Task :app:processDebugResources UP-TO-DATE > Task :app:compileDebugJavaWithJavac UP-TO-DATE > Task :app:mergeDebugShaders UP-TO-DATE > Task :app:compileDebugShaders NO-SOURCE > Task :app:generateDebugAssets UP-TO-DATE > Task :app:mergeDebugAssets UP-TO-DATE > Task :app:compressDebugAssets UP-TO-DATE > Task :app:processDebugJavaRes NO-SOURCE > Task :app:mergeDebugJavaResource UP-TO-DATE > Task :app:checkDebugDuplicateClasses UP-TO-DATE > Task :app:desugarDebugFileDependencies UP-TO-DATE > Task :app:mergeExtDexDebug UP-TO-DATE > Task :app:mergeLibDexDebug UP-TO-DATE > Task :app:dexBuilderDebug UP-TO-DATE > Task :app:mergeProjectDexDebug UP-TO-DATE > Task :app:mergeDebugJniLibFolders UP-TO-DATE > Task :app:mergeDebugNativeLibs UP-TO-DATE > Task :app:stripDebugDebugSymbols UP-TO-DATE > Task :app:validateSigningDebug UP-TO-DATE > Task :app:writeDebugAppMetadata UP-TO-DATE > Task :app:writeDebugSigningConfigVersions UP-TO-DATE > Task :app:packageDebug UP-TO-DATE > Task :app:createDebugApkListingFileRedirect UP-TO-DATE > Task :app:installDebug FAILED 38 actionable tasks: 2 executed, 36 up-to-date info 💡 Tip: Make sure that you have set up your development environment correctly, by running react-native doctor. To read more about doctor command visit: https://github.com/react-native-community/cli/blob/main/packages/cli-doctor/README.md#doctor Warning: SDK processing. This version only understands SDK XML versions up to 3 but an SDK XML file of version 4 was encountered. This can happen if you use versions of Android Studio and the command-line tools that were released at different times. FAILURE: Build failed with an exception. * What went wrong: Execution failed for task ':app:installDebug'. > com.android.builder.testing.api.DeviceException: No connected devices! * Try: > Run with --stacktrace option to get the stack trace. > Run with --info or --debug option to get more log output. > Run with --scan to get full insights. * Get more help at https://help.gradle.org BUILD FAILED in 15s info Run CLI with --verbose flag for more details.프로젝트 버전을 0.72.6로 했던 것 같은데, 아니네욤$ npx react-native doctor Common ✓ Node.js - Required to execute JavaScript code ✓ npm - Required to install NPM dependencies Android ✖ Adb - No devices and/or emulators connected. Please create emulator with Android Studio or connect Android device. ✓ JDK - Required to compile Java code ✓ Android Studio - Required for building and installing your app on Android ✖ Android SDK - Required for building and installing your app on Android - Versions found: N/A - Version supported: 33.0.0 ✓ ANDROID_HOME - Environment variable that points to your Android SDK installation Errors: 2 Warnings: 0 Android ✖ Adb √ Select the device / emulator you want to use » Emulator Pixel_5_API_33 (disconnected) ✔ Adb ✔ Android SDK configured. You might need to restart your PC for all changes to take effect.!C:\Users[사용자이름]\AppData\Local\Google\AndroidStudio2024.1\logidea.logWARN - Emulator: Medium Phone API 35 - Emulator terminated with exit code -529697949C:\Windows\System32>npx react-native -v 11.3.7 C:\Windows\System32>java -version openjdk version "17.0.8.1" 2023-08-24 OpenJDK Runtime Environment Temurin-17.0.8.1+1 (build 17.0.8.1+1) OpenJDK 64-Bit Server VM Temurin-17.0.8.1+1 (build 17.0.8.1+1, mixed mode, sharing) 사용자 변수의 PATH 사용자 변수해결이 잘 안 되네요 ㅠㅠANDROID_HOME 환경 변수는 C 드라이브 밑에 제가 만든 폴더 경로(SDK 설치 단계에서 한 경로)로 잘 해두었습니다.Graphics 설정을 Software로 변경해보고Windows 보안에서 폴더 제거해보고인텔 그래픽 드라이버 업데이트해보고메모리도 키워 보고
-
해결됨세계 대회 진출자가 알려주는 코딩테스트 A to Z (with Python)
2133번 문제풀이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선생님. 이전 두 질문에 대한 답변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2133번 문제의 DP 1번 풀이에서 O(N^2) 풀이를 소개해주셨는데 아래와 같이 dp 테이블을 갱신할 때 sum_dp 테이블을 같이 갱신을 해주면 시간복잡도가 O(N)으로 줄일 수 있지 않나 싶어 질문드립니다.N = int(input()) if N % 2 != 0: print(0) else: n = N//2 dp = [1] * (n+1) sum_dp = [1] * (n+1) for i in range(1,n+1): dp[i] = sum_dp[i-1] * 2 + dp[i-1] sum_dp[i] = sum_dp[i-1] + dp[i] print(dp[-1]) 그리고 이건 다른 종류의 질문인데 혹시 그래프 부분이 실제로 코테에 많이 등장하나요? 제가 조금 급하게 준비하고 있는 상태라 이론을 필수 알고리즘2까지만 들어도 될지 아니면 그래프까지 다 들어야될지 고민중입니다. 조언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따라하며 배우는 노드, 리액트 시리즈 - 레딧 사이트 만들기(NextJS)(Pages Router)
overload 에러
import {Router, Request, Response} from "express"; import {User} from "../entities/User"; import { validate, Validate } from "class-validator"; const register = async (req: Request, res: Response) => { const {email, username, password} = req.body; try{ let errors: any = {}; //이메일/유저이름 단일성 확인 const emailUser = await User.findOneBy({email}); const usernameUser = await User.findOneBy({username}); //이미 있으면 erros 객체에 넣음 if(emailUser) errors.email = "이미 해당 이메일 주소가 사용되었습니다." if(usernameUser) errors.username = "이미 사용자 이름이 사용되었습니다." //에러가 있으면 return으로 에러를 response 보내줌 if(Object.keys(errors).length > 0){ return res.status(400).json(errors) } const user = new User(); user.email = email; user.username = username; user.password = password; //엔터티에 정해 놓은 조건으로 user 데이터 유호성 검사를 해줌 errors = await validate(user); //유저 정보를 user table에 저장 await user.save() return res.json(user); } catch(error){ console.error(error); return res.status(500).json({error}) } } const router = Router(); router.post("/register", register); export default router맨 위 코드(auth.ts)에서 사진과 같이 overload 에러가 뜹니다.유저이름/이메일 중복 및 에러 처리하는 코드 중 return으로 응답을 반환하는 중 타입이 맞지 않아서 생기는 오류 같은데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포스트맨에서 쿠키삭제에 대한 질문
제일 처음에 쿠키를 발행했습니다.그리고 응답과 헤더에는 쿠키가 남아있는 걸 확인했습니다. 이후, 포스트맨에서 쿠키를 발행하고 setMaxAge(0)을 이용해 없앴습니다.그런데 헤더에는 쿠키의 기록이 계속 저장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되었습니다. 이후, 포스트맨을 이용한 쿠키 테스트를 진행하는데 있어서쿠키가 계속 헤더에 남아있는 채로 유지되길래 질문드립니다.(쿠키의 수명을 0으로 만든 이후에도 헤더에 쿠키가 계속 유지되는 사진)setMaxAge(0)을 하면 쿠키가 없어지는 게 정상맞나요?원래 없어져야하는데 포스트맨에서 자동으로 등록해주다보니 이렇게 된건가요?만약 맞다면, 쿠키가 소멸함에따라 헤더에서 쿠키 제거하는 방법이 없을까요?
-
미해결Real MySQL 시즌 1 - Part 2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1,2 강의 전부 잘봤습니다!!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근데 강의에 대한 질문은 아닌데 도저히 여쭤볼 사람이 딱히 없어서요..현재 백엔드 취준생인데 프로젝트에 mysql 레플리카를 도입해서 master / slave1,2 아키텍처를 구성 하였습니다.--master[mysqld]log_bin = mysql-binserver_id = 10binlog_do_db = reservationdefault_authentication_plugin = mysql_native_password-- slave[mysqld]log_bin = mysql-binserver_id = 11relay_log = /var/lib/mysql/mysql-relay-binlog_slave_updates = ONread_only = ONdefault_authentication_plugin = mysql_native_password master와 slave에 맞게 설정을 해주고 master의 LOG_FILE, LOG_POS를 토대로 각각의 슬레이브에 설정하여Slave_IO_Running, Slave_SQL_Running slave1,2 각각 YES 인걸 확인하고 데이터 복제 및 인덱스 복제 까지 잘 동작하는것 까지 확인하였습니다. 그래서 백엔드 로직에서 ReadOnly 쿼리 비지니스로직은 SLAVE1,2의 dataSource가 할당 되어서 동작 하도록 구성하였고 실제로 테스트 해봤는데 master가 아닌 SLAVE1,2에서만 읽는것을 확인 하였습니다. 근데 여기서 문제인게 읽기작업에 대해서만 부하를 줘서 성능테스트를 진행하였는데 실제로 레플리카를 도입하기 이전 1대의 mysql 서버만 존재했을때가 성능이 20~30% 가 더좋게 나옵니다.저는 실제로 이미 쓰기작업을 끝낸 데이터에 대해 읽기 작업을 slave1,2가 트래픽을 분산(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정확히 50프로 확률로 분산) 하여 처리하니까 성능이 올라갈것으로 기대했는데 왜그런지 도저히 모르겠습니다.추가로 쓰기작업(JPA 긍정적 락), 읽기작업을 동시에 요청하는 부하테스트도 진행 했는데 물론 이 경우도 쓰기는 master만 진행하고 읽기작업은 나머지 slave1,2에서만 진행하는걸 확인했지만 성능 결과 1대의 mysql서버가 읽기,쓰기를 다 처리하는것이 성능이 더 좋았습니다. 그래서 제가 내린 결론은 만약 제가 한 테스트 방법이 잘못되지 않았다고 가정할 경우SLAVE 아키텍처를 가져 갈 경우 성능 향상보다는 부하를 분산시켜 최대 허용 TPS 향상 및 아키텍쳐의 안정성을더 해주는게 의미가 있다고 생각되고,만약에 SLAVE1,2를 두었는데 무조건 읽기작업의 성능향상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씀 하시면 어떤 부분에서제가 무엇을 잘못 설정한걸 수 도있는지 아니면 어떤 이유가 존재할 수도 있는지 해결가능성이 있는 키워드정도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추가로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마스터 슬레이브 간의 동기화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보편적이고 추천 해주실만한 방법(제가 생각한 방법은 쓰기작업 직후의 읽기작업은 슬레이브가 아닌 마스터에서 하는 방식)이 있는지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습으로 손에 잡히는 SQLD의 정석(2과목)
2번 select문 질문있습니다
첫번째 col2 + col3은 내부덧셈에 null값이 있어도 결과값이 정수로 나왔는데 왜 컬럼끼리의 덧셈은 null값이있으면 전부 null로 나오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