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개발자는 기본기가 중요하다
실무에서 개발좀해보닌깐 느꼇는데 개발자는 기본기가 매우매우매우매우매우중요하다. 갓영한님도 그걸 아시기 떄문에 왜써야하고 어떤문제가있고 그러면 어떻게 해결하고 어떻게 개선하는지를 스텝바이스텝으로 보여주신다. 묻따 기본기룰 챙기고 항상 교차검증을 하는 마인드로 개발을 했으면 좋겟다 -어느 흔한 개발자의 주저리 글-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createOrder 메서드 생성 관련 질문
이 메서드를 만들 때 ProductOrder 인스턴스를 order로 만드는 것과 orders로 만드는 것에 어떤 차이가 있나요? orders로 만드니까 계속 오류가 나서요,, productName에 order 인스턴스에 있는 product를 대입하는 게 아니라 order.productName에 productName을 대입하는 것인지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컬렉션 필드에 대한 하이버네이트의 추적
안녕하세요.강의 13:00에서@OneToMany 컬렉션 필드를 하이버네이트가 변경사항을 추적한다는 말씀을 하셨습니다. 연관관계의 주인이 아닌 거울이기 때문에 컬렉션에 요소를 추가/제거 하더라도 테이블에 영향을 주지 않는데요. 즉 더티체킹을 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했기 때문에 하이버네이트가 추적을 한다는 말씀이 잘 와닫지 않습니다. 제가 잘못이해한 것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클래스 개념 이해 확인
Student 클래스를 이렇게 이해한 것이 맞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혹시 틀린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Student student1;student1 = new Student(); 1. Student 클래스의 참조값을 student1이라는 변수에 집어넣는다.2. new Student()는 Student 클래스에 실제로 접근할 수 있는 새로운 인스턴스 값을 생성한다는 의미이다.3. 이를 student1에 대입하여 Student 클래스의 객체(인스턴스)에 실제로 접근하여 클래스 안의 멤버 변수를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축약하면 Student student1 = new Student();다른 클래스에서 데이터 타입형태로 Student를 넣을 수 있다.(Student student1 같이)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인테리제이 기능 질문 exception 클래스 색깔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영한님 강의 영상을 보다가exception 클래스 색깔이 노란색 인것을 보고 괘찮은 기능이라고 생각해서 여쭈어 봅니다.이것은 어떻게 설정해야 이렇게 바꿀수 있나요?답변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연관관계의 주인만 외래키를 관리할수 있다는 의미
안녕하세요. 연관관계 부분이 많이 헷갈리지만 확실히 알고 가고 싶어서 좀 더 공부하면서 알아보고 있다가 질문드릴게 있어서요..!강의에서 연관관계의 주인만 외래키를 관리할수 있다는 의미에 대해서 코드로 제가 이해한 바가 맞는지 직접 확인해보았는데요. 연관관계의 주인만 setTeam()메서드 등을 통해 외래키를 추가 및 변경할 수 있고, 연관관계의 주인이 아닌쪽은 외래키를 참조해서 조회만 할수 있다. 예를들어,Team team = new Team(); em.persist(team); Member member1 = new Member(); Member member2 = new Member(); Member member3 = new Member(); member1.setTeam(team); // 이렇게 해야함 member2.setTeam(team); // 이렇게 해야함 em.persist(member1); em.persist(member2); em.persist(member3); team.getMembers().add(member3); // 이렇게만 하면, member3의 외래키(TEAM_ID)가 설정되지않음. // 즉 member3의 team필드는 여전히 null이다. List<Member> newMembers = new ArrayList<>(); Member member4 = new Member(); em.persist(member4); newMembers.add(member4); team.setMembers(newMembers); // 이렇게만 하면, member4의 외래키(TEAM_ID)가 설정되지않음. // 즉 member4의 team필드는 여전히 null이다 tx.commit(); //그래서 위와같이하면, 이 상태로 db에 저장된다고 해도, 이후에 team.getMembers()를 호출하면, 리스트안에 member1, member2만 있고 member3과 member4는 없다. 이렇게 이해하는게 맞을까요..? 항상 질문에 답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rows per chunk 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이번에 커버링 인덱스를 설명하시면서 아 대충 왜 빠르게 조회가 되는지 이해가 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최근에 했던 프로젝트 중에 이와 비슷한데 왜 성능이 개선되었는지 모르는 것이 하나 있습니다. 아래 부분인데요..일단 created_at 은 index 가 적용되지 않았음을 알려드립니다. select ep1_0.employee_post_id, ep1_0.access_url, ep1_0.contact, ep1_0.contents, ep1_0.member_id, m1_0.member_id, m1_0.access_url, m1_0.authority, m1_0.birth_day, m1_0.email, m1_0.login_id, m1_0.name, m1_0.nick_name, m1_0.password, m1_0.personal_link, m1_0.personal_statement, m1_0.sex, m1_0.tmp_password, m1_0.twitter_link, m1_0.youtube_link, ep1_0.payment_amount, ep1_0.payment_method, ep1_0.title, wft1_0.work_field_tag_id, wft1_0.name, ep1_0.career_year, ep1_0.created_at, ep1_0.updated_at from employee_post ep1_0 left join work_field_tag wft1_0 on wft1_0.work_field_tag_id=ep1_0.work_field_tag_id join member m1_0 on m1_0.member_id=ep1_0.member_id where wft1_0.work_field_tag_id=1 order by ep1_0.created_at desc, ep1_0.employee_post_id desc limit 0,10;이것을 explain analyze 한다면 Limit: 10 row(s) (cost=1088 rows=10) (actual time=39.1..39.1 rows=10 loops=1) -> Nested loop inner join (cost=1088 rows=1968) (actual time=39.1..39.1 rows=10 loops=1) -> Sort: ep1_0.created_at DESC, ep1_0.employee_post_id DESC (cost=399 rows=1968) (actual time=39..39 rows=10 loops=1) -> Index lookup on ep1_0 using FK_work_field_tag_TO_employee_post (work_field_tag_id=1) (cost=399 rows=1968) (actual time=0.0949..7.91 rows=1968 loops=1) -> Single-row index lookup on m1_0 using PRIMARY (member_id=ep1_0.member_id) (cost=0.25 rows=1) (actual time=0.011..0.011 rows=1 loops=10)이렇게 나오고 성능이 무척 안좋은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using filesort 가 직접적인 원인) 근데 문제는 member 에 대한 inner join 을 빼면 -> Limit: 10 row(s) (cost=398 rows=10) (actual time=10.5..10.5 rows=10 loops=1) -> Sort: ep1_0.created_at DESC, ep1_0.employee_post_id DESC, limit input to 10 row(s) per chunk (cost=398 rows=1968) (actual time=10.5..10.5 rows=10 loops=1) -> Index lookup on ep1_0 using FK_work_field_tag_TO_employee_post (work_field_tag_id=1) (cost=398 rows=1968) (actual time=0.0712..6.03 rows=1968 loops=1) 위와 같이 나오면서 성능이 무척 개선된다는 점입니다. 제가 보았을 떄 핵심적인 부분은 10 rows per chunk 입니다. 혹시 10 rows per chunk 같은 키워드는 언제 언제 발생하는지 알 수 있을까요??(왜 member에 대한 join 을 빼면 나타나구, wft1_0 을 left outer join 을 하는 것은 영향이 없는지..)mysql 공식 문서를 계속 뒤져도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강의와 관련 없는 부분이라고도 생각하실 수 있는데 이런 질문 해서 정말 죄송합니다.. 관련해서 블로그 정리한 거 혹시 필요한 정보가 있을 수도 있으니 링크 남겨놓겠습니다...https://velog.io/@dionisos198/Query-DSL-%EC%84%B1%EB%8A%A5-%EA%B0%9C%EC%84%A0-%EB%B0%8F-fetch-join-%EA%B3%A0%EC%B0%B0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시분할과 스케줄링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얼마만큼 실행될지는 운영체제가 결정하는것을 스케줄링인데 그럼 스케줄링이 실행되고나서 시분할이 적용되는 방식인가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오타 제보] 11. 동시성 컬렉션.pdf 14페이지
[오타 내용]대상 강의록: 11. 동시성 컬렉션.pdf 대상 페이지: p.14 첫 번째 그림에 대한 설명 중 마지막 부분내용기존: 클라이언트인 test() 입장에서 ... (중략) ... BasicList의 어떤 구현체든지 다 받아들일 수 있다.변경: 클라이언트인 test() 입장에서 ... (중략) ... SimpleList의 어떤 구현체든지 다 받아들일 수 있다.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이거 문제가 될까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정상적인건가 했는데 영상의 선생님을 보니 아닌것같아서 질문드립니다.프로젝트 실행후 종료하면 아래 사진과 같이 에러같은 문구가 뜹니다. 프로젝트도 정상적으로 빌드되고 따라하는데 문제도 없으니 문제 없는건가 싶었는데 영상의 선생님을 보니 선생님은 프로젝트를 종료하실때 이런 화면이 안뜨는 것같아 뭔가 잘못된건가 싶습니다.그러다가 아래사진의 Settings -> Build Tools -> Gradle 에서Build and rung using 과 Run tests using을Gradle -> 에서 IntelliJ로 변경 후 빌드 하고 종료하니 아무런 문구가 뜨지 않습니다. 해당 설명은 프로젝트 생성 영상에서 언급하셨던 것으로 생각하는데 그때는 속도차이정도로 밖에 설명을 안하셔서 저는 그냥 딱히 인텔리제이 옵션으로 변경하지 않고 Gradle로 그대로 했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프로젝트를 실행하고 종료하고 하다보니 오류문구같은 차이가 있다보니 혹시 추후에 문제가 있을까 싶어 질문드려요. 어떠한 차이점일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다대다 관계 1:N, N:1 로 풀기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네[질문 내용]왜 주문과 상품은 1:N, N:1로 풀고, 카테고리와 상품은 풀지 않은 건가요? 둘 다 다대다 관계인데 어떤 의미가 있나요?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nx,ny를 조건문에서 거르는 대신 반복문의 시작을 1부터 n-1까지 하면 되지 않나요?
nx,ny를 조건문에서 거르는 대신 반복문의 시작을 1부터 n-1까지 하면 되지 않나요?강사님처럼 조건문에서 거르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테스트 코드 실행에서 URL을 인식 못하면서 500 에러 발생 시 관련 참고 글
https://velog.io/@ghwns9991/%EC%8A%A4%ED%94%84%EB%A7%81-%EB%B6%80%ED%8A%B8-3.2-%EB%A7%A4%EA%B0%9C%EB%B3%80%EC%88%98-%EC%9D%B4%EB%A6%84-%EC%9D%B8%EC%8B%9D-%EB%AC%B8%EC%A0%9C스프링 3.2 부터 uri 관련 매개변수 어노테이션을 잘 인식하지 못한다고 하나 봅니다. 저는 윗 글의 두 번째(-parameters) 방법으로 해결했습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오타 제보드립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JPA 기본편 강의 pdf 파일 (10. 객체지향 쿼리 언어 p.57)위 사진에서 화살표로 가리키고 있는 부분에 Team 엔티티의 별칭 t가 누락되었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엔티티매니저가 각각의 저장소에서 final로 선언될 수 있는 이유
엔티티매니저가 각각의 저장소에서 final로 선언될 수 있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final의 경우 한 번 선언하면, 교체될 수 없는 것 아닌가요? 혹시 관련 자료와 함께 설명을 첨부 해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soft Delete 시 index 설정' 답변한 내용에서 질문 있습니다.
https://www.inflearn.com/community/questions/1516484해당 게시글의 답변중 아래 문장이 이해가 잘 안갑니다 ㅠ 물론, 삭제된 데이터가 극히 적다면, 위 비용은 딱히 문제가 안될 수도 있긴 합니다.삭제되지 않은 데이터가 훨씬 많다면, 조건에 일치(isDeleted=false)하는 데이터를 빠르게 찾을 수 있으므로, 스캔하는 범위는 어차피 적을테니깐요.하지만 삭제된 데이터가 많아질수록 조건에 일치하는 데이터를 찾기 위해 스캔하는 범위가 길어질 수 있으므로, 인덱스를 걸어둬야 빠르게 조회가 가능합니다!인덱스를 걸지 않았을때 삭제되지 않은 데이터(isDeleted = false)가 훨씬 많다면 스캔하는 범위가 적은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인덱스가 없으면 삭제된 데이터가 많든, 많지 않든 무조껀 풀 스캔을 해서 스캔 범위는 똑같은게 아닌걸까요?또한, 데이터 연속성도 스캔할시 관련이 있는건지 궁금합니다.인덱스가 없을때 where isDeleted = false 쿼리 실행시 id가 4번까지만 스캔해서 스캔 범위가 적은걸까요?ㄸ직전 조건와 같을때 위와 같이 데이터가 흐트러져있다면 풀스캔을 하는 걸까요? 인덱스 공부좀 해야겠네요 흙흙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ForEx3 질문있습니다
public class ForEx3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or (int sum = 0, max = 100, i = 1; i <= max; sum += i, i++) { System.out.println(sum); } } }이렇게 ForEx2에서 for문 괄호 안에서 여러개 선언이 가능하다고 하셨어서 한번 여러개 선언해서 해봤습니다. 근데 결과값이 왜100까지 더한값이 안나오고 99까지 더한값밖에 안나오는건지 잘 이해가 안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Inheritance strategy 바꿀 때 유의사항
안녕하세요! 강의를 보다가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 남깁니다.@Inheritance(strategy = InheritanceType.JOINED)@Inheritance(strategy = InheritanceType.SINGLE_TABLE)영한님께서 InheritanceType.JOINED 전략을 쓰다가 성능이 잘 안나온다 싶으면 InheritanceType.SINGLE_TABLE 만 바꾸면 구조를 다 바꿀 수 있는 것이 JPA의 장점이라고 했습니다. 근데 실제로 서버를 운영하고 있는 상황에서 저렇게 바꿔도 기존의 데이터와 테이블에 영향이 없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외부 클래스에서 내부 클래스의 private 필드 접근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영한님께서 내부 클래스에서 외부 클래스의 private 필드에 접근할 수 있다고 말씀해주셨는데.외부 클래스의 메소드의 경우도, 중첩 클래스의 private 필드나 private 생성자에 접근할 수 있나요?
-
해결됨스프링 시큐리티 OAuth2
AuthenticationEntryPoint 강의 누락 문의
OAuth 2.0 Client Fundamentals 섹터에서ClientRegistrationRepository 이해 및 활용 강의와자동설정에 의한 초기화 과정 강의 사이에AuthenticationEntryPoint 강의가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강의 자료에서 순서는 그러한데 강의는 없는 것 같아 문의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