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DB 접근 제어자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DB는 단 하나만 존재해야하며 이를 재할당해서도 안되고 공통의 개념으로 보려면 DB 객체를 만들 때, private static final로 하는 것이 맞나요? 헷갈려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test 코드에 static을 사용하는 이유와 new 생성자가 나오는 이유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너무 늦게 눈치챈 일이긴 합니다만, 테스트 코드를 짤 때, 강의 전반적으로 static 클래스를 사용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평소 Config를 구성할 땐 static을 사용하지 않았었는데 말이죠.몇 가지 실험을 통해 발견한 것은@Slf4j 애너테이션이 non-static nested classes엔 지원하지 않는다 였습니다.그렇다면 RollbackTestConfig 클래스에선 스태틱 클래스를 new 키워드로 생성하는 부분은 왜 그런 것인지@TestConfigurationstatic class RollbackTestConfig { @Bean RollbackService rollbackService() { return new RollbackService(); } } , @Slf4j 이외에 static을 쓰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테스트 코드 작성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강사님께서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할 때 앞의 테스트가 뒤의 테스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clearStore()를 작성하시고 사용하셨는데 다형성에 의해서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new MemberRepositoryImpl();// 전자이와 같이 쓰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clearStore()를 적용하기 위해서 코드를 직접 구현체 클래스의 타입으로 바꾸셔서 아래와 같이 작성을 하시고 테스트하셨습니다.MemberRepositoryImpl memberRepository = new MemberRepositoryImpl();// 후자MemberRepository 인터페이스에 clearStore()를 써주게 되면 직접 기능 구현을 할 때 당연히 이 추상 메서드가 쓰일 일은 없지만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할땐 쓰이고 안 써주면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할 때 후자처럼 작성을 해야하잖아요...?어느 것이 더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강사님 방법을 100% 신뢰하면 되는 것일까요?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내부 호출에 대한 재질문
제가 좀 헷갈려서 다시 질문을 좀 드립니다.@Transactional이 있으면 프록시 생성이 된다그런데 내부 호출을 하면 대상 객체(this)의 메소드를 호출하니까 트랜잭션이 발생하지 않는다그래서 문제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에서 제일 권장하는 것이 클래스를 분리하는 것이다라고 이해를 했습니다. 그런데 실무에서는@Transactional (<= 클래스 전체에 트랜잭션을 걸었다는 표현입니다 어떻게 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클래스에 걸린 것은 확실합니다)class ServiceImpl implements Servcie {public void mainMethod() { // 메인 메서드deleteMethod(); // 내부 메서드 호출insertMethod(); // 내부 메서드 호출} public void deleteMethod() {} // 내부 메서드public void insertMethod() {} // 내부 메서드}보통 위와 같이 코딩을 자주 하는데 이때는 클래스에 @Transactioanl 어노테이션이 있어전체 메서드에 @Transactional 이 적용된다는 것은 이해를 합니다. "그런데 mainMethod()에서 deleteMethod()를 호출하면 내부 호출이라 대상 객체의 즉, ServiceImpl 클래스에서 deleteMethod()를 호출하므로 트랜잭션이 적용되지 않는다"가 맞지 않나요? 아니면 굳이 클래스를 분리하지 않고 클래스 단위에 @Transactional 애노테이션을 적용시키면내부 호출에 문제가 없다는 뜻인지? 글로 질문을 하기가 어렵습니다. 답변을 글로써 하시기는 더욱 더 어려우실 것 같은데너무 궁금해서 다시 질문을 드리니 양해 바랍니다.
-
해결됨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공통 예외처리 질문 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예외를 던질 때 cause 예외를 함께 넘기니까공통 예외처리하는 부분에서는 Exception으로 예외를 잡아서 로그를 남기나요?
-
해결됨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도메인과 웹이 백, 프론트를 의미하는건가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웹을 다른거로 바꾸어도 도메인은 바꾸지 않아도 된다고 설명해주신 부분이 프론트 클라이언트를 앱을 이용하든 웹을 이용하든, 리액트, html,css,is를 이용한 프론트를 이용하든 백앤드는 변경이 없어도 된다는것과 같은 말인건가요?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오타인 것 같습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7. 스프링 MVC - 웹 페이지 만들기.pdf (v20231202)19페이지 아래 부분에/resources/static/items.html → 복사 → /resources/templates/basic/items.html 이렇게 나와 있는데/resources/static/items.html↓/resources/static/html/items.html인 것 같습니다. html 경로가 생략된 것 같습니다. +)24페이지 위에/resources/static/item.html 26페이지 중앙에/resources/static/addForm.html 32페이지 위에/resources/static/editForm.html 이 부분들에도 강의 기준으로 /resources/static/html/???.html인 것 같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웹 MVC
7:58 예제 코드 찾는 법
안녕하세요 기선님!기선님의 스프링 강좌 재탕하고 있습니다.7:58 부분에 스프링의 테스트 코드 예제는 보통 어떻게 검색하여 찾으시는건가요?그냥 깃허브에서 검색하셨는지 꿀팁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Boolean타입이 null일떄와 false일떄 어떤 위험이 있어서 히든 필드를 사용하나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히든필드를 이용하여 체크를 안하면 널값이 들어가서 히든필드를 사용한다고 이해하였는데 널값이 들어가면 널포인트 예외 처리때문에 그런건가요? 단순히 널값이 문제라면 boolean타입을 이용하여 널값을 안받고 false로 받아도 되는거 아닌가요?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하위 디렉토리 인식 안됨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v5의 하위 디렉토리인 adapter디렉토리에 ControllerV3HandlerAdapter가 있는데 import가 안됩니다.v5에 직접 파일을 옮기고 handlerAdapters에 add했을때는 됩니다. 하위 디렉토리 인식이 안되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hello 서블릿에서 이상한 현상이 나타납니다.
respose의 문장이 웹브로져에 나타나지 않고, 텍스트 파일로 다운로드가 됩니다???? 이게 무슨 일일까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인텔리제이 run이 안돼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강의 그대로 따라했고 17버전으로 맞췄는데 강의에서 선생님처럼 화살표 (run) 버튼도 뜨질 않고The file in the editor in not runnable 이라고 나옵니다 구글링해서 configuration을 추가해보았으나 잘 안되는 것 같습니다도와주세요 ㅠㅠ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모델과 타임리프에 대한 궁금증 ..
home.html 파일에 th:fragment 가 있어요 home.html 컨트롤러에서 모델에 등록합니다. 플래그먼트.html 파일에서 타임리프 ${}로 모델가져와요 인텔리제이에선 Cannot resolve '변수명' 인식하지만 실행해보면 가져오는게 성공해요 왜일까요?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궁금한게 있습니다
섹션2강의를 들으면서 ㅇㅇ을 주로 사용한다고 자주 말씀하시는데 서블릿 자체로 사용하는경우가 아직도 있나요? 아니면 ㅇㅇ을 주로사용하신다는게 서블릿을 만약 사용할 경우 ㅇㅇ을 주로 사용하신다고 봐야할까요?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ResponseBody가 없는 경우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던 중 의문이 생겨 질문드립니다.만약 Controller의 특정 메소드에 @ResponseBody라는 애노테이션이 없다면 ReturnValueHandler가 http컨버터를 사용하지 않고 ModelAndView 객체를 만들어 dispacherServlet에 전달하고 view를 렌더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고 이해해도 될까요?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학습 내용과 번외로 의존관계 주입 시 궁금증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1. 의존관계 주입 방법@Configuration public class HelloConfig{ @Autowired private DataSource dataSource; @Bean public PlatformTransactionManager txManager(){ return new DataSourceTransactionManager(dataSource); } } 2. 의존관계 주입 방법@Configuration public class HelloConfig{ @Bean public PlatformTransactionManager txManager(DataSource dataSource){ return new DataSourceTransactionManager(dataSource); } } 안녕하세요 의존관계 주입 연습 도중 궁금한 점이 생겨 올렸습니다 ! 보통 1번방법으로 스프링 부트에서 자동으로 등록해준 히카리 커넥션 풀 DataSource 구현체를 dataSource 변수에 의존관계 주입(@Autowired) 받았었습니다 그런데 2번 방법으로 시도해보니까 자동으로 dataSource 변수에 의존관계 주입이 되어서 DataSourceTransactionManager 객체가 정상적으로 빈으로 등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Autowired가 있지도 않았는데 이것이 가능한 원리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리액트를 사용시 인라인 기능이 가능한가요?, 스크립트 영역의 데이터들을 출력하려면 어떻게 하나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리액트를 이용하여 프론트를 개발하면 리액트도 자바 스크립트 언어이니 똑같이 인라인 기능을 사용할 수 있나요? 자바 스크립트, 리액트 둘다 모르는 상태이지만 리액트가 자바 스크립트 기반이라고 알고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서버를 실행하였는데 스크립트 코드를 표시하려면 어떤 식으로 코드를 작성해야 하나요? 스크립트 영역 외부에서 <p th:text=“${user.username}></p>을 사용해보았는데 표시가 안되었습니다. 그리고 객체를 json으로 받았는데 json의 값들을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안되다가 한참뒤에 갑자기 되는 경우?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http://localhost:8080/basic/items/items.html'목록으로' 버튼을 누르면 저기로 이동하길래자료 코드 그대로 복붙해도 안되고, 인텔리제이 껐다 켜도 안되고 30분을 삽질하다가 게시판에 글쓰는 도중에 갑자기 잘 되네요저번에도 한번 그런적이 있어서요 1시간을 시간 낭비하다 코드가 바뀌지 않았음에도 갑자기 되더라구요 이런 경우도 가끔있나요?? 캐시가 문제인건지ㅜ 또 이럴까봐 걱정이에요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ItemRepository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1. Spring을 활용하여 ItemRepository를 짜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제 기억상 기본편에서, private static final store에 new로 할당않해줘도 됬던것 같습니다...그렇게 하면, ItemRepositoryTest에서도 ItemRepository itemRepository = new ItemRepository(); 하지 못했던 것 같은데... 이건 어떻게 해야 Spring을 잘 활용한 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Bean Validation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Bean Validation는 두 가지 경우가 있다하였습니다. 1. @ModelAttribute 2. HttpMessageConverter를 이용하는경우이 두 경우에 대해서 속성 타입이 일치하지 않아 바인딩이 실패하는 경우1의 경우 해당 필드에 대해서 Bean Validation이 적용되지 않고 나머지 필드들은 정상 적용되어 나머지 필드들은 정상 바인딩 되고, Validator를 사용할 수 있다하였습니다.2의 경우 컨트롤러가 호출되지않고, Validator가 적용되지 않는다하였습니다.그렇다면 1의 경우 해당 필드(즉, 속성이 불일치하여 바인딩 되지 않는 필드)의 경우 Bean Validation 뿐만 아니라 Validator도 적용되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typeMismatch의 경우는 어디에 속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또한, Bean Validation의 경우 글로벌 Validator가 적용되어 있어, @Valid, @Validated만 적용하면, 검증 오류가 발생하였을 때, FieldError, ObJectError를 생성해서 BindingResult에 담아주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그렇다면 Bean Validation의 경우 꼭 코드에 명시적으로 BindingResult를 써야하는지 궁금합니다.제 생각은 굳이 쓰지 않더라도 즉, BindingResult를 명시하지 않더라도 Bean Validation에서 @Validated가 적용되었을 때, 검증 오류가 발생한다면 메세지 소스를 만들어 해당 메시지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면 되는 것 아닌가 생각이듭니다. (CSR 방식입니다.) 이외에 혹시 추가적으로 알고있으면 좋은 정보들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