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초급편] 안드로이드 커뮤니티 앱 만들기(Android Kotlin)
게시글 이미지가 파이어베이스에 저장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섹션 7의 게시글 이미지가 파이어베이스에 저장되지 않아서 글을 남깁니다.사진을 넣어서 업로드하면 Storage에 업로드 되지 않습니다.기존 코드로 이미지가 업로드가 되지 않아서 구글링과 chatGpt의 도움을 받는 과정에서 storage에 저장하는 경로 설정을 수정해서 폴더를 따로 만들었습니다. 다른 질문글을 보고 보안 규칙을 수정해봐도 올라가지 않습니다.사용량을 살펴보니 요청은 1건 있지만 허용량이 없습니다.여러 방법을 시도해봐도 되지 않아서 질문글을 남깁니다. 전체 코드 공유를 위해 깃허브 주소를 남깁니다!https://github.com/Joodo7ng/my-sole-life.git
-
해결됨[초급편] 안드로이드 커뮤니티 앱 만들기(Android Kotlin)
AVD 갤러리에 이미지 저장 안되는 문제
안녕하세요, 섹션 7의 게시글 이미지 업로드 강의를 듣다가 생긴 오류를 오랫동안 해결하지 못해서 질문글을 남깁니다.BoardWrite의 imageArea를 클릭시 갤러리에 사진이 없어서 가져올 수 없다고 뜹니다.이미지 파일을 크롬에서 다운받을때 경로를 sdcard로 설정해서 다운받아도 Device explorer를 통해 살펴보면 저장된 파일이 없습니다...터미널에서 강제로 경로를 변경시켜보았으나 갤러리에 표시되진 않았습니다. 어떻게 해결해야할까요?
-
해결됨코틀린 코루틴 완전 정복
suspend 문의 드려요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질문을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습니다.-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아무리 생각해도 코루틴 안에서 사용하는 코루틴 안의 delay나 await 등 점유 해제 가능한 fun들을 코드 중복을 피하기 위해 따로 빼놓은 delay나 join await를 포함한 코루틴용 fun의 키워드 같은데 구글링해서 보면 마치 delay나 await, join 이 포함된 fun 은 무조건 suspend를 사용하고 점유 해제 되도록 한다고 설명한데가 많네요. 결론은 suspend 자체가 점유 해제 하고 resume을 시켜주는 키워드가 아닌 것 같은데 제가 이해한게 맞나요?
-
해결됨코틀린 코루틴 완전 정복
스레드 양보 예제 + 코루틴/멀티스레드 사용 예시 질문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질문을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습니다.-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section10의 code4/Code10-4에서 보면코드가 아래와 같이 되는데package section10.code4 import kotlinx.coroutines.* fun main() = runBlocking<Unit> { val startTime = System.currentTimeMillis() repeat(10) { repeatTime -> launch { Thread.sleep(1000L) // 1초 동안 스레드 블로킹(코루틴의 스레드 점유 유지) println("[${Thread.currentThread().name}] 작업 실행 ") println("[${getElapsedTime(startTime)}] 코루틴${repeatTime} 실행 완료") } } } fun getElapsedTime(startTime: Long): String = "지난 시간: ${System.currentTimeMillis() - startTime}ms"보통 이런 코드는 이렇게 멀티스레드로 처리하지 않나요..?import java.util.concurrent.Callable import java.util.concurrent.Executors fun main() { val startTime = System.currentTimeMillis() val es = Executors.newFixedThreadPool(10) val callTasks = mutableListOf<Callable<Int>>() repeat(10) { repeatTime -> val callTask = Callable { println("[${Thread.currentThread().name}] 작업 실행 ") return@Callable repeatTime } callTasks.add(callTask) } val results = es.invokeAll(callTasks) // 결과 출력 results.forEach { future -> println("Result: ${future.get()}") } println("[${getElapsedTime(startTime)}] 실행 완료") es.close() } fun getElapsedTime(startTime: Long): String = "지난 시간: ${System.currentTimeMillis() - startTime}ms"음.. 그리고 스레드 1개를 만들어서 run을 시키면 1MB정도의 메모리 비용이 발생하고 context switch도 일어나지만, 코루틴은 훨씬 더 값싸다고 알고있습니다추가로 아직 r2dbc처럼 비동기 트랜잭션 처리 등.. 이게 지원이 좀 미약하다고 알고있습니다. 서버의 작업은 대체로 CPU를 사용하는 부분이 그렇게 많이 없고 DB에 쓰고 값을 가져오는 동기화 코드, 순차처리 작업이 많은걸로 알고 있습니다.그럼 언제 멀티스레드를 사용하는게 좋고, 언제 코루틴을 사용하는게 좋을까요?
-
미해결[왕초보편] 앱 8개를 만들면서 배우는 안드로이드 코틀린(Android Kotlin)
이 오류는 먼가요 ㅠㅠ
저는 안드로이드 화면을 켜고 구동시켜 볼려고 하면 화면 자체가 안켜 지네요 ~ 이유가 멀까요 ㅠㅠ 쌤 ~.
-
해결됨코틀린 코루틴 완전 정복
coroutineScope 관련 질문 및 실제 사용 사례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사님 덕분에 코루틴에 대한 이해도가 많이 높아져서, 최근 코루틴을 활용한 비동기 서버 구현에 대해서 재밌게 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코루틴이 재미는 있는데, 비동기라는 개념 때문에 너무 어려워서 머리가 아프네요 😢) spring webflux와 코루틴을 활용한 서버 개발을 하다보니, 자연스럽게 suspend 키워드가 많이 사용되고 일시 중단 함수에 대해서 조금 더 높은 이해도가 필요해서 이에 대해서 몇가지 질문을 하려고 합니다. 1.저는 강사님의 일시 중단 함수 관련 강의를 듣고 일시 중단 함수란 그냥 일시 중단 지점을 포함할 수 있는 특이한 함수,suspend 함수에서 코루틴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coroutineScope을 사용하자이렇게 이해를 했어서 다음과 같이 코드를 짰습니다.class SuspendRequestTest { @Test fun suspendRequestTest() = runBlocking { val startTime = System.currentTimeMillis() // 시작 시간 기록 println("suspendRequest start") anotherSuspendFunction1() // suspend function 1 호출 anotherSuspendFunction2() // suspend function 2 호출 println("suspendRequest end") val endTime = System.currentTimeMillis() // 종료 시간 기록 println("suspendRequest elapsed time: ${endTime - startTime} ms") // 경과 시간 출력 } private suspend fun anotherSuspendFunction1() = coroutineScope { println("anotherSuspendFunction1 start") launch { println("anotherSuspendFunction1 extra logic start") delay(1000) println("anotherSuspendFunction1 extra logic end") } println("anotherSuspendFunction1 end") } private suspend fun anotherSuspendFunction2() = coroutineScope { println("anotherSuspendFunction2 start") launch { println("anotherSuspendFunction2 extra logic start") delay(1000) println("anotherSuspendFunction2 extra logic end") } println("anotherSuspendFunction2 end") } }// 실행 로그 suspendRequest start anotherSuspendFunction1 start anotherSuspendFunction1 end anotherSuspendFunction1 extra logic start anotherSuspendFunction1 extra logic end anotherSuspendFunction2 start anotherSuspendFunction2 end anotherSuspendFunction2 extra logic start anotherSuspendFunction2 extra logic end suspendRequest end suspendRequest elapsed time: 2037 ms제 예상대로라면 1초가 살짝 넘는 시간으로 작업이 완료되어야 하는데, 해당 작업은 2초가 걸리는 작업이었습니다. (로그도 항상 1번이 먼저 나타납니다.)1-1) 혹시 coroutineScope은 내부의 코드가 완료되기 전까지는 다음으로 넘어가지 않는 Blocking 속성을 가지는 함수일까요 ?1-2) supervisorScope도 coroutineScope 처럼 내부의 코드가 완료되기 전에는 다음으로 넘어가지 않는다고 알면 될까요?1-3) 일시 중단 함수가 여러 일시 중단 함수들을 내부 로직으로 가지는 경우, 순차적으로 각각의 일시 중단 함수가 끝나야지만 다음 일시 중단 함수가 실행되는 걸까요 ?2.제가 실제 코루틴 사용 사례 및 코드를 많이 보지 못해서, 어떻게 쓰는게 좋은 케이스 인지 이해도가 낮은 것 같습니다. 보통 coroutineScope 혹은 supervisorScope함수들은 어떤 경우에 어떤 목적을 위해 주로 쓰이는 걸까요 ??coroutineScope의 속성이나 특징에 관해서 추가적으로 제가 알아야 하거나 참고하면 좋을 자료가 있을까요?? 😊
-
미해결코틀린 고급편
2강부터 영상 재생이 안되네요ㅠㅠ
2강부터 영상 재생이 안되네요ㅠㅠ
-
해결됨코틀린 코루틴 완전 정복
Coroutine 취소 시점 체크
isActive라는 확장 프로퍼티를 이용해서 일시 중단 시점을 만들지 않고도 확인할 수 있다는 내용은 이해했습니다.다만 본 강의의 예시에서는 while문을 통해서 계속해서 isActive를 확인해서 취소된 걸 곧바로 알 수 있었지만,만약 실무에서 coroutine내에 어떤 로직들이 길게 적혀 있다면, 한 줄 한줄 마다 if 문을 통해 isActive를 확인해야 하는 코드가 들어가야 하는 걸까요? 아니면 조금 비효율적인 것을 감안하고 yield 같은 함수를 중간 중간에 넣어두어야 하는 걸까요?
-
해결됨코틀린 코루틴 완전 정복
spring web mvc 환경에서 coroutine을 사용해보신 경험이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잘 들었습니다개인적으로 코루틴에 관해서 정말 많이 배웠습니다. 모든 걸 다 소화하지는 못했지만, 필요할 때마다 돌아와서 정독하면 충분히 필요한 부분을 얻어갈 수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몇가지 궁금한 부분이 있어 질문드립니다.사내에서 사용하는 기술스택이 spring web mvc + JPA + feignClient인데 혹시 이와 유사한 환경에서 코루틴을 적용해보신 경험이 있으실까요?특히 제가 기대했던 부분은 IO작업에 관해 요청을 보내고 스레드를 점유하지 않음으로써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즉 처리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기대했었는데 아무래도 JPA나 feignClient나 응답이 올때까지 대기하는 구조로 되어 있더라구요ㅠㅠ.. 드라마틱한 성과를 기대하기는 조금 힘들어보이긴하네요 혹시 관련해서 유사한 경험이 있으신지 싶어서 의견을 묻고자 여쭤봅니다.코루틴을 사용중인 환경에서 rps가 급증하면 어떤식으로 흘러갈지 궁금합니다. 스레드가 고갈될 것 같은데, 자연스럽게 dispatcherIO등의 스레드가 새로 생성되나요?- 그렇다고 하면 메모리가 고갈될 것 같은데, 코루틴을 사용할때는 결과적으로 메모리 기준으로 스케일아웃을 걸어야할지? 등이 궁금하네요.
-
해결됨아이비의 안드로이드 드릴
선생님 아직 디스코드 초대가 안됐습니다.!
구글폼이 정상적으로 작성되었나요? ㅜㅜ
-
미해결[왕초보편] 앱 8개를 만들면서 배우는 안드로이드 코틀린(Android Kotlin)
트와이스 앱을 만들다가
2 issues were found when checking AAR metadata: 1. Dependency 'androidx.core:core-ktx:1.15.0' requires libraries and applications that depend on it to compile against version 35 or later of the Android APIs. :app is currently compiled against android-34. Also, the maximum recommended compile SDK version for Android Gradle plugin 8.3.0 is 34. Recommended action: Update this project's version of the Android Gradle plugin to one that supports 35, then update this project to use compileSdk of at least 35. Note that updating a library or application's compileSdk (which allows newer APIs to be used) can be done separately from updating targetSdk (which opts the app in to new runtime behavior) and minSdk (which determines which devices the app can be installed on). 2. Dependency 'androidx.core:core:1.15.0' requires libraries and applications that depend on it to compile against version 35 or later of the Android APIs. :app is currently compiled against android-34. Also, the maximum recommended compile SDK version for Android Gradle plugin 8.3.0 is 34. Recommended action: Update this project's version of the Android Gradle plugin to one that supports 35, then update this project to use compileSdk of at least 35. Note that updating a library or application's compileSdk (which allows newer APIs to be used) can be done separately from updating targetSdk (which opts the app in to new runtime behavior) and minSdk (which determines which devices the app can be installed on).이렇게 떠요 ㅠㅠ
-
해결됨아이비의 안드로이드 드릴
네비게이션
home_graph.xml의 시작점app:startDestination="@id/navigation_home"app:startDestination="@id/navigation_다른 activity"이렇게 나눠서 하나는 home activity의 FragmentContainerView 에서 상용하고 다른 하나는 detail activity의 FragmentContainerView에서 사용할 수 있나요?
-
미해결[왕초보편] 앱 8개를 만들면서 배우는 안드로이드 코틀린(Android Kotlin)
트로트 앱에서 노래 목록 눌렀을때 원하는 사진 나오게 하고싶은데
트로트 리사이클러뷰에 노래 넣는 것 까지는 했는데 그 목록 중 하나를 누르면 원하는 사진 나오게 하고 싶으면 어떤 걸 써야 하는지 혹시 알 수 있을까요?
-
해결됨코틀린 코루틴 완전 정복
코루틴이 멀티스레드의 단점을 해결했다는 부분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코루틴이 멀티스레드의 단점을 해결했다고 말씀해주셨는데요, 관련해서 약간 정리가 되는 듯 안되는듯 하여 질문드립니다.1. 우선 아래의 정리가 맞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멀티 스레딩의 문제점은 결국 blocking이고 이 blocking을 해결하기 위해 코루틴을 도입했음코루틴은 스레드를 점유하는 형태로 동작하므로, 반대로 코루틴이 blocking될때 스레드를 점유하지 않음으로써 다른 코루틴이 해당 스레드를 점유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스레드가 blocking되는 일이 없어진다. 2. 그런데 blocking이 되는 현상이 언제발생하나요?강의에서 말씀해주신 내용에 따르면, 다른 스레드 혹은 코루틴의 결과가 필요할 때 blocking되는 상황에 놓여지는 것 같은데 맞을까요?결국 그렇다고하면 이전 코드의 완료를 보장하는, 그러니까 sync한 방식으로 코딩을 해야할 때 스레드가 놀지 않으면서 & completableFuture처럼 콜백지옥이나 예외처리가 어렵지 않게 하는 것이 코루틴의 장점이 맞을까요? 3. 일반적인 IO상황도 위에서 얘기한 blocking이 맞을까요?다르게 말하면, Dispatcher IO에서 [요청을 보내고 기다려야만 하는 상황]에서도 코루틴은 스레드의 점유권을 내려놓음으로써 해당 스레드가 다른 작업을 처리할 수 있게 되는걸까요?예를 들면, A스레드가 코루틴의 DIspatcher IO에 의해 관리되는 IO전용 스레드고 IO스레드는 해당스레드하나만 존재할때(가용가능한 다른 스레드가 없는 상황) c코루틴은 서버에 호출을 보내서 4초가 걸리고, d코루틴은 서버에 호출을 보내서 5초가 걸리면 A스레드에서 c코루틴과 d코루틴을 병렬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건가요? 단순히 다른 스레드를 하나 생성해서 두가지 작업을 다 맡겼더라면 해당 스레드에서 4초 + 5초해서 9초가 걸렸을텐데, 코루틴기반의 A스레드에서는 약 5초정도밖에(조금 더 길수는 있겠지만) 안걸리는 게 맞을까요? 4. 3번에 이어지는 질문인데요, 만약 3번이 맞다고 하면 IO작업의 응답이 왔을 때 콜백같은 게 적용이 되어서 Dispatcher에 새로운 작업으로 추가되는걸까요?그러면, IO요청을 보낸 스레드와 IO응답을 처리하게 되는 스레드가 왠지 다를 수도 있을 것 같은데 맞을까요? 3번이 맞다고 하면, 코루틴은 아주 아름다운 것일 것 같은데 굉장히 설레네요 ㅎㅎ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미해결[왕초보편] 앱 8개를 만들면서 배우는 안드로이드 코틀린(Android Kotlin)
실행오류
실행을 할 경우 다음과 같은 메세지가 나옵니다. plugins { alias(libs.plugins.android.application) alias(libs.plugins.kotlin.android) } android { namespace = "com.seoyoung.databinding_ex" compileSdk = 34 defaultConfig { applicationId = "com.seoyoung.databinding_ex" minSdk = 24 targetSdk = 34 versionCode = 1 versionName = "1.0" testInstrumentationRunner = "androidx.test.runner.AndroidJUnitRunner" } buildTypes { release { isMinifyEnabled = false proguardFiles( getDefaultProguardFile("proguard-android-optimize.txt"), "proguard-rules.pro" ) } } compileOptions { sourceCompatibility = JavaVersion.VERSION_1_8 targetCompatibility = JavaVersion.VERSION_1_8 } kotlinOptions { jvmTarget = "1.8" }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libs.androidx.core.ktx) implementation(libs.androidx.appcompat) implementation(libs.material) implementation(libs.androidx.activity) implementation(libs.androidx.constraintlayout) testImplementation(libs.junit) androidTestImplementation(libs.androidx.junit) androidTestImplementation(libs.androidx.espresso.core) }#Thu Nov 14 00:01:26 KST 2024 distributionBase=GRADLE_USER_HOME distributionPath=wrapper/dists distributionUrl=https\://services.gradle.org/distributions/gradle-8.7-bin.zip zipStoreBase=GRADLE_USER_HOME zipStorePath=wrapper/dists 위의 파일이 순서대로 build.gradle.kts, gradle-wrapper.properties 입니다. 컴파일 버전과 같은 부분에 대한 에러같은데, 어느 부분을 고쳐야할지 모르겠어서 질문 요청드립니다.
-
해결됨코틀린 코루틴 완전 정복
Dispatcher.IO의 동작원리
안녕하세요! 강의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ㅎㅎ 코루틴을 공부하면서 항상 의문이던 부분이였는데 Dispatcher.IO가 Http Request 같은 IO 작업에서 어떤 원리로 Dispatcher.Default보다 더 효율적인걸까요? 내부 스레드선언이 더 많아서 Default보다 더 자주 코루틴 컨텍스트 스위칭이 되는걸까요?
-
해결됨[LV1] Jetpack Compose - UI 연습하기
TextField에서 테두리 제거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CoupangEx-3 강의에서 검색 기능을 위해 TextField를 만들었는데, TextField 주위에 있는 회색의 테두리를 어떻게 제거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인터넷 검색을 해도 동작하지 않거나, 언더라인을 지우는 코드들만 나와서 자료를 못 찾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코틀린 코루틴 완전 정복
실무에서 runBlocking 와 CoroutineScope 실무 사용에 대해
실무에서 코루틴을 사용해야할 때runBlocking 으로 코루틴 영역을 생성해야 할지 CoroutineScope로 생성해야 할지 또 어떻게 코루틴을 활용해야할지 감이 살짝 오시 않습니다.물론 호출부의 스레드를 블럭킹해야 한다면 runBlocking 일 것 같지만 보통 이렇게 사용한다라는 지향점이 궁금합니다. 실무에서 사용하기 위해 추천할만한 깃헙 레파지토리나 베스트프랙티스가 있을까요?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질문을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습니다.-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해결됨코틀린 코루틴 완전 정복
Code3-6에서 imageProcessingDispatcher가 inline으로는 동작하지 않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기초적인 질문 같지만, 코루틴을 처음 사용하는 입장에서 imageProcessingDispatcher를 인라인으로 넣을 수 없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직접 테스트했을 때,launch(Dispatchers.Default.limitedParallelism(2)) { //... }와 같은 코드는 예상한대로 동작하지 않고, 머신 processor만큼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그 이유가 뭘까요?
-
미해결스프링은 어려워! 코틀린과 Ktor로 백엔드/서버개발 기초정복 (커피주문시스템 개발)
checkout 해도 branch가 안 바뀌네요
git checkout lecture/cafe-02-start 해도 아무런 변화가 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