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Nginx 입문/실전
https 적용 과정질문
안녕하세요https 예전에 적용해본적이 있었는데 CA기관과 통신하여 개인키 발급받고 하면서 좀 복잡하게한거랑AWS에서 인증서 발급하고 도메인주소 cname하면서 https 적용 이렇게 해본적이 있는데 1. Nginx는 실무에서 이렇게 간단하게 https 를 적용하나요?2. 제가 했던것과 방식과 certbot의 차이 혹시 알수 있나요?단순히 그냥 방법만 다르고 실상은 똑같은 건지 궁금합니다.3. 스프링부트만으로 aws에서 배포한 적이 있는데 certbot 적용이 가능한가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Nginx 입문/실전
프론트엔드 배포 역할 의미
안녕하세요웹프론트엔드 배포하기가 CDN 역할중 하나인 정적인 컨텐츠를 빠르게 제공하기랑 똑같은 걸로 보면 될까요?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리소스 표시문제
metrics server까지 설치해서 파드별로는 리소스 차트가 보이는데 상단에는 데이타 기다리는중으로만 나오네요???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cri 활성화
vagrantfile다운받아서 보면 주석으로 cri활성화 부분에 /etc/containerd/confi.toml 파일에서 SystemdCgroup 으로 설정하는 부분이 있던데이부분이 cri활성화 부분과는 무관하지 않나요? kubernetes document에서 cri활성화부분에 대한 설정은 딱히 안보이고..단순히 cri 를 준수하는 컨테이너 런타임을 사용해야한다라고만 나오는데~~cri활성화를 어떻게 하나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Nginx 입문/실전
도메인 네임 EC2에 연결하기
강사님 강의를 따라하면서 EC2에 도메인 네임을 연결했는데 Ipv4주소로 들어갈때는 페이지가 잘 나오는데 도메인 네임으로 들어가면 사이트에 연결할 수 없다고 뜹니다.Route 53에서 레코드 생성하면서 IP 주소를 입력해서 넣었고저의 EC2 IP주소와 일치하는 것도 확인했습니다.1. Nginx 서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sudo systemctl status nginx 입력하여서 active(running)되는 것을 확인하였고2. EC2에서 로컬로 접속 가능한지 curl -I http://localhostcurl -I http://api.jscode-test.com각각 입력하여서 200 OK 뜨는것을 확인했습니다.GPT에서는 3번쨰 방법으로 /etc/nginx/conf.d/api.jscode-test.com.conf 파일이 있는지 확인하고, 내용이 올바른지 점검하세요라고 조언을 주었는데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설치 위해 커맨드 위치가 궁금합니다.
강의는 master서버만 하나만 해두고 모두 다 설치하도록 했는데 실제는 마스터에 별로 노드들이 생성될텐데요...이럴경우에 이 강의메 모든 node부분에 해당되는 부분만 해주면 추가적으로 별도 노드에서는 할게 없나요? 별도로 노드들간 알아서 다 연결이 자동으로 되나요? 또한 지금은 마스터 노드에 편하게 들어갈수있어서접속해서 마스터노드 내에서 kubeadm 초기화 부터 calico설치 dashboard설치등 모두 설치 하는데. 가령 eks같은경우는 마스터 접속이 안될뿐더러...여러 노드들들 생성하는게 일반적인데 이런 환경에서는 실제로 어디위치에서 어떻게 kubeadm초기화명령을 실행하고 또 실행했을때는 마스터 노드를 알아서 찾아서 마스터 노드위치에 kube-scheduler,etdc, control, kube-proxy, kube-apiserver 모두 설치되나요? 그런데 kube-proxy같은경우는 노드마다 설치되는게 아닌지요? 또한 eks같은경우 calico도 어디에서 설치명령어를 실행하나요? 이런경우도 마스터노드를 찾아서 알아서 마스터노드에만 설치가 되나요? 대시보드도 마스터에만 설치가 되나요? 명령어는 어디에서 날리나요? 마스터 노드 접속이 안될텐데요....헷갈립니다. ㅠㅠ
-
미해결대규모 트래픽 처리를 위한 부하테스트 입문/실전
개인 프로젝트 시 top 입력 시 해석 도움 요청
강사님 안녕하세요. 강사님 덕분에 배운대로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중 제가 해석이 강사님과 다른 지점이 있어서 질문을 남깁니다. 강사님은 CPU코어가 2개여서 Max 200%까지 된다고 했는데 저는 1:1 비율로 사진과 똑같더라고요. 다른 점은 강사님은 EC2 설계 시 T3.small을 저는 t2를 선택했는데 그것에 따라 다른 것일까요? 아님 저는 node인데 강사님은 java여서 그에 대한 차이일까요?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온프레미스 Window server에 쿠버네티스 적용
안녕하세요 선생님,회사에서 사용하는 서버 1대에 Nginx를 프록시를 통해 총 7개의 WAS 서비스가 동작하고 있습니다.현재 상황에서 조금 더 안정적인 인프라 아키텍쳐를 위해 쿠버네티스를 적용해볼까 하여 수강을 시작했습니다.현재 20% 수강을 하면서 아직 감이 잡히지 않았지만위와 같은 서버 환경에 쿠버네티스 적용이 맞을까요?강의에서 환경과는 조금 차이가 있어서 여쭤봅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CI/CD 입문·실전
깃허브 캐싱
.gitignore에 추가된 application.yml을 CI/CD로 관리하기 강의에서 1:40초 부분에서 git add . / git status한 다음에 application.yml이 수정이 되고 있다. 캐싱떄문이라고 하셨는데 . application.properties를 yml로 바꾸고aws: access-key: ABCDEFG secret-key : HOIJOIASDJO 이 값들을 입력했는데 git status에 어느부분이 문제인건가요? yml파일도 modified?라는 상태가 안떠서 문제인건지 정확히 이해를 못해서 질문 남깁니다. 혹시 .gitignore에 넣었으니깐 새로운 파일을 추가하던 수정을 하던 git status에 안떠야 정상인건가요?
-
미해결대규모 트래픽 처리를 위한 부하테스트 입문/실전
sudo nohup java -jar jscode-0.0.1-SNAPSHOT.jar & 설치 오류?
사진과 같이 강사님과 똑같이 그리고 제공해준 실습 자료를 복사 붙여넣기하면서 따라하고 있는데 저기 sudo nohup java -jar jscode-0.0.1-SNAPSHOT.jar &설치에서 강사님은 엔터를치면 ip를 확인할 수 있는 코드를 치면 나오는데 저는 exit 1 등이 뜨면서 설치가 안됩니다. 제가 잘못한 것이 있나요?node 유저라서 자바는 잘 모릅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CI/CD 입문·실전
깃허브 시크릿
- name: application.yml 만들기 run: echo "${{ secrets.APPLICATION_PROPERTIES }}" > ./src/main/resources/application.yml 강의에서 이런식으로 시크릿 변수에 yml을 미리 넣었는데 만약에 yml안에서도 시크릿 변수를 사용하면 제대로 동작을 하나요?? ex)kakaopay: secretKey: ${KAKAOPAY_KEY} 이런식으로 yml에 있다고 할 때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이전 강의 이후 파드 제거??
무게감 있게 설치하는 방법 3/3 - 최종 정리 이후대시보드에 파드가 17개가 있습니다.Loki를 실습하기 위해서 파드를 다 지워도 되는건가요?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영상과 일치하는 Vagrantfile 버전이 있을까요?
curl -O https://raw.githubusercontent.com/k8s-1pro/install/main/ground/k8s-1.27/vagrant-2.4.3/Vagrantfile로 다운시 파일의 버전이 강의와 맞지않아서 당시에 사용하신 파일을 받을 수 있는 링크가 있을까요?
-
미해결대규모 트래픽 처리를 위한 부하테스트 입문/실전
목표 throughput, latency는 어떤 기준으로 정하나요?
혹시 보편적으로 공유되고 있는 기준치가 별도로 존재할까요? 아니면 매번 회사, 서비스마다 달라지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고민을 해야 하는 건가요 ? ㅠ ㅠ
-
미해결대규모 트래픽 처리를 위한 부하테스트 입문/실전
aws t3a.small 비용
실습에 사용하는 t3a.small 인스턴스는 프리티어 지원이 안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맞나요?맞다면 실습으로 인한 비용은 어느 정도로 예상해볼 수 있을까요
-
미해결대규모 트래픽 처리를 위한 부하테스트 입문/실전
백엔드 API 설정을 https로 하고 싶은 경우
현재 서비스에서 백과 프론트의 소통이 https://도메인으로 이뤄지고 있는데, 이 경우에는 ALB와 타겟그룹 설정 시 80포트 말고 443 포트를 열도록 하면 되나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Nginx 입문/실전
Vite 없이 React만 배포할 시
제가 백엔드 쪽으로만 공부해서 그러는데 Vite 적용 안하고 React만 써도 영상처럼 사용 가능한가요?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프로메테우스랑 로키스택 설치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제가 현재 맥 환경에서 사용중인데요. 제가 기존에 사용하는 페러럴즈라는 VM프로그램이 있는데, 그거로 사용시에 대쉬보드설치는 완료했는데, 프로메테우스랑 로키스택의 경우는 설치가 되지 않더라구요. 현재 제가 작은 서버를 하나 가지고 있어서 네트워크를 고정아이피로 사용중인데요. 그래서 192.168.56.x를 사용할수 없어 제가 사용하는 ip를 기반으로 VM IP를 또한, 공유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없어 기본어뎁터를 베이스로하는 브릿지 모드로 맞췄습니다. 빠른설치 게시글을 통해서 해당 부분 ip를 변경해서 대쉬보드 설치는 완료해서 띄울 수 있었는데요. 프로메테우스와 로키스택의 경우는 pending이 발생하거나 설치자체가 안되는지 상태를 알수없다는 STATUS만 나오게 됩니다. 그래서 깃허브에 올려놓으신 yaml파일을 읽어보았는데요. 프로메테우스와 로키스택에서는 ip를 명시하는 부분은 없더라구요?(다른 yaml파일에서는 발견함)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지 모르겠습니다. 크러쉬가 일어나지도 않아서 로그가 남겨지진 않구요... 뭐가 문제일까요?ㅠㅠ 그래서 UTM을 설치해서 실행했을때는 문제가 없이 동작했습니다. 다른 부분이라하면 ip만 강의와 다르게 했을 뿐인데 .yaml파일에 ip명세가 문제가 아니라면 뭐가 문제일까요?
-
해결됨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CI/CD 입문·실전
Node로 CI/CD 제작 중 안되는 이유
강사님 안녕하세요. nest를 완강하고 개인적으로 Node로 만들어보고 있습니다. 근데 Github Actions 까지 무사히 잘 완료가 되었는데요.배포가 제대로 되어있는지 확인하려고 하니까 안되고 있습니다.이렇게 서버가 살아있고 저는 3000번 포트를 사용해서 https://43.202.202.143:3000/ 이라고 작성했는데 접속이 안되더라고요. 제가 Gpt랑 나름 찾아봐서 작성해본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name: Deploy To EC2 on: push: branches: - dev jobs: deploy: runs-on: ubuntu-latest steps: - name: Github Repository 파일 불러오기 uses: actions/checkout@v4 - name: Node 설치 uses: actions/setup-node@v4 with: node-version: "20" - name: 의존성(라이브러리) 설치 run: yarn install --frozen-lockfile - name: .env 파일 만들기 run: | echo '${{secrets.ENV}}' > .env # - name: 테스트 코드 실행 # run: npm run test # - name: 빌드 # run: npm run build - name: 압축하기 run: tar -czvf project.tar.gz .env package.json yarn.lock src - name: SCP로 EC2에 빌드된 파일 전송하기 uses: appleboy/scp-action@v0.1.7 with: host: ${{ secrets.EC2_HOST }} username: ${{ secrets.EC2_USERNAME }} key: ${{ secrets.EC2_PRIVATE_KEY }} source: project.tar.gz target: /home/ubuntu/Solo-Resume-Project/tobe - name: SSH로 EC2에 접속하기 uses: appleboy/ssh-action@v1.0.3 with: host: ${{ secrets.EC2_HOST }} # EC2의 퍼블릭 IPv4 주소 = 고정 주소를 말함. 연결 된 상태의 43.202.xxx.xxx <- 이런거 username: ${{ secrets.EC2_USERNAME }} # EC2 접속 username = 대부분 우분투 key: ${{ secrets.EC2_PRIVATE_KEY }} # EC2의 key-pair 파일의 내부 텍스트 script_stop: true script: | rm -rf /home/ubuntu/Solo-Resume-Project/current mkdir /home/ubuntu/Solo-Resume-Project/current mv /home/ubuntu/Solo-Resume-Project/tobe/project.tar.gz /home/ubuntu/Solo-Resume-Project/current/project.tar.gz cd /home/ubuntu/Solo-Resume-Project/current tar -xvf project.tar.gz yarn install pm2 kill pm2 start src/app.js --name "backend-server" =============================세팅도 전부 다했고요.근데 pm2 logs를 작성하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제가 env에 서버포트 번호를 넣어놓고 상수값을로 지정한 후에 따로 빼서 사용하는데 그것 때문인가요?기존의 vs 코드에서는 잘 작동이 됩니다.처음 혼자서 node로 작성하는거다보니 너무 질문이 많아서 죄송한데 답을 알려주시옵소서!!!
-
해결됨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Nginx 입문/실전
location = /50.x.html 블럭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default.conf 파일에서 location = /50.x.html 블럭의 역할이 location / 블럭과 동일해서 필요없는거 같은데 존재하는 이유가 뭔가요??단지, 현재는 두개의 블럭의 root 값이 똑같아서 그런거고 나중에 달라질수 있기때문에 일단 블럭이 2개 만들어져있는 건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