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단일 쓰레드에서 성능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
성능 테스트를 할 때 멀티쓰레드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 단일 쓰레드(main 쓰레드)만 사용하고 있는데, increment()에 synchronized를 붙인 것과 안 붙인 것의 성능 차이는 왜 발생하는 것인가요? BasicInteger와 VolatileInteger의 경우에는 캐시를 사용하는가, 메인 메모리를 사용하는가의 차이로 성능 문제가 발생했다는 것은 알겠는데, BasicInteger와 SyncInteger 간의 성능 차이가 왜 발생하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Callble 활용 질문 이요.(코드 이런식으로 만들어도 되는지?)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어찌저찌 하다가 콜라볼를 이용해서 만들기는 하였는데 이렇게 코드로 만들어도 되는지 궁금해서 질문을 드립니다.콜라볼에 Lsit값을 넣어서 , 심플한 callable 리스트를 만들었는데 이렇게 활용해도 되는지 알고 싶어서 코드를 올립니다. 이렇게 만들어도 되냐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count에 volatile을 붙이는 이유
문제가 되는 부분은 main 쓰레드와 work 쓰레드에서 flag 변경/확인 타이밍이 맞지 않아서인데 왜 count에도 volatile 키워드를 붙여주는 것인가요? flag에만 volatile을 붙인 경우에도 정상 동작하긴 합니다..
-
해결됨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optimistic Lock 재시도 질문입니다.
public void decrease(Long id,Long quantity){ while(true){ try{ service.decrease(id,quantity); break; }catch (Exception e){ Thread.sleep(50); } } }OptmisticLock 이 실패했을때 재시도로직에서 일정시간 대기후 서비스로 감소로직을 무한히 실행하는데 실무에서도 optimistic lock 을 이런 방법으로 처리하는지 궁금합니다. 이렇게될경우 로직이 성공할떄 까지 계속 쿼리를 날리게되는데 좀더 개선된 방법이 있을까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Future Vs. CompletableFuture
[질문 내용]강의 너무 잘 듣고있습니다. 요즘 실무에서는 Future 말고 CompletableFuture를 많이 쓰는걸로 아는데 이에 대한 강의는 없으신가요? 그리고 CompletableFuture 사용에 대한 의견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 동시성 프로그래밍 [리액티브 프로그래밍 Part.1]
Thread Waiting 상태 관련 질문 드립니다.
Thread 가 Wating 상태로 변경될 때 java 에서 Object.wait() 혹은 Thread.join() 을 호출 한다고 스레드 생명주기와 상태 - 21:51에서 말씀 주셨는데 래퍼런스를 확인해보니 wait(), join() 이외에 LockSupport.park ()라는 동작도 있다고 적혀있습니다. 해당 동작은 어느시점에 이루어지는지 언제까지 대기상태를 유지하는지 궁금합니다 🙂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12:42] 구두 설명과 pdf 설명이 다른 부분의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12:42]에서 "main 스레드는 TIMED_WATING 상태에서 RUNNABLE 상태로..." 설명과 함께 마우스 포인터로 가리키신 pdf 에서는 work 스레드 라고 표기되어 있습니다. 설명에 혼란이 있어서 제가 인터럽트 호출 부분을 다음과 같이 이해한 게 맞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0. work 스레드 동작main() 스레드 안에서 thread.start(); 호출(work 스레드 호출)한다.1. main() 스레드 동작Thread.sleep(4000)을 호출하여 TIMED_WAITING 상태로 들어간다. (4초 대기)2. thread.interrupt() 호출4초 뒤 main() 스레드가 깨어나고(RUNNABLE 상태), 바로 아래 코드인 thread.interrupt() 호출한다. -> 이때 work 스레드는 Thread.sleep(3000)으로 인해 TIMED_WAITING 상태였는데, main() 스레드의 인터럽트 신호로 인해 InterruptException이 발생하여 RUNNABLE 상태로 즉시 변경된다.3. InterruptException 처리work 스레드는 catch 블록에서 InterruptException 예외 처리 수행한다. 인터럽트 호출했다고 InterruptException 예외가 반드시 나는 것은 아니다. 설명에서 InterruptException 예외 발생한 이유는 main() 스레드에서 4초 대기 후 work() 스레드 인터럽트 호출할 때, work 스레드 상태가 TIMED_WAITING 였기 때문이다. work 스레드는 인터럽트 호출로 인해 TIMED_WAITING -> RUNNABLE 상태로 즉시 변경되고, work 스레드의 인터럽트 상태는 초기화 되어 false를 반환한 것이다.이렇게 이해하면 될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큐가 비어있는 상황에서 큐에 새로운 작업이 들어왔을 때, 기본 스레드와 초과 스레드 중 어느 스레드 부터 작업을 실행하는지 궁금합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초과 스레드가 작업을 처리할 때 마다 시간은 계속 초기화된다" 7:36초에 말씀을 해주셨는데, 한가지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 큐가 가득 차서 초과 스레드가 이미 만들어 졌다고 가정한 상황입니다. 이후에 작업이 없어서 큐가 비어있다고 가정을 하겠습니다.즉, 상황은 큐가 비어있고, 스레드 풀에 기본 스레드 2개, 초과 스레드 2개가 있습니다. 이 때, Executors 에 새로운 작업이 들어오면 이 작업은 무조건 기본 스레드가 초과 스레드 보다 먼저 작업을 수행하게 되나요?만약, 기본 스레드가 먼저 작업을 무조건 수행하게 된다면 이는 BlockingQueue의 내부 구현인 ReentrantLock 과 Condition 으로 인해 WAITING인 기본 스레드 부터 깨우게 되는 것인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Future
안녕하세요 영한님 강의 JPA때부터 잘 보고 있습니다.future에 대해서 질문이 있는데.. future.get()을 호출 했을때 값이 있으면 그 값이 바로 나오지만 아직 결과값이 나오지 않는 상태이면 호출 스레드는 wating상태가 맞지 않나요??제가 알기로는 wating 상태에서는 인터럽트나 이런걸로 깨울 수 있고 블로킹 같은 경우에는 깨우지 못한다는 차이가 있어서(더 많은 차이도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두가지가 같다고 보기 힘든것 같은데... wating과 블로킹이 같은건가요...???감사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ExexutorService invokeAny() 메서드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invokeAny 메서드 실행시 어떨 때는 인터럽트 예외가 발생하고 어떨 때는 발생하지 않고 모든 task가 완료 되고 있습니다. 스레드가 한번에 모두 실행이 완료돼서 그런걸까요 아니면 제가 코드를 잘못 작성했을까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
해결됨앨런 Swift Concurrency for Swift 6 (Part-1)
Part 2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2025년 1월 안으로 part 2 강의 제작을 마무리 하는게 목표라고 하셨던 것 같은데, 예상 일정대로 part 2도 업로드 될까요?actor와 sendable에 대해서 얼른 공부하고 싶어 기다리고 있습니다 ㅎㅎ답변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영한님 질문이 있습니다(자바 관련 질문 아님 - 다음 행보에 대해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어제인가 그저께인가, 이 생각이 계속 떠나지 않아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말 그대로 영한 님의 개발 커리에 대해, 다음 행보가 궁금해져서 질문을 드립니다. 1. 자바 강의 및 DB강의를 끝나고 다음 강의로는 무엇을 하실 건가요? 아니면 다시 실무로 가실 건인지?2. 자바 강의를 끝나고 DB를 하신다는 기억이 있는데, DB 강의 때에, 어떤 종류의 sql을 이용할 생각 인가요? 답변 부탁 드립니다.
-
미해결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낙관적 락 테스트 실패
안녕하세요 낙관적 락을 활용해서 조회수 증가 동시성 테스트를 하고 있습니다! 영상처럼 동일하게 로직을 작성해서 테스트 하는데 동시성 처리가 전혀 안되는 상태라 질문 드립니다ㅜㅜ아래는 Board 엔티티입니다!import jakarta.persistence.*; import lombok.Getter; @Getter @Table(name = "board") @Entity public class Board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title; @Column(name = "view") private long view; @Version private Long version = 0L; public Board(String title, long view) { this.title = title; this.view = view; } public void increaseView() { this.view += 1; } public Board() { } } 서비스 로직입니다! Catch 부분을 전혀 타지 않는 상태인거 같습니다 @Transactional public void increaseViewCountOpticLock(final long boardId) throws InterruptedException { while (true) { try { Board board = boardRepository.findByIdWithOptimistLock(boardId); board.increaseView(); // 조회수 증가 boardRepository.save(board); // 저장 break; // 성공 시 루프 탈출 } catch (ObjectOptimisticLockingFailureException e) { log.info("========================="); Thread.sleep(50); } } } import jakarta.persistence.LockModeType; import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JpaRepository; import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Lock; import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Query; import org.tkdgus.concurrdemo.entity.Board; public interface Board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Board, Long> { default Board getBoardById(long boardId) { return findById(boardId).orElseThrow(IllegalArgumentException::new); } @Lock(LockModeType.OPTIMISTIC) @Query("SELECT b FROM Board b WHERE b.id = :boardId") Board findByIdWithOptimistLock(long boardId); } DB는 MySQL이고 트랜잭션 격리 수준이나 이런건 다 기본 설정 그대로입니다! @Test @DisplayName("낙관적 락 동시성 테스트") void increaseViewCountOptimisticLock() throws InterruptedException { long boardId = 1L; int concurCnt = 100; ExecutorService executorService = Executors.newFixedThreadPool(32); CountDownLatch latch = new CountDownLatch(concurCnt); for (int i = 0; i < concurCnt; i++) { executorService.submit(() -> { try { boardService.increaseViewCountOpticLock(1L); } catch (InterruptedException e) { throw new RuntimeException(e); } finally { latch.countDown(); } }); } latch.await(); BoardDto afterBoard = boardService.findBoard(boardId); assertThat(afterBoard.view()).isEqualTo(concurCnt); }위 테스트 코드로 테스트 하면 100이 아니라 항상 10으로 나오는데 원인을 도저히 모르겠습니다ㅜㅜ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MyAtomic 성능 테스트 결과 상이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MyAtomicInteger 와 다른 구현체 들의 성능을 테스트 하는 코드에서 강의에 결과와 다른 결과가 나옵니다...package thread.cas.increment; import java.util.concurrent.atomic.AtomicInteger; public class MyAtomicInteger implements IncrementInteger{ AtomicInteger atomicInteger = new AtomicInteger(0); // 이미 동시성 문제가 다 해결되어 있는 클래스이다. @Override public synchronized void increment() { atomicInteger.incrementAndGet(); } @Override public int get() { return atomicInteger.get(); } }package thread.cas.increment; import static util.MyLog.log; public class IncrementPerformanceMain { public static final long COUNT = 100_000_000;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est(new BasicInteger()); //가장 빠르다 CPU 캐시를 가장 적극 사용한다. 멀티스레드 환경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단일 스레드일 경우 가장 효율적 test(new VolatileInteger()); // 메인메모리를 직접 사용한다. 안전한 임계영역은 없기 때문에 멀티스레드 환경에는 사용할수 없다. test(new SyncInteger()); test(new MyAtomicInteger()); } private static void test(IncrementInteger incrementInteger) { long startMs = System.currentTimeMillis(); for (long i = 0; i < COUNT; i++) { incrementInteger.increment(); } long endMs = System.currentTimeMillis(); log(incrementInteger.getClass().getSimpleName() + ": ms=" + (endMs - startMs)); } }아토믹이 그냥 synchronized보다 더 느린 결과가나오는데 제가 놓친 부분이 있을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스레드를 조작하는 실제 상황 예시가 궁금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제가 큰 규모의 작업은 다루지 못했다보니 이런 개념들이 사용되는 실제 상황의 예시가 있을까요? 보통 스프링에서 제공하는 component를 사용해서 stateless하게만 만들어두다 보니 실제로 적용해보려 한다면 어디에 해야하지? 하는 생각이 그려지지 않습니다. 혹시 몇가지 실제 예시를 들어주실 수 있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unpark() 메서드 질문드립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LockSupprot의 unpark()메서드는 park()와 parkNanos()로 WAITING상태이거나 TIME_WAITING상태에 빠진 스레드를 RUNNABLE상태로 깨우는 데 사용되는거면sleep(ms)로 TIME_WAITING상태에 빠진 스레드를 unpark()로 깨울 수 없는건가요?내용을 좀 더 찾아보니, LockSupport에서 스레드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permit이라는 플래그값을 사용한다고 하는데, 그럼 결국 unpark는 LockSupport내의 메서드를 사용해서 대기 상태로 만든 스레드에 대해서만 작용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오타 제보합니다!
안녕하세요 영한님! 오타 제보합니다!강의자료 pdf13. 스레드 풀과 Executor 프레임워크2.pdf39페이지AS-IS거절된 작업을 버리지만, 대신에 경로 로그를 남겨서 개발자가 문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해보자.TO-BE거절된 작업을 버리지만, 대신에 경고 로그를 남겨서 개발자가 문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해보자.감사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오타 제보합니다!
안녕하세요 영한님! 오타 제보합니다!강의자료 pdf13. 스레드 풀과 Executor 프레임워크2.pdf23페이지AS-IS자바는 Executors 클래스를 통해 3가지 기본 전력을 제공한다.newSingleThreadPool(): 단일 스레드 풀 전략newFixedThreadPool(nThreads): 고정 스레드 풀 전략newCachedThreadPool(): 캐시 스레드 풀 전략TO-BE자바는 Executors 클래스를 통해 3가지 기본 전략을 제공한다.newSingleThreadPool(): 단일 스레드 풀 전략newFixedThreadPool(nThreads): 고정 스레드 풀 전략newCachedThreadPool(): 캐시 스레드 풀 전략새해 복 많이받으세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멀티스레드, 스프링mvc 관련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Servicepublic class PersonService { public void processPerson(Person person) { System.out.println("Processing person: " + person); }}@Componentpublic class Common{ public void logging(Log log){ System.out.println("Processing person: " + person); }}위 두 클래스는 스프링 빈으로 등록되고 싱글톤입니다.싱글톤은 객체가 1개만 생성되는걸로 알고있습니다.그럼 controller 단이나 외부에서 PersonService, Common 의 processPerson, logging 메서드들을 동시에 호출하면2개의 스레드가 각 싱글톤 객체의 메서드 매개변수를 동시에 변경하니깐 스레드 세이프하지않은거 아닌가요? 스프링 mvc 구현할때 다 이렇게 하던데 이게 스레드 세이프한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메서드의 메모리 위치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클래스의 메서드 코드들은 메모리 중 메서드 영역에 할당되고 인스턴스들이 이를 공통으로 사용된다고 앞서 배웠던 것 같습니다.하지만 해당 강의 2:06 경에는 힙 영역에 존재하는 HelloRunnable 인스턴스의 run 메서드를 실행한다고 작성해주셨는데, 이는 메서드 영역이 생략된 그림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