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문제와 풀이4 - Queue
안녕하세요 영한님 🙂 항상 감사한 마음으로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ㅎㅎ별거 아닌 오탈자이긴 한데, 큐 두번째 문제에서 실행 결과 부분 오탈자가 있어서 말씀드립니다! "작업 시작" -> "==작업 시작==""작업 완료" -> "==작업 완료=="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다형성, OCP, DIP의 차이점
[질문 내용]다형성 : 하나의 타입으로 여러개의 객체를 다룰 수 있는 것OCP : 변경에는 닫혀있고, 확장엔 열려있는것 따라서 클라이언트 기존의 코드는 변경하지 않고 확장을 통해 기능을 추가하고 변경할 수 있다DIP : 클라이언트와 구현체는 추상화에 의존해야된다는 것 따라서 클라이언트가 구현 객체에 의존하는 것이 아닌 클라이언트와 구현객체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두고 클라이언트와 구현객체가 인터페이스에 의존하여 구현객체를 변경해도 클라이언트에 영향이 없음을 의미한다전 아무리 생각해도 다형성, OCP, DIP 이 세가지가 결국엔 추상화에 의존해서 클라이언트의 코드 변경없이 기능을 확장시킨다를 의미하고 있고, 다형성, OCP, DIP 이 세가지가 말만다르지 다 똑같아 보이는데 ,,명확한 차이점이 있을까요? 그리고 예를들어 OCP를 위반해도 DIP는 지켜지는 그런 상황도 있을까요?
-
해결됨남박사의 파이썬으로 봇 만들기 with ChatGPT
완성된 코드는 제공되지 않나요?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안녕하세요. 강의 자료에는 따로 완성된 코드를 볼 수 있는 자료가 없던데 제공되지 않는건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HelloDice, HelloSum 리팩토링 문제 풀이!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바로 전에 AnonymousOuter 참고해가며이렇게 해봤는데 출력 결과는 동일하게 나오는데 혹시 잘못된 부분있거나 부족한 부분있으면 조언 부탁드립니다.package nested.anonymous.ex; import java.util.Random; public class Ex1Main { public void hello(String str) { System.out.println("프로그램 시작"); Process process = new Process() { @Override public void run() { if (str.equals("DICE")) { // 코드 조각 시작 int randomValue = new Random().nextInt(6) + 1; System.out.println("주사위 = " + randomValue); // 코드 조각 종료 } else if (str.equals("SUM")) { // 코드 조각 시작 for (int i = 0; i < 3; i++) { System.out.println("i = " + i); } // 코드 조각 종료 } } }; process.run(); System.out.println("프로그램 종료");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Ex1Main ex1Main = new Ex1Main(); ex1Main.hello("DICE"); ex1Main.hello("SUM"); } }
-
해결됨파이썬 알고리즘 트레이딩 파트1: 알고리즘 트레이딩을 위한 파이썬 데이터 분석
강의 영상중에 음성이 빨라지더니 몇 초 누락 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수업 매우 만족하며 듣고 있습니다...강의중에섹션 5. 파이썬으로 페어 트레이딩 백테스팅 시작하기객체지향 trading_summary() 메서드 추가하기수업중 4:14 부터 음성이 빨라지더니 중간 몇 초 누락이 조금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자바 개발자를 위한 코틀린 입문(Java to Kotlin Starter Guide)
19강 TakeIf 질문
강사님 안녕하세요.우선,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19강.코틀린의 이모저모 학습 중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takeIf 을 설명하실 때getNumberOrNull 함수와 getNumberOrNullV2 함수가 동일한 코드라고 설명해주셨는데요.강의에서 takeIf 확장 함수는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면 그 값을, 만족하지 않는다면 null을 반환한다고 설명해주셨는데, 그러면 getNumberOrNull함수의 반환 값이 반대로 된 것이 아닌가요? 오히려 getNumberOrNull함수는 takeUnless를 사용하는 getNumberOrNullV3함수와 동일하다고 생각됩니다.저는 아래와 같이 이해했는데.. 혹시 제가 잘못 이해한건지, 아니면 강의자료에 오타가 있으신건지 궁금합니다~~ // takeIf 구현 fun getNumberOrNull(): Int? { return if (number <= 0) number // 해당 조건이 맞으면 해당 값을 반환 else null // 아니면 Null을 반환 }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지역 클래스-지역 변수 캡쳐2 질문
안녕하십니까 깊은 내용 쉽게 가르쳐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질문이 있습니다.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OuterClassV2 outerClassV2 = new OuterClassV2(); Printer innerPrinter = outerClassV2.process(1); innerPrinter.print(); Field[] fields = innerPrinter.getClass().getDeclaredFields(); System.out.println(fields.length); for (Field field: fields) { System.out.println(field.getName()); } }위 메서드 실행시에 public Printer process(final int paramVal) { int localVal = 2; // 여기 class InnerPrinter implements Printer{ private final int val = 3; @Override public void print() { System.out.println("val = " + val); System.out.println("localVal = " + localVal); System.out.println("paramVal = " + paramVal); System.out.println("outerClassVal = " + outerClassVal); } } return new InnerPrinter(); }위와 같이 int localVal = 2 처럼 암묵적 final을 이용하면 지역 클래스에 캡쳐되는게 확인 됩니다 하지만final int localVal = 2 처럼 명시적으로 하면 지역클래스가 캡쳐되지 못하는데 이유가 무엇일까요?크게 중요한 문제는 아니지만 궁금하였습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8분 10 초 영상 AutoAppConfigTest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8분 10 초에서 AutoAppConfigTest 에서 basicSacan Test 할 때 왜 OrderServiceImpl 생성자가 호출이 되는건가요..? ㅠㅠ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Order 1분20초 질문
orderApporder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order 부분 오류가 났는데 toString연결 부분인데 왜 오류가 난건지 모르겠어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ComponentScan과 @SpringBootApplication 관계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AutoAppConfig와 같은 설정 클래스를 만들지 않아도 @SpringBootApplication에 @ComponentScan이 있기 때문에, CoreApplication 클래스가 위치한 hello.core가 스캔 시작 범위가 되고, 하위의 모든 패키지에 존재하는 @Component를 인식하여 빈으로 등록하는 건가요?AutoAppConfig와 같은 설정 클래스를 만들지 않아도 @SpringBootApplication의 @ComponentScan에 의해 빈을 등록하지만, AutoAppConfig를 만드는 이유는, ComponentScan 범위를 지정하고, Filter를 사용하기 위함인가요?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log-demo 페이지로 들어갔을 때 404에러가 뜹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core코드 전체: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AI5Fsayi4Exge6nyVABAneWwkaY10HHs?usp=drive_link분명 잘 따라한 것 같은데 log-demo페이지에 접속했을 때 404 에러가 뜹니다. 스프링 3버전을 사용해서 javax가 아닌 jakarta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부분이 문제가 될 수도 있나요?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안녕하세요. 필드DI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https://www.inflearn.com/questions/340767/%ED%95%84%EB%93%9C-%EC%A3%BC%EC%9E%85%EC%9D%98-%EB%AC%B8%EC%A0%9C%EC%A0%90%EC%97%90-%EB%8C%80%ED%95%B4-%EA%B6%81%EA%B8%88%ED%95%9C%EA%B2%8C%EC%9E%88%EC%8A%B5%EB%8B%88%EB%8B%A4<테스트 코드 때문에 필드DI를 지양해야 하는 것 이 맞는가?>안녕하세요 담당자님.위 링크에 적힌 내용에 이어서 질문을 드립니다.위 링크를 읽어본 결과 필드 DI를 지양해야 하는 이유 중 하나는 테스트 할 때 순수 자바환경에서 구현 불가능한 방법이기 때문이라고 이해했습니다.하지만 위와 같은 이유로 필드DI를 지양한다는 것이 이해가 안됩니다.실제 어플리케이션 코드에서는 필드DI를 하고, 스프링 없는 테스트 환경에서는 생성자든 setter든 직접 객체를 넣어주면 아무 문제 없지 않을까요?물론 설명해주신 필드DI의 단점은 좀 더 있지만, 테스트 코드 때문에 필드DI를 지양해야 하는 것 이 맞는가에 대한 의문이 들어서 질문드립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gradle 빌드 로그를 어떻게 없앨 수 있나요?
강의 영상에는 이렇게 코드 결과 값만 나오는데 제 인텔리제이 화면에는 이렇게 나옵니다. 알고리즘 코드를 만든후에 수정을 돌리면 위 화면처럼 결과값만 나오는데 스프링 프로젝트를 실행하면 gradle 빌드 로그가 뜨는데 이걸 수정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Service를 Interface로 먼저 만드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Service를 Interface로 먼저 만들고 구현체를 따로 만드는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Interface를 굳이 만들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AutoAppConfig 클래스 사용 이유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영한님 안녕하세요! 강의 듣다가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 남깁니다. 이번 강의 내용에서 AutoAppConfig 클래스를 사용하는 이유를 잘 모르겠어서요.. 스프링 입문 강의에서는 별도의 Config 클래스 없이 @Service, @Repository와 같은 어노테이션으로 빈을 등록하고 @Autowired로 의존 관계를 주입했는데, 이번 강의에서는 Config 클래스를 사용하셔서요. 제가 이해한 것이 맞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자동으로 빈을 등록하고 의존 관계를 주입할 경우에는 별도의 Config 클래스가 없이 @Component만 붙여줘도 실행하는데는 문제가 없을까요? Config 클래스를 사용하는 이유는 스프링 컨테이너를 통해 빈을 조회하기 위해 사용하신 것이 맞을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comparable 질문
안녕하세요.강의에서 다음의 코드를 비교한 걸 보여주셨을 때 콘솔에 출력되는 개수가 다른데 왜 그런걸까요 ? 자바 버전에 따라 내부 구현된 정렬 알고리즘이 달라서 그럴까요 ? (강의는 출력 2개)@Override public int compareTo(MyUser o) { System.out.println(this + "vs " + o); return this.age < o.age ? -1 : (this.age == o.age ? 0 : 1); }MyUser{id='B', age=10}vs MyUser{id='A', age=30}MyUser{id='C', age=20}vs MyUser{id='B', age=10}MyUser{id='C', age=20}vs MyUser{id='A', age=30}MyUser{id='C', age=20}vs MyUser{id='B', age=10}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객체지향프로그래밍 파트 관련 질문드립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강사님의 좋은 강의 감사드리며, 열심히 듣고 있습니다.다름 아니라, MusicPlayerMain3 관련 질문드립니다.우선 관련 코드를 보여드립니다.MusicPlayerData data = new MusicPlayerData();on(data);volumeUp(data);volumeUp(data);volumeDown(data);showStatus(data);off(data);}static void on(MusicPlayerData data){data.isOn = true;System.out.println("음악 플레이어를 실행합니다.");}static void off(MusicPlayerData data){data.isOn = false;System.out.println("음악 플레이어를 종료합니다.");}이 코드에서volumeUp과 volumeDown 메서드는 반환 타입이 void입니다.main 메서드 안에는 볼륨 관련 메서드를 호출하고 있고,따로 메서드 호출 결과를 저장할 변수는 선언되어 있지 않습니다.그럼에도 volume 값이 메서드 호출 이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되는 것은,기본적으로 main 메서드에서 생성한 data가 참조값을 갖고 있고, 메서드의 매개변수 역시 data와 같은 참조값을 갖고 있으므로, 따로 return type과 저장할 변수를 선언하지 않았어도 참조값이 가르키는 인스턴스의 value 값이 volumeUp, Down 메서드 호출 할 때마다 업데이트 되는 것인가요? 또한 만약 같은 코드가 기본형을 다루는 메서드 였다면 값이 업데이트 되지 않는 것인지 확인하고 싶습니다.제가 이해한 것이 맞는지 확인하고 싶습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섹션7 조회한 빈이 모두 필요할 때 List, Map이 null로 나옵니다
제목 그대로 테스트 케이스 진행시List와 Map이 모두 null로 조회되어 테스트 오류가 발생합니다package hello.core.autowired.allbean; import hello.core.discount.DiscountPolicy; import hello.core.member.Grade; import hello.core.member.Member; import hello.core.order.AutoAppConfig; import org.assertj.core.api.Assertions;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Map;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 public class AllBeanTest { @Test void findAllBean(){ 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utoAppConfig.class, DiscountService.class); DiscountService discountService = ac.getBean(DiscountService.class); Member member = new Member(1L, "userA", Grade.VIP); int discountPrice = discountService.discount(member, 10000, "fixDiscountPolicy"); assertThat(discountService).isInstanceOf(DiscountService.class); assertThat(discountPrice).isEqualTo(1000); int rateDiscountPrice = discountService.discount(member, 20000, "rateDiscountPolicy"); assertThat(discountPrice).isEqualTo(2000); } static class DiscountService { private final Map<String, DiscountPolicy> policyMap; private final List<DiscountPolicy> policyList; public DiscountService(Map<String, DiscountPolicy> policyMap, List<DiscountPolicy> policyList) { this.policyMap = policyMap; this.policyList = policyList; System.out.println("policyMap = " + policyMap); System.out.println("policyList = " + policyList); } public int discount(Member member, int price, String discountCode) {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policyMap.get(discountCode); return discountPolicy.discount(member, price); } } }java.lang.NullPointerException: Cannot invoke "hello.core.discount.DiscountPolicy.discount(hello.core.member.Member, int)" because "discountPolicy" is null이라는 오류가 발생하는데 어느 부분이 문제인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shuttle.showinfo를 호출시 실행창 질문
package generic.test.ex3 object UnitPrinter { //제네릭 메서드 fun <T : BioUnit>printerV1(t: Shuttle<T>){ println(t.showInfo()) } fun printerV2(shuttle: Shuttle<out BioUnit>){ println(shuttle.showInfo()) } fun <T : BioUnit>printerV3(t: Shuttle<T>){ val unit = t.out() println("이름: ${unit.name} hp:${unit.hp}") } fun printerV4(shuttle: Shuttle<out BioUnit>){ val unit = shuttle.out() println("이름: ${unit.name} hp:${unit.hp}") } }자바와 코틀린은 100퍼센트 호환이 된다고 해서 코틀린으로 강의를 보고있습니다.강의에선 v1과 v2로 인자로 받은 셔틀에서 unit을 꺼내어 내용을 출력했는데요. 그렇게 안하고 셔틀에서 바로showinfo를 호출해서 실행창에name : 마린 hp : 40kotlin.Unitname : 마린 hp : 40kotlin.Unit이렇게 줄바꿈으로 kotlin.Unit이라는게 자동적으로 붙는데 왜이런건가요 . 강의에서처럼 unit을꺼내어서 출력하면 안붙습니다.
-
해결됨객체지향 개념에 바탕을 둔 JAVA 프로그래밍
공지
강좌 운영이나 강의 내용에 관해 궁금한 점이 있으면 자유롭게 나누어주세요.교수자, 수강생 누구나 글쓰기와 댓글 쓰기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