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private static class에 대해서 질문
기본편 강의에서 접근 제어자 설명할때 이런 내용이 있었는데요,클래스 레벨의 접근 제어자 규칙- 클래스 레벨의 접근 제어자는 public , default 만 사용할 수 있다. private , protected 는 사용할 수 없다.그런데 이번에 정적 중첩 클래스를 설명하면서 클래스 선언시에 private static class 클래스명 이라고 선언을 하잖아요.앞선 기본편 강의 내용에서 언급했던 내용과 조금 달라서 헷갈립니다. private static class 클래스명 은 중첩 클래스에서만 사용하는 문법이다라고 생각하면 될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Object 다형성 ObjectPolyMainExample1 관련 질문입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의 내용 중 아래 코드를 실행하면,private static void action(Object obj){if(obj instanceof Dog dog) {dog.sound();}else if (obj instanceof Car car){car.move();}}정상적으로 dog.sound()와 car.move()가 출력이 됩니다.여기서 문의드릴 사항은 main 메서드에서 따로 Object object = new Dog()와 같이 해주지 않았음에도 if(obj instanceof Dog dog) 부분에서 어떻게 Dog타입의 인스턴스로 Obj가 존재하는 지 확인 되어 확인과 동시에 변수를 선언하여 dog.sound()가 호출 될 수 있는 건가요?따로 Object object = new Dog()를 해주지 않아도.일시적 다운캐스팅으로 가능해진 것인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scanner 반복예제 2번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if (num1 == 0 && num2 == 0) { 대신 if (sum == 0) {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lombok 설치 관련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1.18.24'gradle dependencies에 위와 같이 의존성을 추가해주고, lombok 플러그인 활성화, 어노테이션 프로세서 설정 활성화 해주었는데 lombok 사용가능하면 초반에 영한님 처럼 설정 안해주어도 되나요?
-
미해결자바 개발자를 위한 코틀린 입문(Java to Kotlin Starter Guide)
internal 이해가 안갑니다 ㅠ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같은 모듈에서만 접근 가능하고 여기서 말하는 모듈은 IDEA Module, Maven project 등등 이라고 하셨는데요이게 정확한 어디 범위인지 제가 지식이 낮아서 그런지 이해가 잘안됩니다ㅠ 다른 클래스에서는 접근이 가능 한건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if 문 작성 시 else 도 함께 작성해주는 것이 좋나요?
문제 1번의 경우 if 구문을 사용할 때 저는 else 를 안 넣고 바로 return 으로 표현했거든요.static <T extends BioUnit> T maxHp(T unit1, T unit2) { if (unit1.getHp() > unit2.getHp()) { return unit1; } return unit2; }답안엔 else 를 같이 쓰는 것으로 나와서 혹시 else를 쓰고 안 쓰고를 결정하는 메뉴얼이나 혹은 더 좋은 코드의 기준이 있을까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
미해결Readable Code: 읽기 좋은 코드를 작성하는 사고법
강의를 다 들은 후에 오랜 궁금증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우빈님! 정말 좋은 강의를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고민하던 주제에 관해 다뤄주셔서 정말 흥미를 가지고 강의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강의를 다 들은 시점에 개발 공부를 시작한 이래로 늘 가지고 있던 오랜 궁금한 점이 있어서 이렇게 질문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조금 장문이 될 수도 있을 거 같네요🥲스프링을 사용해서 개발하게 되면 제일 처음 배우는 구조가 Controller -> Service -> Repository 이런 구조인데요, 보통 비즈니스 로직은 Service 에 작성된다고 배웠습니다. Service 레이어에서 모든 게 처리되고 비즈니스 로직이 도메인 쪽에 위치하지 못 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애초에 도메인이라는 개념 자체가 없고 바로 JPA 엔티티를 만들고 @Service 어노테이션이 붙은 클래스에서 모든 걸 다 처리하는 거 같아요. 제가 국비 교육에서 배운 팀 프로젝트나 3개월 간 짧게 경험해 본 실무에서도 다 이렇게 코드를 짰던 거 같습니다. 공부하다보니 이런 걸 트랜잭션 스크립트 라고 하는 거 같더라구요.그런데 아무리 생각해도 이런 방식은 객체지향적이지 않다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었습니다. 제가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오브젝트 등에서 읽은 객체의 역할, 책임, 협력 이런 것들을 적용해보지 못 하는 것 같아서 객체지향적으로 코드를 짜는 것은 어떤 것일까 하는 갈망이 늘 있었습니다. 이런 갈망이 있어서 이번 강의를 더 간절히 기다렸던 거 같아요😀이번 강의는 스프링이나 데이터베이스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순수 자바로만 객체지향에 대해서 설명을 해주셨는데요, 만약 스프링과 데이터베이스 기술(JPA) 등을 사용한다고 할 때는 어떻게 처리하시는 지 궁금합니다.이와 관련해서 제가 공부한 건 JPA 엔티티와 별개로 도메인 역할을 하는 클래스를 만들고 해당 클래스에서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게 하고 도메인 객체를 JPA 엔티티로 변환해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방식이었습니다. (도메인 객체와 영속성 객체를 분리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이렇게 하면 도메인 객체 안에 있는 비즈니스 로직을 단위 테스트 하기도 쉽고(도메인 객체는 순수 자바(코틀린) 코드로만 돼 있으니까요!) 데이터베이스 중심적이지 않고 도메인 중심적으로 생각을 할 수 있는 것 같다는 인상을 받았습니다.다만 이렇게 할 때는 어떤 개념을 통해 도메인을 추출해야할 지, 그리고 책임을 어떤 도메인에 넣어야 할 지 고민할 게 많더라구요. 근데 약간 소설의 등장인물을 설정하는 거 같아서 재미는 있었습니다 ㅎㅎ 이렇게 접근을 하니 @Service 어노테이션이 붙은 클래스는 단순히 객체들이 모여서 서로 협력할 수 있게 해주는 광장(?) 이라고 해야될까요, 중개해주는 역할만 하게 되는 것 같다는 생각을 해보기도 했습니다.이러다 보니 DDD 에 대해서도 많이 관심을 갖게 됐습니다. 도메인 위주로 설계 하고 도메인에게 적절한 역할을 할당하는 방식인 거 같아서요. 그리고 아키텍처에도 많이 관심이 생기더라구요. 단순히 Controller -> Service -> Repositoy 구조의 레이어드 아키텍처에선 처음 언급한 문제를 해결하는게 쉽지 않아 보였거든요. 주절주절 질문이 길었는데 요약을 해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스프링, JPA 같은 기술과 접목했을 때 이번 강의에서 배운 추상, 객체지향적 개발 방식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요?이후로 공부할 만한 주제로 DDD, 아키텍처 등이 적절할까요? 비전공으로 혼자서 백엔드 개발자 취업 준비 중이라 질문할 곳이 마땅치 않아 여기에 이렇게 남기는 점 미리 양해를 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테스트 코드 오류나왔습니다 알려주세요 ㅠㅠ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vQc--UxcosrJOqPVTVyrY91vpkGqap0e?usp=drive_link제 파일입니다 오류가 null 오류인건 아는데 코드의 어느부분에서 고쳐야할지 손을 못대겠습니다 어디가 문제인지 코드부분을 알려주실수있나요 jdk21 버전입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힙 , 메서드 영역
자바 메모리 구조 강의 9:40 쯤에제가 제대로 이해한게 맞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Item1, Item2 인스턴스 2개를 생성하면 name, price, quantity 는 고유한 값을 가지므로 힙 영역에 보관되지만getName 메서드, getTotalPrice 메서드는 메서드 영역에 보관된다.이 말이 맞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강의자료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올려주신 강의자료를 참조하여 깃허브 블로그에 올려도 괜찮을까요? 혹 저작권때문에 먼저 여쭤봅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수동 빈 등록에서의 의존관계 주입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해당 강의에서 컴포넌트 스캔으로 빈을 등록할 때 의존 관계를 주입하는 방법 중 생성자 주입, setter 주입, 필드 주입, 일반 메소드 주입을 배웠습니다. 그렇다면, 아래 코드와 같은 수동 빈 등록에서//AppConfig.java //memberRepository 빈은 등록되어 있다고 가정 @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Config { //1. 이렇게 하면 생성자 주입 @Bean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1(){ return new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 //2. 이렇게 하면 setter 주입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2(){ MemberServiceImpl memberService = new MemberServiceImpl(); memberService.setMemberRepository(memberRepository()); return memberService; } //3. 필드 주입은 어차피 setter가 필요하므로 생략 //4. 이렇게 하면 일반 메소드 주입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3(){ MemberServiceImpl memberService = new MemberServiceImpl(); memberService.init(memberRepository()); return memberService; } }각 번호대로 작성하면 되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다운로드 소스 코드 실행 방법 in 개발 환경 설정
다운로드 소스 코드 진행 방법 따라하는 중인데요,5:49 강의에는 overwrite 하겠냐고 뜨는데 저는 그렇게 안되고 안된다고만 뜹니다. 넘어갈 수 없는데 어떻게 하나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싱글톤 패턴 문제점에서 구체클래스 의존해서 DIP위반한다고 하셨는데 이건 싱
싱글톤 패턴 문제점에서 구체클래스 의존해서 DIP위반한다고 하셨는데 이건 싱글톤 아니여도 마찬가지 아닌가요?밑에 처럼 싱글톤을 안써도 , MemberServiceImple이라는 구체구현 클래스가 드러납니다..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return new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질문] > Task :compileJava FAILED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항상 고생이 많으십니다. > Task :compileJava FAILED 오류에 대해서 여쭤보고자 합니다.구글링 결과는 java 버전이 맞지 않아서 나오는 문제라고 했는데,다 찾아본 결과 JAVA 17버전으로 맞추고 했는데도 계속 오류가 나는 문제가 있습니다. 현재 윈도우 환경에서 공부하고 있습니다.오류 내용 - 사진 오류 내용 - 코드오류 내용Starting Gradle Daemon... Gradle Daemon started in 2 s 802 ms > Task :compileJava C:\Users\woon7\OneDrive\���� ȭ��\Spring �ٽ� ���� - �⺻��\core\src\main\java\hello\core\AutoAppConfig.java:19: error: illegal start of type <<<<<<< HEAD ^ C:\Users\woon7\OneDrive\���� ȭ��\Spring �ٽ� ���� - �⺻��\core\src\main\java\hello\core\AutoAppConfig.java:19: error: > expected <<<<<<< HEAD ^ C:\Users\woon7\OneDrive\���� ȭ��\Spring �ٽ� ���� - �⺻��\core\src\main\java\hello\core\AutoAppConfig.java:24: error: illegal start of type ======= ^ C:\Users\woon7\OneDrive\���� ȭ��\Spring �ٽ� ���� - �⺻��\core\src\main\java\hello\core\AutoAppConfig.java:29: error: illegal start of type >>>>>>> origin/master ^ C:\Users\woon7\OneDrive\���� ȭ��\Spring �ٽ� ���� - �⺻��\core\src\main\java\hello\core\AutoAppConfig.java:29: error: <identifier> expected >>>>>>> origin/master ^ C:\Users\woon7\OneDrive\���� ȭ��\Spring �ٽ� ���� - �⺻��\core\src\main\java\hello\core\AutoAppConfig.java:29: error: <identifier> expected >>>>>>> origin/master ^ 6 errors > Task :compileJava FAILED FAILURE: Build failed with an exception. * What went wrong: Execution failed for task ':compileJava'. > Compilation failed; see the compiler error output for details. * Try: > Run with --stacktrace option to get the stack trace. > Run with --info or --debug option to get more log output. > Run with --scan to get full insights. * Get more help at https://help.gradle.org Deprecated Gradle features were used in this build, making it incompatible with Gradle 8.0. You can use '--warning-mode all' to show the individual deprecation warnings and determine if they come from your own scripts or plugins. See https://docs.gradle.org/7.6/userguide/command_line_interface.html#sec:command_line_warnings BUILD FAILED in 12s 1 actionable task: 1 executed ``` project Structure - Project placform settings - SDKs 시스템 환경변수 설정 자바 버전 Settings - Gradle 버전 Settings - Java Compier 버전build.gradleplugins {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2.3.3.RELEASE'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0.9.RELEASE' id 'java' } group = 'hello' version = '0.0.1-SNAPSHOT' sourceCompatibility = '11' //lombok 설정 추가 시작 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 //lombok 설정 추가 끝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 //lombok 라이브러리 추가 시작 implementation 'org.projectlombok:lombok'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1.18.20") testImplementation ("org.projectlombok:lombok:1.18.20") test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1.18.20") //lombok 라이브러리 추가 끝 testImplementation('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 exclude group: 'org.junit.vintage', module: 'junit-vintage-engine' } } test { useJUnitPlatform() } ``` 다 찾아서 이렇게 설정해보았지만.. 테스트 코드를 돌려도 갑자기 컴파일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습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강의자료 오타
질문은 아니고, ZoneId 오타가 있어서 알려드립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Node<E> 와 <E> E 차이점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Node<E> 와 <E> E 헷갈려서 질문을 드립니다.Node<E> 는 배열안의 값을 E 타입으로 고정하는걸로 이해하면 되나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의존성 주입과 빈의 관계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수동으로 빈을 등록 할 때 빈이 등록되는 순서는 개발자가 작성한 순서대로 보장되지 않음을 수동 빈 등록 강의에서 배웠습니다. 그렇다면, 자동으로 빈을 등록할 때는 빈의 등록 순서가 어떻게 되나요? 만약 컴포넌트 스캔의 basePackages가 hello.core라면, 해당 패키지부터 하위로 차례대로 내려가면서 등록하나요?만약 생성자로 의존 관계를 주입할 때, 주입해야 하는 빈이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어떡하나요? 빈을 찾는데 없다면, 생성자를 호출하고 있는 동시에 빈을 등록하나요? 예를 들어, OrderServiceImpl 빈 등록을 위해 생성자 호출 -> 생성자를 통해 의존 관계 주입 시도 -> 그런데 MemberRepository 빈이 없음 -> MemberRepository 빈 등록. 이런 방식인건가요?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정보글] HelloLombok 실행 시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질문 하려다가 제가 해결한 내용을 공유합니다.build.gradle도 다 실행이 되었는데, 제가 겪는 에러 내용은 HelloLombok을 실행할 때에 문제가 발생한다는 점입니다.오류 내용 :Cause: class lombok.javac.apt.LombokProcessor (in unnamed module @0x26eb169f) cannot access class com.sun.tools.javac.processing.JavacProcessingEnvironment (in module jdk.compiler) because module jdk.compiler does not export com.sun.tools.javac.processing to unnamed module @0x26eb169f찾아보니 이는 JDK 16버전의 경우, Lombok과는 호환이 안된다는것이 원인이었습니다.따라서 https://icea.tistory.com/16이 링크를 참조했고, build.gradle을 이렇게 바꾸어서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해결 전 ://lombok 라이브러리 추가 시작 implementation 'org.projectlombok:lombok'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Implementation 'org.projectlombok:lombok' test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lombok 라이브러리 추가 끝 해결 후 : //lombok 라이브러리 추가 시작 implementation 'org.projectlombok:lombok'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1.18.20") testImplementation ("org.projectlombok:lombok:1.18.20") test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1.18.20") //lombok 라이브러리 추가 끝HelloLombok 코드package hello.core; import lombok.Getter; import lombok.Setter; import lombok.ToString; @Getter @Setter @ToString public class HelloLombok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 age;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HelloLombok helloLombok =new HelloLombok(); helloLombok.setName("qwer"); String name = helloLombok.getName(); System.out.println("name = " + name); System.out.println("helloLombok = " + helloLombok); } } 혹시라도 안되셨던 분들은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상속 메모리 구조에 대해서 질문
상속에서 자식 인스턴스를 생성하면 메모리의 힙 영역에 자식 인스턴스를 비롯한 부모 인스턴스가 같이 생성되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Parent와 Child가 있을 때 new Child()를 하면 Child 인스턴스 하나, Parent 인스턴스 하나 이렇게 총 두개가 생성되는 건가요? 아니면 인스턴스는 하나만 생성되는데 그 내부에서 Parent 타입과 Child 타입으로 구분되는 건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자바메모리구조와 static 파트 관련 질문드립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문제2. 수학 유틸리티 클래스 관련 몇가지 질문 드립니다.1)아래 코드와 같이 sum 등을 따로 private static 변수로 만들어도 되나요?public class MathArrayUtils {private static int sum = 0;private static int min = 0;private static int max = 0;private static int[] values;private MathArrayUtils(){}public static int sum(int[] values){int sum = 0;for (int value : values) {sum += value;}return sum;}public static double average(int[] values){return (double) sum / values.length;}public static int min(int[] values){min = values[0]; for (int value : values) {if (value < min){min = value; }}return min;}public static int max(int[] values){max = values[0];for (int value : values) {if(value > max){max = value; }}return max;}}2) 기존 답 코드의 sum, average 등 static method는 MathArrayUtilsMain에 따로 그 값을 받아줄 변수가 없는데 public static int와 같이 따로 return type을 지정해야 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static이어서 생성자를 생성하지 않고, 클래스에서 바로 값을 가져오기 때문에 따로 반환 값을 받아줄 변수를 지정하지 않아도 되는 것인가요?답안 예시처럼 MathArrayUtils.sum(values)이라면 따로 method 결과값을 받아줄 변수가 없다면 없어도 되는 건 아닌지 질문드립니다.3) MathArrayUtils 클래스에 private int[] values와 같이 array변수를 생성하지 않아도 되나요? 바로 Main메서드에서 array 변수를 생성 및 초기화하고 그 값이 클래스 메서드의 매개변수로 전달될 수 있는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