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유저의 요청으로 서버에서 "JS 실행(렌더링)"을 하는것에 관한 질문
유저가 웹 앱에 진입을 하면서 서버에 요청을 보낼 때,서버에서 JS를 실행하여 html을 채워준 뒤에 클라이언트로 보낸다고 이해하였습니다. 질문 1) 그렇다면, 서버에서는 node와 같은 자바스크립트 런타임 환경이 갖춰져 있어야 한다는 이야기일까요?? 질문 2) 더 나아가서, 넥스트 프로젝트의 배포 방법이 리액트의 배포 방법과 차이가 많이 날까요??(vercel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쿠버네티스 입문/실전
자료 공유는 없는건가요?
오늘 가입했습니다.학습 내용 자료는 별도로 공유가 안되는 지요?예를 들어 각 단원마다 명령어들 모음 같은 것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
미해결Do it!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with C++
LCA 빠르게 찾기 - 트리의 높이에 따른 k값 질문
이번 강의 3회차로 잘 보고 있습니다.앞선 강좌 LCA 빠르게 찾기에서는 트리의 깊이는2^K < (트리의 최대 높이)를 만족하는 K의 최대값이라고 하셨는데실제 코딩 하실때는 아래 코드 처럼 작성하셨는데 최악인 편향 트리일때 과정하고 넉넉하게 K값을 구하는건 이해했습니다.아래 코드에서는 N이 2^K > N 을 만족하는 최소 K값을 구하식으로 구하셨더라구요 이렇게 구해도 답은 나오는데 왜 이런지 몰라서 그런데 보충 설명 가능할까요?// N의 트리가 편향 트리라고 간주 // 최악일 경우 KMax를 구한다. int temp = 1; KMax = 0; while (temp <= N) { temp <<= 1; KMax++; } // 2^k < N // KMax - 1 하는게 맞지 않나?
-
미해결[켠김에 출시까지] 유니티 캐주얼 모바일 MMORPG (M2)
리니지1의 이동 질문
한때 오랫동안 리니지를 즐겼던 유저로써 리니지1의 이동은 어떤식으로 구현되었을까요?리니지에서 이동중에 서버렉이 걸리면 케릭터가 찍은 좌표로 클라의 케릭터는 계속 걸어갑니다.렉이걸린시점부터의 클라시점 밖의 NPC나 몬스터는 표시가 안되고 렉이 풀리면 클라 포지션이 렉이 걸린 시점의 포지션으로 순간이동하는 렉이 있었는데요 통신이 안되도 케릭은 일정타이밍까지는 이동이 됩니다.그러타면 서버에서는 도착좌표만 주고 클라에서 보간처리로 이동을 한다는 말이될것같은데그렇게 따지면 클라의 보간처리로 이동한다면 다른 케릭에의해서 길이 막혔을 때 처리가 안될것 같습니다.지금 프로젝트의 구현과 리니지1의 이동 동기화의 차이점도 궁금합니다.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5분대 설명하신 부분이 이해가 잘 안됩니다.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5분 지점에 member와 team을 분리해서 호출하기 위해 프록시를 사용한다라고 이해했는데 9분 53초대에서 보면 getUsername()을 호출했을 때 쿼리가 team까지 조인해서 가져옵니다.getTeam() 을 호출하지 않아도 조인으로 가져오는 거라면 굳이 프록시를 사용해야되는 것인지 의문점이 들었습니다.제가 이해한 것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완전 정복 [6.x 개정판]
CSRF 통합 로그인 계정 및 로그인 후 Whitelabel Error
CSRF 통합 강의에서 17분쯤에 user 1111 계정이 아니라 ddd로 입력을 하시는데 UserDetails로 설정 하지 않으신 것 같은데 어떻게 로그인이 되는 건지 궁금합니다.로그인 후 Whitelabel Error가 뜨는 경우는 어떤 부분을 수정하면 될까요? 이 강의를 수강하면서 해당 오류가 많았습니다. 로그인이 된 경우도 있고 안 된 경우도 있었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트렌젝션 질문입니다
트렌젝션을 서비스 클래스에 걸면 이런 문제가 없을 거 같은데, 실무에서는 트렌젝션을 메서드 단위로 거나요??저 같은 경우 서비스 클래스에 트랜젝션 readonly를 걸고create, update, delete 등이 필요한 로직에 트렌젝션을 따로 거는 편입니다.
-
미해결[켠김에 출시까지] 유니티 캐주얼 모바일 MMORPG (M2)
버그에대한 썰
현재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버그를 어떻게 발견했으며 문제의 코드를 어떻게 추적했고어떠한식으로 수정했다 그래서 느낀점은 이렇다등의 기억에 남는 버그가 있다면 짧게나마 썰을 풀어주시면 그것또한 큰 도움이 될것같아서 제안드립니다 ^^;
-
미해결
Shadcn의 Toast 컴포넌트가 자동으로 사라지지 않습니다..!
스타일링 할때 shadcn 쓰시는 분 계신가요?특정 버튼을 눌러 toast를 띄운 다음에 toast 영역의 어느곳이든 한번이라도 클릭을 하면해당 toast는 자동으로 사라지지 않더라구요..!(클릭을 한번도 안하면 특정 시간 뒤 자동으로 사라집니다)toast에서 특정 버튼을 누르는 로직이 있어서 한번은 클릭하는데 클릭한 뒤 사라지지 않아서 이 부분 고민입니다..! 혹시 아시는 분 계실까요~? 아래는 shadcn toast의 공식문서입니다.https://ui.shadcn.com/docs/components/toast#usage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투두리스트 렌더링 강의 부분에서 질문있습니다.
현재 투두리스트 렌더링하기 강의에서 List 컴포넌트 부분에서 todos.map을 돌리고 TodoItem 컴포넌트에 {...todo}로 mockData에 있는 객체를 구조분해할당으로 풀어서 키를 props로 전달하는데 전달할때 보통 todo={...todo} 이렇게 보내지 않고 그냥 {...todo} 이렇게 앞에 todo= 이런식으로 작성하지 않은 이유가 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고급편
스프링 AOP 프록시에 대한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스프링 AOP 프록시는 빈 하나당 하나의 프록시만 만든다고 알고 있습니다. 혹시 @Transcational을 선언한 클래스가@Asepct로 선언한 어드바이저의 포인트컷에 들어가게 된다면 프록시는 하나 생성 후 어드바이저의 어드바이스와 트랜잭션 AOP 코드들도 어드바이스로 들어간다고 생각하는게 맞을까요??
-
미해결블렌더 입문 : UX/UI 디자이너를 위한 3D 아이콘으로 배우는 블렌더!
위치 축, 스케일축이 바닥에서 고정되서 안움직일때
축이 바닥에 고정되있을때 어떻게 해제해야하나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고급편
proxyFactory.setProxyTargetClass(true); 궁금한거 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proxyFactory.setProxyTargetClass(true);하면 인터페이스가 있어도 CGLIB로 프록시를 만든다고 했는데CGLIB는 클래스를 상속해서 프록시를 만드는 거 아니었나요? 어떻게 인터페이스만 있는데 이걸 CGLIB기술로 프록시를 생성하는거죠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구글 로그인 구현하기
안녕하세요 제로초님! 완강하고 지금 구글 로그인 구현중입니다.구글로 로그인하다가 마지막에 인가토큰받는 부분에서 404 에러가나는데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도와주세요 ㅠ_ㅠ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Flutter 3.0 앱 개발 - 10개의 프로젝트로 오늘 초보 탈출!
에뮬레이터가 실행하는데 오류가 납니다 - 2
자바 버전 : 21.0.5gradle 버전 : 8.6 설치되어 있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배치
retry count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강사님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해당 RetryListener 예제에서 조금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 글 남깁니다.CustomItemProcessor에서 아이템이 2일 때 예외가 1번 발생하고 CustomItemWriter에서도 아이템이 2일 때 예외가 1번 발생(예외 총 2번 발생)CustomRetryListener의 onError() 메소드가 총 2번 호출되는데 두 번째 호출될 때 context.getRetryCount()가 2로 찍혀야 되는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들었습니다.제가 해당 예제를 따라서 실습할 때도 그렇고 강의 화면을 봐도 retry count가 모두 1로 찍히고 있습니다.동일한 아이템이어도 process할 때와 write할 때 retry count가 다르게 적용되는 것일까요..?확인해주시고 답변 주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직장인에게 꼭 필요한 파이썬-아래아한글 자동화 레시피
표 찾아가기 도와주세요...ㅠㅠ
파이썬 pyhwpx 이용해서 개인 매크로를 만들고 있는데 ..막히는 부분이 있어 문의드립니다원하는 기능은 문서 내 모든 표를 저장하고 하나씩 순회하면서 매크로를 적용시키려합니다..근데 표 글자처럼 취급을 해제시키면 hwp.get_into_nth_table(Table_index)이 코드로는 그 인덱스번호 표의 첫번째 셀로 가지 않았습니다.. hwp.move_to_ctrl(Table_list[Table_index]) hwp.find_ctrl() hwp.ShapeObjTableSelCell()아니면 이렇게 컨트롤을 넣어서 해도 안으로 안갔습니다..hwp.select_ctrl(Table_list[Table_index])이 함수 사용하니까 선택은 되는데 셀 전체 선택이 또 안되더라구요.ㅠㅠ 그리구 표 하나씩 넘길때마다 조판부호 같은게 켯다꺼지네용;; 글자처럼 취급하지 않은 표를 조작할 방법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
구매 한 강의가 나오지 않음
강의를 구매하였는데강의를 구매 하였는데.나오지가 않음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실무 코드스타일 질문
FileReader(FILE_NAME)이렇게 생성하면 시스템의 기본 디폴드 캐릭터셋을 사용한다고했습니다. 그런데 실제로 실무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고 배포하면 어떤 환경에서 실행될지모르기때문에 코드안에 캐릭터셋을 지정해주는 편인가요? FileReader(FILE_NAME, UTF-8)이렇게요개발하는입장에선 당장은 캐릭터셋을 지정안해도되지만 추후에 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환경을 고려해서 적어주는게 바람직할까요.?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TreeSet을 사용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저는 HashSet을 사용해서 풀었는데요!public int solution(int n, int k, int[] arr) { int answer = -1; // HashSet으로 변경 Set<Integer> set = new HashSet<>(); // 모든 3개 조합의 합을 HashSet에 추가 for (int i = 0; i < n; i++) { for (int j = i + 1; j < n; j++) { for (int l = j + 1; l < n; l++) { set.add(arr[i] + arr[j] + arr[l]); } } } // HashSet을 List로 변환 List<Integer> list = new ArrayList<>(set); // 내림차순 정렬 Collections.sort(list, Collections.reverseOrder()); // K번째 값 반환 if (list.size() >= k) { return list.get(k - 1); } return answer; }커뮤니티 보니 treeSet을 사용하는 이유가 "같은 숫자의 카드가 여러장 있을 수 있습니다."라고 하셨는데, 강의 내에 코드는 3개의 카드를 더한 값에 대한 중복 제거지, 각 카드 숫자에 대한 중복을 제거하는건 아니지 않나요..??hashSet을 사용하는게 O(n3)로 시간복잡도가 더 나은 것 같은데 treeSet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를 아직 이해 못했습니다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