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ArrayEx2 질문 입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ublic class ArryaEx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int[] number = new int[5]; System.out.println("5개의 정수를 입력하세요:"); for (int i = 0; i < number.length; i++) { int input = scanner.nextInt(); number[i] = input; } System.out.println("출력"); for (int i = 0; i < number.length; i++) { System.out.print(number[i]); if(i < number.length -1) { System.out.print(","); } }이렇게 하면 정상작동 하는데ublic class ArryaEx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int input = scanner.nextInt(); int[] number = new int[5]; System.out.println("5개의 정수를 입력하세요:"); for (int i = 0; i < number.length; i++) { number[i] = input; } System.out.println("출력"); for (int i = 0; i < number.length; i++) { System.out.print(number[i]); if(i < number.length -1) { System.out.print(","); } }int input = scanner.nextInt() 이걸 for 문 밖에 입력하면 정상 작동을 하지 않습니다.해당 위치는 스코프를 모두 적용할수 있는 위치인데 왜 그런거죠?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타입 안전 열거형 패턴 질문 입니다.
package enumeraion.ref1; public class ClassGrade { public static final ClassGrade BASIC = new ClassGrade(10); public static final ClassGrade GOLD = new ClassGrade(20); public static final ClassGrade DIAMOND = new ClassGrade(30); private final int discountPercent; private ClassGrade(int discountPercent) { this.discountPercent = discountPercent; } public int getDiscountPercent() { return this.discountPercent; } }문득 궁금한게 저런식으로 자기 자신을 호출 하면 이제 다시 각각의 필드에 인스턴스가 생성될텐데 그럼 그 인스턴스가 무한으로 인스턴스를 생성하지는 않는건지 갑자기 그부분이 헷갈려 질문 드립니다.정적필드가 아닐경우에는 더욱이 인스턴스가 생성됨가 동시에 각각의 멤버변수의 인스턴스가 또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형태는 아닌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localhost 8080 서버 안 뜸 문제
https://drive.google.com/file/d/1Napy4xVoywSNcyohTGH3kevfrdSkgfWg/view?usp=sharingrequest 스코프 예제 만들기 중 스프링부트 돌려보니 서버가 열리지 않습니다. 로그를 보니 repository 주입을 뭘 해야할지 모른다 되어있는데 어느부분을 고쳐야 할지 알려주심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제네릭 메서드, 와일드카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제네릭 메서드에서는 <Dog>가 타입추론으로 생략이 가능하다고 하셨는데WildCardEx.<Dog>printGenericV1(dogBox); 와일드 카드의 경우에는 <타입> 해당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안해주셨는데 와일드카드의 경우에는 "<타입>" 은 어떻게 되는 건가요?? 항상 생략인건가요..???WildCardEx.printWildCardV1(dogBox);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log-demo 페이지로 들어갔을 때 404에러가 뜹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16:08:32.949 [main] INFO hello.core.CoreApplication -- Started CoreApplication in 2.149 seconds (process running for 3.122)16:08:32.950 [main] DEBUG o.s.b.a.ApplicationAvailabilityBean -- Application availability state LivenessState changed to CORRECT16:08:32.953 [main] DEBUG o.s.b.a.ApplicationAvailabilityBean -- Application availability state ReadinessState changed to ACCEPTING_TRAFFIC16:08:38.630 [http-nio-8080-exec-1] INFO o.a.c.c.C.[Tomcat].[localhost].[/] -- Initializing Spring DispatcherServlet 'dispatcherServlet'16:08:38.631 [http-nio-8080-exec-1] INFO o.s.web.servlet.DispatcherServlet -- Initializing Servlet 'dispatcherServlet'16:08:38.631 [http-nio-8080-exec-1] DEBUG o.s.web.servlet.DispatcherServlet -- Detected StandardServletMultipartResolver16:08:38.631 [http-nio-8080-exec-1] DEBUG o.s.web.servlet.DispatcherServlet -- Detected AcceptHeaderLocaleResolver16:08:38.631 [http-nio-8080-exec-1] DEBUG o.s.web.servlet.DispatcherServlet -- Detected FixedThemeResolver16:08:38.631 [http-nio-8080-exec-1] DEBUG o.s.web.servlet.DispatcherServlet -- Detected org.springframework.web.servlet.view.DefaultRequestToViewNameTranslator@4be7db1f16:08:38.632 [http-nio-8080-exec-1] DEBUG o.s.web.servlet.DispatcherServlet -- Detected org.springframework.web.servlet.support.SessionFlashMapManager@35f6ed7816:08:38.632 [http-nio-8080-exec-1] DEBUG o.s.web.servlet.DispatcherServlet -- enableLoggingRequestDetails='false': request parameters and headers will be masked to prevent unsafe logging of potentially sensitive data16:08:38.632 [http-nio-8080-exec-1] INFO o.s.web.servlet.DispatcherServlet -- Completed initialization in 1 ms16:08:38.644 [http-nio-8080-exec-1] DEBUG o.s.web.servlet.DispatcherServlet -- GET "/log-demo", parameters={}16:08:38.657 [http-nio-8080-exec-1] DEBUG o.s.w.s.h.SimpleUrlHandlerMapping -- Mapped to ResourceHttpRequestHandler [classpath [META-INF/resources/], classpath [resources/], classpath [static/], classpath [public/], ServletContext [/]]16:08:38.671 [http-nio-8080-exec-1] DEBUG o.s.w.s.r.ResourceHttpRequestHandler -- Resource not found16:08:38.679 [http-nio-8080-exec-1] DEBUG o.s.w.s.m.s.DefaultHandlerExceptionResolver -- Resolved [org.springframework.web.servlet.resource.NoResourceFoundException: No static resource log-demo.]16:08:38.679 [http-nio-8080-exec-1] DEBUG o.s.web.servlet.DispatcherServlet -- Completed 404 NOT_FOUND16:08:38.689 [http-nio-8080-exec-1] DEBUG o.s.web.servlet.DispatcherServlet -- "ERROR" dispatch for GET "/error", parameters={}16:08:38.693 [http-nio-8080-exec-1] DEBUG o.s.w.s.m.m.a.RequestMappingHandlerMapping -- Mapped to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web.servlet.error.BasicErrorController#errorHtml(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sponse)16:08:38.728 [http-nio-8080-exec-1] DEBUG o.s.w.s.v.ContentNegotiatingViewResolver -- Selected 'text/html' given [text/html, text/html;q=0.8]16:08:38.736 [http-nio-8080-exec-1] DEBUG o.s.web.servlet.DispatcherServlet -- Exiting from "ERROR" dispatch, status 40416:08:38.800 [http-nio-8080-exec-2] DEBUG o.s.web.servlet.DispatcherServlet -- GET "/favicon.ico", parameters={}16:08:38.801 [http-nio-8080-exec-2] DEBUG o.s.w.s.h.SimpleUrlHandlerMapping -- Mapped to ResourceHttpRequestHandler [classpath [META-INF/resources/], classpath [resources/], classpath [static/], classpath [public/], ServletContext [/]]16:08:38.803 [http-nio-8080-exec-2] DEBUG o.s.w.s.r.ResourceHttpRequestHandler -- Resource not found16:08:38.803 [http-nio-8080-exec-2] DEBUG o.s.w.s.m.s.DefaultHandlerExceptionResolver -- Resolved [org.springframework.web.servlet.resource.NoResourceFoundException: No static resource favicon.ico.]16:08:38.804 [http-nio-8080-exec-2] DEBUG o.s.web.servlet.DispatcherServlet -- Completed 404 NOT_FOUND16:08:38.804 [http-nio-8080-exec-2] DEBUG o.s.web.servlet.DispatcherServlet -- "ERROR" dispatch for GET "/error", parameters={}16:08:38.804 [http-nio-8080-exec-2] DEBUG o.s.w.s.m.m.a.RequestMappingHandlerMapping -- Mapped to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web.servlet.error.BasicErrorController#error(HttpServletRequest)16:08:38.822 [http-nio-8080-exec-2] DEBUG o.s.w.s.m.m.a.HttpEntityMethodProcessor -- Using 'application/json;q=0.8', given [image/avif, image/webp, image/apng, image/svg+xml, image/*, /;q=0.8] and supported [application/json, application/*+json]16:08:38.825 [http-nio-8080-exec-2] DEBUG o.s.w.s.m.m.a.HttpEntityMethodProcessor -- Writing [{timestamp=Mon Jul 22 16:08:38 KST 2024, status=404, error=Not Found, path=/favicon.ico}]16:08:38.902 [http-nio-8080-exec-2] DEBUG o.s.web.servlet.DispatcherServlet -- Exiting from "ERROR" dispatch, status 40416:08:43.731 [http-nio-8080-exec-3] DEBUG o.s.web.servlet.DispatcherServlet -- GET "/", parameters={}16:08:43.732 [http-nio-8080-exec-3] DEBUG o.s.w.s.h.SimpleUrlHandlerMapping -- Mapped to ResourceHttpRequestHandler [classpath [META-INF/resources/], classpath [resources/], classpath [static/], classpath [public/], ServletContext [/]]16:08:43.733 [http-nio-8080-exec-3] DEBUG o.s.w.s.r.ResourceHttpRequestHandler -- Resource not found16:08:43.733 [http-nio-8080-exec-3] DEBUG o.s.w.s.m.s.DefaultHandlerExceptionResolver -- Resolved [org.springframework.web.servlet.resource.NoResourceFoundException: No static resource .]16:08:43.733 [http-nio-8080-exec-3] DEBUG o.s.web.servlet.DispatcherServlet -- Completed 404 NOT_FOUND16:08:43.733 [http-nio-8080-exec-3] DEBUG o.s.web.servlet.DispatcherServlet -- "ERROR" dispatch for GET "/error", parameters={}16:08:43.734 [http-nio-8080-exec-3] DEBUG o.s.w.s.m.m.a.RequestMappingHandlerMapping -- Mapped to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web.servlet.error.BasicErrorController#errorHtml(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sponse)16:08:43.736 [http-nio-8080-exec-3] DEBUG o.s.w.s.v.ContentNegotiatingViewResolver -- Selected 'text/html' given [text/html, text/html;q=0.8]16:08:43.737 [http-nio-8080-exec-3] DEBUG o.s.web.servlet.DispatcherServlet -- Exiting from "ERROR" dispatch, status 404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hashSet에서 hashCode 메서드를 만들 때 질문이 있습니다.
해당 강의에서 강사님꼐서 IDE를 통해 만드신 hashCode() 오버라이드 메서드는 Object.hash() 함수를 사용했는데요.저도 똑같이 IDE를 통해서 만들었는데, Object.hashCode() 라는 다른 메서드를 사용해서 만들어 주더라고요.둘 다 실험해보니까 잘 작동하긴 했는데, 두 메서드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요?왜 강사님이 하실때는 hash() 메서드가 뜨고 제가 할 때는 hashCode() 메서드를 이용해서 만들어 줄까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프로젝트 생성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오류가 뜹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내부 클래스
안녕하세요! 내부 클래스의 경우 외부 클래스의 인스턴스에 접근할 수 있는 참조값을 가지고 있다고 하셨는데, 그러면 반대로 외부 클래스는 내부 클래스의 인스턴스에 접근할 수 있는 참조값을 가지고 있나요 ?예로 내부 클래스의 활용 8:00 강의 쪽에서Car myCar = new Car() ;myCar.start() 로 가능한가요? ( 여기서 start 메서드는 Car 의 메서드에 있는 start 가 아닌 Engine 클래스 내부에 있는 start() 메서드를 말씀 드린겁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ScannerWhileEx3 에서 질문있습니다 !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해당 코딩에서sum += input;위치를 if 위에 위치해 놓으면 100+100 이었을때 199가나오고 if 아래에 위치하면 정상적으로 나오는데 이유좀 알고 싶어요.<If 위에 위치할때 결과><If 아래에 위치할때 결과>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배열출력 부분에서 질문 있습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System.out.println("coiedArray = " + copiedArray); 배열을 그냥 출력하면 배열에 참조값이 나온다고 말씀하셨는데,System.out.println(+ copiedArray);이 코드로 출력해보면 참조값이 나오지 않고 hello가 나옵니다.이게 +때문에 참조값이 나오는게 아닌가 해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업캐스팅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1. CastingMain3에서 굳이 업캐스팅을 하지 않아도, 자식은 부모의 메서드 기능(child.parentMethod)을 곧 바로 이용을 할 수 있는데, 왜 parent라는 변수에 업캐스팅을 해야하나요? child.parentMethod가 가능한데 parent1, 2에 업캐스팅 후에 parentMethod를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부모는 자식의 기능을 이용하지 못하니까 다운캐스팅의 이유는 명확했는데, 업캐스팅의 이유는 무엇인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정렬-1 강의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static class AscComparator implements Comparator<Integer>{ @Override public int compare(Integer o1, Integer o2) { System.out.println("o1=" + o1 +" o2=" + o2); return (o1 < o2) ? -1 : ((o1==o2) ? 0 :1); } }위 메서드에 대하여 질문을 드립니다.Integer[] arr = {3,2,1}을 설정하였고Arrays.sort(arr , new AscComparator());기존 배열을 정렬하는데 제시된 기준으로 정렬을 할 것이라는 것까지는 이해하였습니다.해당 메서드의 경우 o1 & o2에 대한 값을 먼저 출력을 한다음 서로 값 비교를 하는데왜 o1에는 3이 아니라 2가 출력이 되고 o2에는 3이 출력되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이넘 생성자(enum) 선언 할때(코딩 컨베션? 맞냐요?)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열거형(enum)을 복습하다가 생성자 를 만들때 현업에서는 어떤 방법(코딩 컨베션이라할까요?)을 많이 쓰는지 궁금해서 질문을 드립니다.ref2 풀더 Grade라는 enum 클래스 를 보시면 영한님은 열거형 필드값?(맞는 말인지 모르겠네요)을 보시면1번째 사진처럼 하더라고요,.그리고 저가 이해하기 쉬울 려고, 주석을 추가 하였는데,2번째 사진 처럼, 할 경우도 있을 것 같아서 질문을 드립니다.현업 개발자분들은 첫번째 or 두번째 사진중 어느 방법을 선호하시고? 쓰시는지 궁금합니다.답변 부탁 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gradle 오류
로 했는데 이렇게 뜹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섹션 1. 교안에 오타있습니다!
멀티태스킹과 멀티프로세싱ㄴ첫 번째 줄에 '기념 개념들에 대해서' -> 기본 개념들에 대해서단일 프로그램 실행ㄴ그림5 다음 설명에서 '프로그램 안에 있는 코드를 모두 후에야'-> 모두 실행한 후에야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IllegalStateException
CoreApplicationTests를 run 했을 때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 라이브 코딩으로 똑같이 따라했는데 왜 그러는걸까요? ㅠㅠ 구글 드라이브 링크 첨부합니다... 도와주세요 ㅠ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Failed to load ApplicationContext for [MergedContextConfiguration@298d9a05 testClass = hello.core.CoreApplicationTests, locations = [], classes = [hello.core.CoreApplication], contextInitializerClasses = [], activeProfiles = [], propertySourceDescriptors = [], propertySourceProperties =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ContextBootstrapper=true"], contextCustomizers =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actuate.observability.ObservabilityContextCustomizerFactory$DisableObservabilityContextCustomizer@1f,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properties.PropertyMappingContextCustomizer@0,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web.servlet.WebDriverContextCustomizer@4ef37659,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filter.ExcludeFilterContextCustomizer@306cf3ea, org.springframework.boot.test.json.DuplicateJsonObjectContextCustomizerFactory$DuplicateJsonObjectContextCustomizer@52102734, org.springframework.boot.test.mock.mockito.MockitoContextCustomizer@0, org.springframework.boot.test.web.client.TestRestTemplateContextCustomizer@4d910fd6,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Annotation@e50e93c5], contextLoader =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ContextLoader, parent = null] 구글 드라이브 링크 :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KhcvynthGyhTtm1G1hGlFdkD7R1eHDBN?usp=sharing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내부 클래스의 활용 질문드립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Car 클래스 구현 과정에서 변수 생성에 이해 안 가는 부분이 있습니다.처음에 변수를private String model;private int chargedLevel;private Engine engine;으로 한 뒤 생성자로 각각 인스턴스 변수를 만들었는데요.이때 생성자 안에 this.engine = new Engine(this) 부분에서, 따로 위에서 선언한 private Engine engine은 어떤 역할을 하는 건가요?클래스 안에서 선언한 변수를 생성자에 집어 넣을 때 각각 파라미터로 집어 넣어서 인스턴스 변수로 만드는 거라 생각했는데 코드를 보면 engine은 파라미터로 들어가지 않는 것 같아서요.막상 그 줄이 없으면 this.engine이 성립이 안 되는데 이게 어떤 방식으로 구현되는 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초기화 위치 관련 질문입니다
[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저는 필드변수 선언하면서 "" 로 초기화해줬고샘은 기본생성자에서 ""로 초기화 해주셨는데둘의 차이가 어떤걸까요?
-
미해결Java/Spring 주니어 개발자를 위한 오답노트
의존성 주입에서 파라미터 주입과 필드 주입 관련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의존성 주입의 예시가 Chef의 멤버 변수에 대한 의존성 주입 예시라고 이해했는데 파라미터 주입 예시 코드에서 Chef의 멤버변수에 값을 넣어주는 코드가 없는거 같아서 잘 이해가 되지 않아 질문드립니다. 강사님께서 7분 34초에 setter와 멤버 변수를 이용해서 받는 필드 주입이 있다고 하셨는데 제가 다른 래퍼런스를 찾아본 결과 강사님께서 설명해주신 부분을 setter 주입이라고 하고 필드 주입은 @Autowired 어노테이션을 통한 주입이라고 설명하더라고요 그래서 이 부분에서 혼동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수업내용 질문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코드 부분에서 private K3 k3부분이 this를 통해서 참조값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이해를 했는데 맞게 이해한 건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