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파이썬을 활용한 머신러닝 딥러닝 입문
MAtplotlib 기초
OOP style 부분에서 자꾸 name 'fig' is not defined라고 오류가 나는데 어떻게 해결하나요..?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노드, 리액트 시리즈 - 기본 강의
9강 오류 어떻게 해결하나요?
연결이 안되네요. 오류 메세지를 올릴게요. MongooseError: The uri parameter to openUri() must be a string, got "undefined". Make sure the first parameter to mongoose.connect() or mongoose.createConnection() is a string. at NativeConnection.createClient (D:\inflearn\boiler-plate\node_modules\mongoose\lib\drivers\node-mongodb-native\connection.js:225:11) at NativeConnection.openUri (D:\inflearn\boiler-plate\node_modules\mongoose\lib\connection.js:835:34) at connect (D:\inflearn\boiler-plate\node_modules\mongoose\lib\mongoose.js:447:15) at file:///D:/inflearn/boiler-plate/index.js:19:1 at ModuleJob.run (node:internal/modules/esm/module_job:268:25) at async onImport.tracePromise.__proto__ (node:internal/modules/esm/loader:543:26) at async asyncRunEntryPointWithESMLoader (node:internal/modules/run_main:116:5)Example app listening on port 5000node:internal/modules/esm/resolve:257 throw new ERR_MODULE_NOT_FOUND( ^Error [ERR_MODULE_NOT_FOUND]: Cannot find module 'D:\inflearn\boiler-plate\config\dev' imported from D:\inflearn\boiler-plate\config\key.js at finalizeResolution (node:internal/modules/esm/resolve:257:11) at moduleResolve (node:internal/modules/esm/resolve:913:10) at defaultResolve (node:internal/modules/esm/resolve:1037:11) at ModuleLoader.defaultResolve (node:internal/modules/esm/loader:650:12) at #cachedDefaultResolve (node:internal/modules/esm/loader:599:25) at ModuleLoader.resolve (node:internal/modules/esm/loader:582:38) at ModuleLoader.getModuleJobForImport (node:internal/modules/esm/loader:241:38) at onImport.tracePromise.__proto__ (node:internal/modules/esm/loader:542:36) at TracingChannel.tracePromise (node:diagnostics_channel:337:14) at ModuleLoader.import (node:internal/modules/esm/loader:541:21) { code: 'ERR_MODULE_NOT_FOUND', url: 'file:///D:/inflearn/boiler-plate/config/dev'}Node.js v22.11.0 at moduleResolve (node:internal/modules/esm/resolve:913:10) at defaultResolve (node:internal/modules/esm/resolve:1037:11) at ModuleLoader.defaultResolve (node:internal/modules/esm/loader:650:12) at #cachedDefaultResolve (node:internal/modules/esm/loader:599:25) at ModuleLoader.resolve (node:internal/modules/esm/loader:582:38) at ModuleLoader.getModuleJobForImport (node:internal/modules/esm/loader:241:38) at onImport.tracePromise.__proto__ (node:internal/modules/esm/loader:542:36) at TracingChannel.tracePromise (node:diagnostics_channel:337:14) at ModuleLoader.import (node:internal/modules/esm/loader:541:21) { code: 'ERR_MODULE_NOT_FOUND', url: 'file:///D:/inflearn/boiler-plate/config/dev'}Node.js v22.11.0 code: 'ERR_MODULE_NOT_FOUND', url: 'file:///D:/inflearn/boiler-plate/config/dev'}
-
해결됨아키텍처와 함께하는 부하(성능) 테스트 with Locust
성능 병목 지점 확인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강사님 성능 병목 지점을 확인하는 방법 관련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강의 내용에서는 강제로 time.sleep(5)를 삽입하여 전과 후를 비교하기 때문에 어디가 병목인지 예상을 하며 결과를 보기 때문에 그나마 응답시간이나 RPS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요 일반적으로 개발 후 테스트 할 때는 순수하게 결과만으로 병목지점을 찾아야 하는데 (일부로 병목지점을 넣은게 아니라면), 결과 값만 가지고 병목지점을 찾는 내용은 따로 없을까요 ? (혹시 병목지점을 찾는 강의 내용은 성능 병목 지점 만들고 결과 분석 강의의 수업노트에 있는 내용이 다인걸까요?)성능 병목 지점 만들고 결과 분석 강의의 수업노트를 보면 TPS 분석이 있습니다. Locust도 TPS를 측정한게 있나요 ? RPS만 보여서요.감사합니다.
-
해결됨C++을 이용한 자체 엔진 제작(유니티 엔진 클론코딩)
강좌완결
win api 게임만들기 강좌를 찾다가 여기까지 왔는데 이강좌가 이과정에서 끝인가요? 이이상 업데이트 안되는거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Serializable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제가 토이 프로젝트를 진행했을 때 엔티티에 implements Serializable를 하지 않았을 때 오류가 나지 않고 정상적으로 잘 되었는데(스프링 부트 3.2.4 사용 했습니다)강사님 께서는 앞선 카탈로그 엔티티 및 오더 엔티티에서 둘 다 Serializable를 implements 하셨는데 강의 말씀 하시기를 직렬화 때문에 사용을 하셨다고 말씀해주셨는데 해당과정에서 Serializable을 implements 을 하지 않으면 어떤 부분에서 오류가 나는지 여쭤 볼 수 있을까요??어느 부분에서 implements Serializable가 필요한 부분인지 모르겠습니다 ㅠㅠ보통 일반적으로 스프링에서 Jackson? 으로 직렬화를 자동으로 지원해주어 implements를 따로 해줄 필요가 없다고 알고 있었습니다.기초적인 질문이었다면 먼저 죄송하다는 말씀 드리면서 질문 드리겠습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개정판 2023-11-27] Spring Boot 3.x 를 이용한 RESTful Web Services 개발
현재 GIT에 올리신 소스를 실행해봤습니다.
현재 GIT에 올리신 소스를 실행해봤습니다. 그런데 시큐리티 비밀번호가 콘솔창에 뜨지 않습니다. 그리고 application.yml에서 시큐리티 관련 비밀번호 주석을 풀고 실행을 해도, rest api가 인증 없이도 호출되는 것 같습니다. 어떤 부분에서 설정이 빠진 것일까요?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5-T 맞왜틀 질문있습니다.
어떻게 테스트 케이스는 다 통과하는데 1%에서 틀리는데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제가 어디서 잘못했을까요?한 이틀정도 박았는데 도저히 모르겠습니다...http://boj.kr/360ff010bbfb4bde8218e80bc42b796f감사합니다.
-
해결됨아키텍처와 함께하는 Terraform (테라폼 모듈)
VSCODE EXTENSION
vscode 사용하시는 extension 이 무엇있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배달앱 클론코딩 [with React Native]
ios 앱 빌드 중 hermesEnabled 관련 오류발생
터미널에 which node 했을 때 나온 node의 경로와 xcode에서 빌드할 때받는 경로가 일치하지 않아 문제가 발생가는 것 같은데 어떤 부분을 수정해야할지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xcode에서 빌드과정 중 발생한 오류 전문입니다.Node found at: /opt/homebrew/Cellar/node/23.4.0/bin/node/Users/bbxgu/Library/Developer/Xcode/DerivedData/Spray_test1-habyfnbzlisxndgxhjrqnmzxpxjp/Build/Intermediates.noindex/Pods.build/Debug-iphonesimulator/hermes-engine.build/Script-46EB2E00018FC0.sh: line 9: /opt/homebrew/Cellar/node/23.4.0/bin/node: No such file or directoryCommand PhaseScriptExecution failed with a nonzero exit code보시는 것 과 같이 불러오는 node의 경로와 버전이 which node 의 경로와 다릅니다..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2-H 맞왜틀
https://www.acmicpc.net/source/87670511 어느 부분이 잘못된 건지 찾지를 못하겠어요..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3-D,E,F,G,H,I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큰돌님, 현재 큰돌님 영상 보며 코테 준비하는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이번 3주차 DEFGHI를 풀면서 그나마 쉬운거는 저만의 코드로 짰다가 큰돌님 영상을 보고 난 뒤 효율적인 코드로 바꾸고. 좀 어렵겠다 싶은거는 고민하다가 모르겠어서 강의를 통해 해설을 확인했습니다.결국 DEFGHI중 제가 온전히 풀어낸 것 하나 없이 모두 큰돌님 해설만 보고 풀어낸 것이라 이게 괜찮은 것일지... 여쭈어보고싶습니다. 다만 이런 식으로 해설을 많이 참조한 문제들은 완강하고 난 뒤 다시 풀어 볼라고 다 체크해두고 있습니다! 결론 : 6문제 연속 제대로 못풀고 해설을 보는데 괜찮을까요
-
해결됨[임베디드 입문용] 임베디드 개발은 실제로 이렇게 해요.
OneWire_WriteBit와 OneWire_ReadBit함수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if (bit){/* Set line low */ONEWIRE_LOW(OneWireStruct);ONEWIRE_OUTPUT(OneWireStruct);ONEWIRE_DELAY(10); /* Bit high */ONEWIRE_INPUT(OneWireStruct); /* Wait for 55 us and release the line */ONEWIRE_DELAY(55);ONEWIRE_INPUT(OneWireStruct);} 위는 OneWire_WriteBit의 한 부분으로 이 부분에서 LOW로 만들어서 output모드로 만든 다음에 10us만큼 딜레이를 줘서 input 모드로 만들어서 버스를 high로 만드는 것이라고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이 이후에 딜레이를 55us 만큼 준 다음에 다시 input 모드로 만드는 이유는 무엇인가요?inline uint8_t OneWire_ReadBit(OneWire_t* OneWireStruct){uint8_t bit = 0; /* Line low */ONEWIRE_LOW(OneWireStruct);ONEWIRE_OUTPUT(OneWireStruct);ONEWIRE_DELAY(2); /* Release line */ONEWIRE_INPUT(OneWireStruct);ONEWIRE_DELAY(10); /* Read line value */if (HAL_GPIO_ReadPin(OneWireStruct->GPIOx, OneWireStruct->GPIO_Pin)) {/* Bit is HIGH */bit = 1;} /* Wait 50us to complete 60us period */ONEWIRE_DELAY(50); /* Return bit value */return bit;}그리고 OneWire_ReadBit에서 input모드로 바꾸는 것이 버스를 high로 만든다는 것을 주석으로 짐작한거라서 정확히 바꾼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input모드가 디폴트 모드인건가요?
-
해결됨350개의 개인 앱을 만들어 월급의 7배 수익을 달성한 방법
계정 정지 관련한 질문
대표님 안녕하세요.개인 계정으로 앱을 운영중입니다.명의가 같은 개인 계정이 3개 정도가 있는데요.현재 1개의 개인 계정에서 2번 정지가 되었는데,그래서 이 계정은 이제 안쓰려고 합니다.근데 명의가 같은 다른 계정에서 추가적으로 1번 더 정지가 되면총 3회 정지로 계정이나 제 명의 자체가 정지가 되게 될까요?이거 명의 기반인지 계정 기반인 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npm create vite@latest 에러
섹션 5 4.2 첫 React App 생성하기 - 3분 3초 npm create vite@latest 입력 시 아래와 같은 에러가 납니다. 예전에 vue 프로젝트를 만들 때도 똑같은 에러가 났는데 구글에 검색하고 생성형 AI에 물어봐도 해결이 안 돼서 질문 드립니다,,에러 코드: $ npm create vite@latest> npx> create-vitenpm error code 3221225477npm error path C:\Onebite_Reactnpm error command failednpm error command C:\WINDOWS\system32\cmd.exe /d /s /c create-vitenpm error A complete log of this run can be found in: C:\Users\조현희\AppData\Local\npm-cache\_logs\2024-12-20T17_22_12_873Z-debug-0.log/c/Program Files/nodejs/npm: line 65: 1280 Segmentation fault "$NODE_EXE" "$NPM_CLI_JS" "$@"
-
해결됨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Redis 입문/실전 (조회 성능 최적화편)
aws elasticcache redis 툴 접속.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들었습니다.강의를 듣다보니 의문이 드는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redis를 사용하다 보면 redisinsight같은 gui 툴을 통해 데이터를 확인하는데 운영관점에서 더 편한데요.aws elasticcache redis가 외부 로컬에서 접속이 안되면aws elasticcache는 데이터 확인을 툴로 못하는건가요? 실무에서 운영을 하다보면 분명 직접 데이터를 체크를 해야하는 케이스가 발생하는데 이걸 일일이 cli 명령어 찾는다는 것은 돈을 주고 aws 사용하는 고객입장에서는 너무 불편하다고 생각들어 문의드립니다.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트랜잭션 내부 호출 질문 관련하여 질문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트랜잭션 내부 호출관련하여 질문있습니다. 강의에서 언급해주신대로, 트랜잭션이 적용되지 않은 External()함수가 트랜잭션이 적용된 Internal() 함수를 내부 호출할 경우, Internal() 함수에 트랜잭션이 적용되지 않는 다는 것을 이해했습니다.만약, 이 경우처럼 트랜잭션이 적용된 Login() 함수가 똑같이 트랜잭션이 적용된 getSocialInfo() 메서드를 호출할 경우에는, 어떻게 동작하는지 궁금합니다. 똑같이 내부 호출이기 때문에 무시되는지, 아니면 트랜잭션이 따로 적용되지만 전파 기본 옵션인 REQUIRED에 따라 자동으로 같은 물리 트랜잭션으로 묶이는 방식으로 동작하는지 궁금합니다. 이 경우, getSocialInfo의 트랜잭션 전파 옵션을 NOT_SUPPORT 로 설정한다면 정상적으로 전파 옵션이 적용되는지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
강의 재생 - 재생에 문제가 생겼어요
"재생에 문제가 생겼어요. 문제가 지속되면 문의해주세요." 라는 창이 뜨면서에러 발생하는데 왜 그러는지 아시는 분 있나요?나갔다 오고 다른 강의 재생하고 별 걸 다해봐도 소용이 없네요.저만 이러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cas 연산3 incrementAndGet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CAS 연산3에서 질문이 있는데요, 아래는 incrementAndGet을 학습용으로 만들어주신 메서드입니다.private static int incrementAndGet(AtomicInteger atomicInteger) { int getValue; boolean result; // 읽고 -> 읽은 값이 바뀌지 않았는지 확인하고 -> 업데이트 // [읽은 값이 바뀌지 않았는지 확인하고 -> 업데이트] 이 부분을 CAS 연산으로 보장 do{ getValue = atomicInteger.get(); log("getValue : " + getValue); sleep(100); // 스레드 동시 실행을 위해 잠시 대기 // 읽은 값이 그대로 있다면(벽경되지 않았다면) 내가 의도한 값을 넣어라! result = atomicInteger.compareAndSet(getValue, getValue+1); log("result: " + result); } while(!result); //compareAndSet이 실패했으면 계속 다시 해라 return getValue + 1; // atomicInteger.get() 하지 않는 이유 <- 그새 다른 스레드가 값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 } 이 코드에서 보면값을 어플리케이션으로 가져와서 -> CAS연산을 시키고 충돌이 발생할 경우 재실행을 시키는데 애초부터 CPU한테 +1을 하는 것을 시키면 굳이 낙관적락을 적용할 필요가 없지 않나요? 굳이 어플리케이션으로 가져와서 검증을 하는 이유를 아무리 생각해봐도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
-
해결됨MongoDB를 활용하여, 200억건 이상의 데이터 파이프라인 작성법
WriteConflict 질문있습니다
강사님, 잘듣고 있습니다write-conflict라는건 흔히 RDB의 Row level Lock과 동일하다고 보면 될까요?JPA 를 언급하셨는데, 어노테이션 기반 @Transactional 이나 ClientSession 객체를 사용한 수동세션 설정이 아니면 요 이슈는 생기지않는 것 같아요, 설명해주신 부분이 요것일까요? 트랜잭션이 불필요한 서비스에만 부분적으로 몽고를 도입하려는데, 저 같은 경우엔 이 이슈를 겪을 일이 거의 없겠네요 😅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프로젝트 생성 강의 관련 질문드립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프로젝트 생성 강의 듣고나서 떠오르는 2가지 질문이 있어 글을 올려봅니다! 1) 먼저, 제가 start.spring.io에선 자바 17버전으로 프로젝트를 시작했는데, 막상 main 메서드를 실행시켜서 스프링부트 애플리케이션을 띄울 때 콘솔에는2024-12-19T20:15:54.366+09:00 INFO 38362 --- [hello-spring] [ main] h.hello_spring.HelloSpringApplication : Starting HelloSpringApplication using Java 21.0.5 with PID 38362 (/Users/.../Desktop/study/hello-spring/build/classes/java/main started by ... in /Users/.../Desktop/study/hello-spring)이렇게 왜 자바 21.0.5버전을 사용하고 있다고 나올까요? 이미 제 맥북에 21버전 자바가 설치되어서 그런걸까요??build.gradle에는java { toolchain { languageVersion = JavaLanguageVersion.of(17) } }이렇게 17버전으로 올바르게 되어있긴 합니다! 2) 선생님께서 인텔리제이 Preferences > Gradle에서 Build and run using을 Gradle로 되어있는 걸 인텔리제이로 바꾸면 더 빠르게 실행할 수 있다고 하셨는데,만약, Gradle (Default)로 설정된 경우 > 인텔리제이 화살표 버튼을 클릭했을 때 자바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고 빌드 과정을 포함해서 빌드를 진행하고 스프링부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IntelliJ IDEA로 설정된 경우 > 인텔리제이 화살표 버튼을 클릭했을 때 자바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고 빌드를 진행하지 않고 스프링부트 애플리케이션을 바로 실행하기 때문에 더 빠르게 실행된다고 하신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