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테스트 오류 질문
ApplicationContext failure threshold (1) exceeded: skipping repeated attempt to load context for [WebMergedContextConfiguration@33a71d23 testClass = jpabook.jpashop.service.MemberServiceTest, locations = [], classes = [jpabook.jpashop.JpashopApplication], contextInitializerClasses = [], activeProfiles = [], propertySourceDescriptors = [], propertySourceProperties =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ContextBootstrapper=true"], contextCustomizers =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actuate.observability.ObservabilityContextCustomizerFactory$DisableObservabilityContextCustomizer@1f,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properties.PropertyMappingContextCustomizer@0,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web.servlet.WebDriverContextCustomizer@55dfcc6,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filter.ExcludeFilterContextCustomizer@25bfcafd, org.springframework.boot.test.json.DuplicateJsonObjectContextCustomizerFactory$DuplicateJsonObjectContextCustomizer@eda25e5, org.springframework.boot.test.mock.mockito.MockitoContextCustomizer@0, org.springframework.boot.test.web.client.TestRestTemplateContextCustomizer@2d96543c,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Annotation@8b5a38a4], resourceBasePath = "src/main/webapp", contextLoader =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ContextLoader, parent = null]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ApplicationContext failure threshold (1) exceeded: skipping repeated attempt to load context for [WebMergedContextConfiguration@33a71d23 testClass = jpabook.jpashop.service.MemberServiceTest, locations = [], classes = [jpabook.jpashop.JpashopApplication], contextInitializerClasses = [], activeProfiles = [], propertySourceDescriptors = [], propertySourceProperties =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ContextBootstrapper=true"], contextCustomizers =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actuate.observability.ObservabilityContextCustomizerFactory$DisableObservabilityContextCustomizer@1f,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properties.PropertyMappingContextCustomizer@0,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web.servlet.WebDriverContextCustomizer@55dfcc6,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filter.ExcludeFilterContextCustomizer@25bfcafd, org.springframework.boot.test.json.DuplicateJsonObjectContextCustomizerFactory$DuplicateJsonObjectContextCustomizer@eda25e5, org.springframework.boot.test.mock.mockito.MockitoContextCustomizer@0, org.springframework.boot.test.web.client.TestRestTemplateContextCustomizer@2d96543c,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Annotation@8b5a38a4], resourceBasePath = "src/main/webapp", contextLoader =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ContextLoader, parent = null]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cache.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loadContext(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java:145)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support.DefaultTestContext.getApplicationContext(DefaultTestContext.java:130)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web.ServletTestExecutionListener.setUpRequestContextIfNecessary(ServletTestExecutionListener.java:191)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web.ServletTestExecutionListener.prepareTestInstance(ServletTestExecutionListener.java:130)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TestContextManager.prepareTestInstance(TestContextManager.java:260)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JUnit4ClassRunner.createTest(SpringJUnit4ClassRunner.java:228)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JUnit4ClassRunner$1.runReflectiveCall(SpringJUnit4ClassRunner.java:289)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JUnit4ClassRunner.methodBlock(SpringJUnit4ClassRunner.java:291)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JUnit4ClassRunner.runChild(SpringJUnit4ClassRunner.java:247)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JUnit4ClassRunner.runChild(SpringJUnit4ClassRunner.java:97)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tatements.RunBeforeTestClassCallbacks.evaluate(RunBeforeTestClassCallbacks.java:61)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tatements.RunAfterTestClassCallbacks.evaluate(RunAfterTestClassCallbacks.java:70)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JUnit4ClassRunner.run(SpringJUnit4ClassRunner.java:191)계속 오류나서 Memberservice MemberRepository 랑 test 다 코드 복붙했는데도 오류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파라미터 정의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우선 저는파라미터는 메소드의 매개변수로 넘겨지는 값을 의미한다고 알고 있습니다그리고 api 개발에서 보통 파라미터를 dto로 넘긴다고 알고 있습니다. 근데 실무에서 파라미터라고 하면 대게 요청, 응답값만 이용되고 개발자들끼리 파라미터 뭐로 설정했냐 등 얘기가 나올때의 파라미터로는 필수값을 의미한다 라고 얘기를 들었습니다. 그러니까 선택적으로 넘기는 경우도 있겠고, 메소드 내부에서 다른 메소드로 넘기는 파라미터도 있겠지만다른 개발자랑 대화하는 과정에서 파라미터 뭐로 설정했냐 등 얘기가 나오게 될 경우 요청 중 필수값(not null)에 대한 얘기인거다.선택값도 있겠지만 보통 파라미터로 선택값이 넘어가는 경우는 많지 않다메소드 내에서 넘겨지는 값은 어차피 나 혼자 확인하는거라 다른 개발자한테 말할 필요가 없다 라고 말 해주셨는데 진짜 인가요?그러니까 이론 상의 파라미터 정의와실무에서의 파라미터 정의가 다른 것 같다고 하더라고요.. 저는 강의를 보고 controller 에서 dto를 파라미터로 넘기고, 그 dto에는 설계에 따라 다르겠지만 필수, 선택값들이 혼용된 채 사용 될 수 있다고 이해했는데실무에서는 파라미터의 정의가 다르게 사용되고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Java/Spring 테스트를 추가하고 싶은 개발자들의 오답노트
2부 마지막 리팩토링 3:30쯤
2부 마지막 리팩토링 0:49에서, "service인데 controller.port를 잘못 참조했다"라고 하셨는데요.이를 수정하고 나신 후인 3:30쯤에서도, 여전히service(의 UserServiceImpl)가 controller(의 Port의 UserService)에 의존하는 상황이지 않나요?제 생각엔 Port 자체를 controller 밖으로 꺼내는 게 의미상 더 좋지 않을까 싶은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User Service - 프로젝트 생성 강의 듣고 있는데요.
User Service - 프로젝트 생성 강의 듣고 있는데요.저는 yml에서 아래처럼 주었는데요.server: prot: 8761http://localhost:8761/eureka/ 뜨다가 포트는 8080으로 시작한다는 메세지가 조회되는데요. 컴퓨터 내부에서 포트를 8761쓰다가 자동으로 8080으로 바꿨다는 얘기인가요?2024-07-17T18:27:14.441+09:00 INFO 11100 --- [discover] [ main] c.n.eureka.cluster.PeerEurekaNodes : Adding new peer nodes [http://localhost:8761/eureka/]2024-07-17T18:27:06.225+09:00 INFO 11100 --- [discover] [ main] o.s.b.w.embedded.tomcat.TomcatWebServer : Tomcat started on port 8080 (http) with context path ''2024-07-17T18:52:42.764+09:00 INFO 10484 --- [discover] [ main] .s.c.n.e.s.EurekaAutoServiceRegistration : Updating port to 80802024-07-17T18:52:43.848+09:00 INFO 10484 --- [discover] [ main] c.e.d.DiscoveryApplication : Started DiscoveryApplication in 13.147 seconds (process running for 16.512)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양방향 매핑시 양쪽에 값을 넣어야 하는 이유?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강의 내용을 보면, 연관관계의 주인에 값을 입력해야 한다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그 뒤로는 항상 양쪽다 값을 입력해야 한다고 하시는데, 어느 말이 맞는지 혼동이 옵니다.Team team=new Team(); team.setName("TeamA"); em.persist(team); Member member=new Member(); member.setUsername("member1"); member.setTeam(team); em.persist(member); em.flush(); em.clear(); Team findTeam=em.find(Team.class,team.getId()); List<Member> members=findTeam.getMembers(); for(Member m:members){ System.out.println(m.getUsername()); } tx.commit();에서 연관관계의 주인에 team을 설정하였습니다. FK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team.getMembers().add(member)을 하지 않아도 for문에서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조회됩니다. 그런데 flush와 clear를 제거하면 데이터가 조회되지 않습니다. 영속성 컨텍스트에 저장될 때도 generateValue가 발동되어 id값이 생성되어 저장되는걸로 아는데, 왜 빈 객체로 저장된다고 하시는건지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JPQL은 타입안정성을 보장하나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JPQL은 타입 안정성을 보장하나요?컴파일 시점에 오류라는 것이 코드를 작성할 때, 빨간 줄이 생기며 오류메시지가 나오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JPQL은 문자열로 쿼리를 작성하기 때문에 컴파일 시점에서 오류를 알 수 없다고 생각했는데요. 강의를 따라가다보니 컴파일 시점에서 오류를 알 수 있는 것 같아서 헷갈립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update 메서드의 매개변수 작성 스타일?
// a. public void update( String password, String nickname) { this.password = password; this.nickname = nickname; } // b. public void update(UpdateContent content) { this.password = content.getPassword; this.nickname = content.getNickname; }안녕하세요 update 방식에 대해 궁금한점이 생겼는데, Member 엔터티 클래스 내부에 위와 같이 update 메서드를 둔다고 했을 때, 매개변수의 개수가 많다고 가정하면, 별도의 클래스를 만들어서 b.처럼 전송해주는 방식을 사용해도 괜찮을까요? 엔터티 클래스와 별도의 클래스가 결합?되는 느낌이라 찝찝한데, a.와 b.중 좀 더 정석적인 방식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서버가 이중화 되었을때 MemberService.java join()과 관련된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MemberService.java 내에서 join() 함수입니다.@Transactional public Long join(Member member) { validateDuplicateMember(member); //중복회원 검증 memberRepository.save(member); return member.getId(); }이때 member를 저장하면 persist하게 되고, commit까지는 일어나지 않는다고 이해하고 있습니다. db에 저장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면 이중화 시 각 was에 jpa persist된 값이 있을 것 같은데, validateDuplicateMember을 호출할 때 name 컬럼에 unique 제약조건을 줘서 저장이 안되게 한다고 하더라도. validateDuplicateMember는 통과가 되고, 아래 save에서 오류가 나게될 것 같은데요. 제가 생각하는 로직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맞다면 여기에 대한 코드 보완이 따로 필요할 것으로 보여서요. (강의 보완이 아니라, 제가 나중에 코딩할 때 보완을 하려고 합니다:) )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연관관계 주인 질문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연관관계의 주인을 다대일 관계에서 다 쪽에 두라고 하셨는데, 그럼 다대다 관계에서는 연관관계의 주인을 누구로 설정해야 하나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강의 코드를 보면 연관관계로 매핑되어있는 team을 조회하려면 join을 해서 조회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Team findTeam=findMember.getTeam()에서 멤버 테이블 안에 외래키로 존재하는 팀 ID로 팀을 조회하려면 join이 일어나야 하는데, 콘솔 창을 보면 INSERT 문만 존재합니다.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PageResponseDTO 오
TodoServiceImpl에서 PageResponseDTO<TodoDTO> getList 부분에서 오류가 발생합니다. PageResponseDTO혹시 PageResponseDTO 에서 제가 놓친 부분이 있을까요??
-
해결됨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함수선언과 화살표 함수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에서 react는 대부분 함수로 선언하지 않고,화살표 함수를 선언해서 사용해주고 계시는데요, 함수가 아닌 화살표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가 따로 있는지 궁금합니다.함수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가 있다면 그 이유도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H2 데이터베이스 실행시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H2데이터베이스에서 SELECT * FROM MEMBER 후 실행시 HelloJPA가 안나오는데 왜그러시는 알려주세요 ㅠㅠ!!코드사진은 이렇게 아래있습니다! Run할시 :7월 16, 2024 9:33:37 오후 org.hibernate.jpa.internal.util.LogHelper logPersistenceUnitInformationINFO: HHH000204: Processing PersistenceUnitInfo [name: hello]7월 16, 2024 9:33:37 오후 org.hibernate.Version logVersionINFO: HHH000412: Hibernate ORM core version 6.4.2.Final7월 16, 2024 9:33:37 오후 org.hibernate.cache.internal.RegionFactoryInitiator initiateServiceINFO: HHH000026: Second-level cache disabled7월 16, 2024 9:33:37 오후 org.hibernate.engine.jdbc.connections.internal.DriverManagerConnectionProviderImpl configureWARN: HHH10001002: Using built-in connection pool (not intended for production use)7월 16, 2024 9:33:37 오후 org.hibernate.engine.jdbc.connections.internal.DriverManagerConnectionProviderImpl buildCreatorINFO: HHH10001005: Loaded JDBC driver class: org.h2.Driver7월 16, 2024 9:33:37 오후 org.hibernate.engine.jdbc.connections.internal.DriverManagerConnectionProviderImpl buildCreatorINFO: HHH10001012: Connecting with JDBC URL [jdbc:h2:tcp://localhost/~/test]7월 16, 2024 9:33:37 오후 org.hibernate.engine.jdbc.connections.internal.DriverManagerConnectionProviderImpl buildCreatorINFO: HHH10001001: Connection properties: {password=****, user=sa}7월 16, 2024 9:33:37 오후 org.hibernate.engine.jdbc.connections.internal.DriverManagerConnectionProviderImpl buildCreatorINFO: HHH10001003: Autocommit mode: false7월 16, 2024 9:33:37 오후 org.hibernate.engine.jdbc.connections.internal.DriverManagerConnectionProviderImp𝑃𝑜𝑜𝑙𝑒𝑑𝐶𝑜𝑛𝑛𝑒𝑐𝑡𝑖𝑜𝑛𝑠<𝑖𝑛𝑖𝑡>𝐼𝑁𝐹𝑂:𝐻𝐻𝐻10001115:𝐶𝑜𝑛𝑛𝑒𝑐𝑡𝑖𝑜𝑛𝑝𝑜𝑜𝑙𝑠𝑖𝑧𝑒:20(𝑚𝑖𝑛=1)7월16,20249:33:37오후𝑜𝑟𝑔.ℎ𝑖𝑏𝑒𝑟𝑛𝑎𝑡𝑒.𝑒𝑛𝑔𝑖𝑛𝑒.𝑗𝑑𝑏𝑐.𝑑𝑖𝑎𝑙𝑒𝑐𝑡.𝑖𝑛𝑡𝑒𝑟𝑛𝑎𝑙.𝐷𝑖𝑎𝑙𝑒𝑐𝑡𝐹𝑎𝑐𝑡𝑜𝑟𝑦𝐼𝑚𝑝𝑙𝑐𝑜𝑛𝑠𝑡𝑟𝑢𝑐𝑡𝐷𝑖𝑎𝑙𝑒𝑐𝑡𝑊𝐴𝑅𝑁:𝐻𝐻𝐻90000025:𝐻2𝐷𝑖𝑎𝑙𝑒𝑐𝑡𝑑𝑜𝑒𝑠𝑛𝑜𝑡𝑛𝑒𝑒𝑑𝑡𝑜𝑏𝑒𝑠𝑝𝑒𝑐𝑖𝑓𝑖𝑒𝑑𝑒𝑥𝑝𝑙𝑖𝑐𝑖𝑡𝑙𝑦𝑢𝑠𝑖𝑛𝑔′ℎ𝑖𝑏𝑒𝑟𝑛𝑎𝑡𝑒.𝑑𝑖𝑎𝑙𝑒𝑐𝑡′(𝑟𝑒𝑚𝑜𝑣𝑒𝑡ℎ𝑒𝑝𝑟𝑜𝑝𝑒𝑟𝑡𝑦𝑠𝑒𝑡𝑡𝑖𝑛𝑔𝑎𝑛𝑑𝑖𝑡𝑤𝑖𝑙𝑙𝑏𝑒𝑠𝑒𝑙𝑒𝑐𝑡𝑒𝑑𝑏𝑦𝑑𝑒𝑓𝑎𝑢𝑙𝑡)7월16,20249:33:38오후𝑜𝑟𝑔.ℎ𝑖𝑏𝑒𝑟𝑛𝑎𝑡𝑒.𝑒𝑛𝑔𝑖𝑛𝑒.𝑡𝑟𝑎𝑛𝑠𝑎𝑐𝑡𝑖𝑜𝑛.𝑗𝑡𝑎.𝑝𝑙𝑎𝑡𝑓𝑜𝑟𝑚.𝑖𝑛𝑡𝑒𝑟𝑛𝑎𝑙.𝐽𝑡𝑎𝑃𝑙𝑎𝑡𝑓𝑜𝑟𝑚𝐼𝑛𝑖𝑡𝑖𝑎𝑡𝑜𝑟𝑖𝑛𝑖𝑡𝑖𝑎𝑡𝑒𝑆𝑒𝑟𝑣𝑖𝑐𝑒𝐼𝑁𝐹𝑂:𝐻𝐻𝐻000489:𝑁𝑜𝐽𝑇𝐴𝑝𝑙𝑎𝑡𝑓𝑜𝑟𝑚𝑎𝑣𝑎𝑖𝑙𝑎𝑏𝑙𝑒(𝑠𝑒𝑡′ℎ𝑖𝑏𝑒𝑟𝑛𝑎𝑡𝑒.𝑡𝑟𝑎𝑛𝑠𝑎𝑐𝑡𝑖𝑜𝑛.𝑗𝑡𝑎.𝑝𝑙𝑎𝑡𝑓𝑜𝑟𝑚′𝑡𝑜𝑒𝑛𝑎𝑏𝑙𝑒𝐽𝑇𝐴𝑝𝑙𝑎𝑡𝑓𝑜𝑟𝑚𝑖𝑛𝑡𝑒𝑔𝑟𝑎𝑡𝑖𝑜𝑛)𝐻𝑖𝑏𝑒𝑟𝑛𝑎𝑡𝑒:𝑠𝑒𝑙𝑒𝑐𝑡𝑚10.𝑖𝑑,𝑚10.𝑛𝑎𝑚𝑒𝑓𝑟𝑜𝑚𝑀𝑒𝑚𝑏𝑒𝑟𝑚10𝑤ℎ𝑒𝑟𝑒𝑚10.𝑖𝑑=?7월16,20249:33:38오후𝑜𝑟𝑔.ℎ𝑖𝑏𝑒𝑟𝑛𝑎𝑡𝑒.𝑒𝑛𝑔𝑖𝑛𝑒.𝑗𝑑𝑏𝑐.𝑐𝑜𝑛𝑛𝑒𝑐𝑡𝑖𝑜𝑛𝑠.𝑖𝑛𝑡𝑒𝑟𝑛𝑎𝑙.𝐷𝑟𝑖𝑣𝑒𝑟𝑀𝑎𝑛𝑎𝑔𝑒𝑟𝐶𝑜𝑛𝑛𝑒𝑐𝑡𝑖𝑜𝑛𝑃𝑟𝑜𝑣𝑖𝑑𝑒𝑟𝐼𝑚𝑝𝑙PooledConnections<init>INFO:HHH10001115:Connectionpoolsize:20(min=1)7월16,20249:33:37오후org.hibernate.engine.jdbc.dialect.internal.DialectFactoryImplconstructDialectWARN:HHH90000025:H2Dialectdoesnotneedtobespecifiedexplicitlyusing′hibernate.dialect′(removethepropertysettinganditwillbeselectedbydefault)7월16,20249:33:38오후org.hibernate.engine.transaction.jta.platform.internal.JtaPlatformInitiatorinitiateServiceINFO:HHH000489:NoJTAplatformavailable(set′hibernate.transaction.jta.platform′toenableJTAplatformintegration)Hibernate:selectm10.id,m10.namefromMemberm10wherem10.id=?7월16,20249:33:38오후org.hibernate.engine.jdbc.connections.internal.DriverManagerConnectionProviderImplPoolState stopINFO: HHH10001008: Cleaning up connection pool [jdbc:h2:tcp://localhost/~/test]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0혹시 몰라 다른 코드들도 넣겠습니다.l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PostMapping("/book")같은 걸 html에 연결하는 건 어떻게 하는 건가요
"book", "user"이런 거 연결하는 부분은 어떻게 하는 건지 항상 궁금했습니다ㅠㅠ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게터세터 넣는 이유, 다대다 관계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엔티티에 Getter와 Setter를 넣어주는 이유가 궁금합니다.엔티티를 짤 때 다대다 관계를 넣으면 안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3.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컴퓨터를 재시작 했더니 작동을 안 하네요
인텔리제이로 실행했을때도 서버내부 오류라 뜨고 aws로 구동했을 때도 그냥 서버 연결이 안 됩니다ㅠㅠ aws에 확인해보면 git,sql,java다 설치되어있었고 44강부터 차근차근 다시 해봐도 똑같네요 왜 그럴까요 ㅠㅠ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영속성 컨텍스트 및 캐시 관련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영속성 컨텍스트는 서버 인스턴스 내부의 트랜잭션 기준말고 별도의 추가 기준이 있나요?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서 프론트는 리액트로 진행 중인데 리액트로 호출하면 수정하기 이전의 쿼리로 조회한 데이터가 여전히 조회됩니다.그런데 해당 페이지에서 개발자 도구를 켜서 fetch 메소드로 조회하거나 포스트맨으로 조회하면 새로운 버전의 쿼리로 조회한 데이터가 조회됩니다.혹시 결과가 다른 이유가 있을까요?그리고 서버가 재시작됬는데도 데이터가 똑같은 이유가 있을까요?배포는 도커랑 깃랩 러너로 하고 있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enum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Order status 는 enum으로 만들었는데 이게 왜 그런건지 까먹었어요 스프링 기본에서 썼었던거 같은데…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static 사용 기준이 궁금합니다.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안녕하세요!static 메소드 사용 기준이 궁금합니다!제가 알기로는 static메소드가 대표적으로 아래 3가지 이유 때문에 최대한 쓰지말라는 말을 들었는데요!1. 절차지향적이라 캡슐화에 위반된다.클래스로딩시점에 바로 올라가서 GC가 제거할 수 없는 영역에 있기 때문에 메모리 효율이 떨어진다.멀티 스레드 환경에서 공유되기 때문에 동시성 이슈가 있다.16분:17초에 나오는 static의 경우에는 3번에 해당하는건 아니겠지만, 강사님 영상에서 도메인이나 DTO영역에서 비즈니스 로직을 위한 객체 생성용 뿐만 아니라, 테스트 코드에서도 정적메소드로 만드시더라구요!static 키워드를 사용하는 기준이 언제인지 궁금한데요! @UtilClass도 내부적으로 static으로 만들어주던데, 비즈니스 로직이 담긴게 아닌 유틸클래스나 객체 생성용이라면 상관이 없는걸까요? 위에서 여쭤봤던 1번과 2번을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 언제, 어떤 기준으로 설정 되는건지 궁금합니당..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precision 은 소수점 포함한 자릿수가 맞는지 질문 드립니다.
[질문 내용]@Column 소개중에 precision 속성은 소수점을 포함한 자릿수라고 소개되어있습니다.그렇다면 멤버 엔티티에 precison = 10, scale = 2로 설정을 주고, 멤버 엔티티의 BigDecimal 값을 소수점을 포함한 11자리("11111111.10")를 만들어서 DB에 넣어봤는데, DB에 insert가 되었습니다.그래서, precision 은 소수점을 포함하지 않은 자릿수 인 것 아닌가 생각이 들어 질문 남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