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실전 JSP (renew ver.) - 신입 프로그래머를 위한 강좌
15강 한글 처리 질문
jsp화면에서 contentType 과 pageEncoding 이 모두 UTF-8인데 왜 상단에 reqeust.setCharacterEnding("UTF-8"); 을 지정해야 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어짜피 저 코드를 주석 달아도 실행되서 똑같이 출력 결과가 동일한데 굳이 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자세히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ㅠ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 23년 2회 38:36 마지막 두번째 take() point--의 적용문제
point 0 1 2 3isWhat 5 6 3현재 point가 1로 6을 출력한 뒤마지막 두번째 take()를 하면 return isWhat[point--]는 현재의 isWhat값인 6을 출력한 뒤에 point는 0이 되고, 다시 마지막 take()를 다시하면, return isWhat[point--]로 point 0일 때 isWhat의 값 5를 출력한 뒤에 point -1이 되어 종료되는 것은 아닌가요? 6이 한 번 더 있어야 되는 것은 아닌지 여쭈어 봅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HelloController 어노테이션 인식안돼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혹시 강의대로 똑같이 했는데 오류가 떠서 질문 남깁니다ㅠㅠ오류 java : cannot find symbolsymbol : class Controller무엇이 문제일까요ㅠ.. 따로 건든것도 없습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상속 10개 예제 - 유형 5번 질문
안녕하세요. Java 상속 10개 예제 파트의 유형 5. 부모 메서드를 오버라이딩하지 않고, 자식에서 새롭게 정의된 메서드를 사용 할 경우에 대해 질문이 있어서 남깁니다. 아직 제가 업캐스팅에 대해 완벽히 이해가 되었지 않았기 때문에 드리는 질문입니다. 업캐스팅이란, 객체 생성 시, 클래스의 타입은 부모 클래스로, 생성자는 자식 생성자로 하는 것이라 배웠습니다. 업캐스팅이 진행 될 경우, 기존 부모 클래스 내부 메서드는 해당 객체에서 활용할 수 있지만, 자식 클래스에서 부모 클래스의 메서드를 오버라이딩 하지 않고, 새롭게 정의한 메서드를 사용할 수 없는 것인가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코드를 살펴 볼 경우, class Parent { // 부모 클래스의 void형 메서드 show void show() { System.out.println("Parent show"); } } class Child extends Parent { // 자식 클래스의 void 형 메서드 show(int a) // 부모 클래스에 존재하지 않던 메서드를 새롭게 정의한 메서드 void show(int x) { System.out.println("Child show : " + x); } }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arent p = new Child(); // 업캐스팅으로 생성된 객체 p // p는 참조 타입이 Parent이고, 생성은 Child 생성자에 의해 생성된 객체이다 p.show(); // p.show() -> Child에 없는 메서드 -> Parent에서 해당 메서드 호출 p.show(1); // p.show(1) -> Child에만 있는 메서드 -> 참조 타입이 Parent이기 때문에 컴파일 에러 발생 } }p.show()는 Parent 클래스에서 정의된 메서드 show()를 호출하지만, p.show(1)는 Child 클래스에서만 정의된(Parent 클래스에는 없는) 메서드이기 때문에, 참조 타입에 따라 컴파일 에러가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아직 제가 업캐스팅을 잘 이해하지 못해서 그런지, 업캐스팅이 없으면 안되는 경우를 제가 모르기 때문인지, 업캐스팅의 이점을 잘 모르겠습니다. 사실 저 경우도 단순히 Child 타입으로 p를 만들었다면 문제 없이 넘어가는 경우이고, 두 번째 자식 클래스의 메서드에서 오버라이딩을 진행한 경우에도 업캐스팅을 사용해야 하나?라는 의문이 들었습니다.class Parent { void show() { System.out.println("Parent show"); } } class Child extends Parent { void show() { System.out.println("Child show"); } void show(int x) { System.out.println("Child show : " + x); } }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hild p = new Child(); p.show(); p.show(1); } } 업캐스팅을 단순히 정처기 실기를 통과하기 위한 하나의 주제로 보는 상황이라 이런 문제가 벌어지는 것 같습니다...ㅠㅠ 혹시 개발 과정에서 업캐스팅이 없으면 안 되는 경우(저처럼 그냥 타입을 Child로 바꿔버리면 안 되는 경우 등)에 대한 예시가 있을까요??다양한 문제 상황을 주셔서 여러 고민을 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항상 질 높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자바 중급 1편 String클래스 문제와 풀이 1, 5번문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자바 중급 1편 String클래스 문제와 풀이 1에 5번째 indexOf와 substring을 조합해서 hello.txt 의 파일 명과 확장자 부분을 분리하는 문제입니다. package lang.string.test; public class TestString5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str = "hello.txt"; String ext = ".txt"; int index = str.indexOf(ext); String fileName = str.substring(0, 5); System.out.println("fileName = " + fileName); System.out.println("extName = " + ext); } }제 코드package lang.string.test; public class TestString5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str = "hello.txt"; String ext = ".txt"; int extIndex = str.indexOf(ext); String filename = str.substring(0, extIndex); String extName = str.substring(extIndex); System.out.println("filename = " + filename); System.out.println("extName = " + extName); } }정답 코드위 코드가 제가 작성한거고 아래 코드가 pdf교재의 정답입니다. 선생님과 코드는 다르지만 같은 결과가 나왔습니다. 제가 궁금한 건 선생님처럼 코드 작성을 하면 더 좋은 부분이 있나요? 혹은 제가 작성한 코드가 결과는 같지만 어떠한 문제가 있는 게 아닐까 싶어서 질문 남겨봅니다. 단순한 호기심입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hello-spring 프로젝트 생성후 인텔리제이에서 가져오는처음부터 에러가 발생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아니요 비슷한내용은 있으나 문제가 다릅니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네[질문 내용]오류메시지는 다음과 같으며 이미 1.8버젼으로 설정이 되어있는데 오류메시지가 출력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2차원 배열-리팩토링2 강의중에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 8분47초 강의 중에 구조 개선- 값 입력 강의하시는중에 배열 선언을 최적화 하기위해서 이중for문 이용해서 변수i선언해서 푸는법 알려주셨는데요! 혹시 밑에있는 이중 for문에 arr[row][column] =i++; 추가해서 컴파일하면 값은 똑같이 나오는데 이렇게 코딩하는것이 더 효율적인거 아닌가해서 문의드립니다! package array; public class ArrayDi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rr = new int[2][3]; //row 는 행,열은 coulmn int i=1; for (int row = 0; row < arr.length; row++) { for (int column = 0; column < arr[row].length; column++) { arr[row][column]= i++; System.out.print(arr[row][column] + " "); } System.out.println(); } } } 이 코드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4분 40초 상속과 생성자 연쇄 호출 문제
A s2=new B('Y') 구문 부분이 명확히 이해가 안되어 질문드립니다.아래에 쓴 해석이 맞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해석)A s2=new B('Y') 가 생성되었을 때,상속의 원칙으로 부모의 기본 생성자를 호출해야되나B(char x)의 첫줄에 this()로 인해 자신의 클래스[B class]의 기본 생성자[B()]가 호출되며, 기본생성자의 출력구문이 모두 종료된 후다시 B(char x)으로 돌아와 남은 출력 구문을 실행하고 종료.헷갈리는 부분이 있어 다른 질문도 드립니다. 1. B(char x)의 this로 인해 자신의 기본 생성자인 B()를 실행했을 때 super()가 없었어도 A클래스의 기본생성자를 호출하고 B클래스의 기본 생성자를 호출한 뒤 B(char x)의 출력구문을 실행한다. -> 이게 맞다면 왜 super()가 없었어도 A클래스의 기본생성자를 호출되는지? 그리고, 만약 A클래스에 기본 생성자가 없었다면 출력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2. B(char x)에 this가 없었다면 부모의 기본 생성자가 호출이 되고 다시 돌아와 출력문이 실행되는지 궁금합니다. 3. main에서 생성자가 생성이 될 때마다 생성자에 명시적으로 super나 this가 없다면 부모의 기본 생성자가 호출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 main에서 업케스팅 형태로 생성1 생성2 생성3 ... 인 경우에서 생성부분에 파라미터가 있든 없든 명시적으로 super나 this가 없다면 각각 실행마다 부모의 기본 생성자가 실행이 되는지적다보니 질문이 많이 생겼습니다..확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SeesionV6 코드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네트워크 프로그램6 - 자원 정리 를 복습하다가. 질문을 드립니다.어제 네트워크 네트워크 프로그램 들을 복습하면서 혼자 만들어 보면서 따라하다가 어찌하다 보니 사진 처럼 SessionV4 필드에 private DataInputStream input;private DataOutputStream output;run()에서 객체를 생성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것을 코드들에 적용 시켜보자 하다가 이 코드가 나왔습니다.그래서 질문은 이렇게 코드를 SessionV6에서 짜도 되는 지가 질문입니다. 아니면 영한님 처럼 생성자 에서 전부다 생성하고 초기화 하는게 맞는지 알고 싶습니다.답변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메모리 가시성 문제가 싱글코어에서도 발생할 수 있나요?
메모리 가시성에 대한 그림 예시에는 코어가 2개인 멀티 코어로 되어있어서 싱글코어인 상황도 궁금해졌습니다. 코어당 캐시 메모리가 있으니까 여러 스레드들이 같은 캐시 메모리에 접근하므로 메모리 가시성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것 같은데 , 싱글 코어에서도 가시성 문제가 발생하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문자열 포인터 출력(16:49)
포인터에 의한 문자열 출력 경우들을 몇가지 정리해봤는데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선생님 한번 봐주세요#include <stdio.h>int main() { char *s="Hello world!";//포인트 변수 s 선언, 문자열 Hello world! 저장 printf("%s\n", s); // 포인트 변수 s호출, 문자열의 첫번째 주소를 가져온다. %s에 의해 '문자열'로 취급되서, 전체 출력한다. //printf("%c\n", s);//이건 에러가 나는데 문자열을 문자로 출력하려고 해서?? 잘 모르겠습니다. printf("%c\n", *s); // 포인트 변수 s호출, 문자열의 첫번째 주소가 갖는 값을 가져온다. %c에의해 '문자'로 취급되서, H를 출력한다. printf("%c\n", *s+1); //포인트 변수 s호출, 문자열의 첫번째 주소가 갖는 값을 가져온다. 우선 H가 호출되고 1을 더한 I가 출력 printf("%c\n", *(s+1)); // 포인트 변수 s에 1이 더해진 문자열의 두번째 주소가 갖는 값을 가져온다. e를 출력한다. return 0;}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synchronized와 메모리 가시성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사님!캐시 메모리에서 값이 변경이 되어도 메인 메모리에 언제 값이 적용될지 모르는건데 synchronized를 사용하면 메인 메모리는 무조건 값이 메인 메모리에 반영이 되는 걸까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count 쿼리 질문있습니다
학습 관련 질문을 최대한 상세히 남겨주세요!고민 과정도 같이 나열해주셔도 좋습니다.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조를 보면 마지막 페이지로 갈 수록 모든 페이지 목록을 불러오는거 같은데 제가 이해한게 맞나요? pageLimitCalculator를 보면 page=4, pageSize=10, movablePage=3일때 pageLimitCalculaotr를 계산하면 61인데 현재 4페이지에 있다면 2번째 그룹인데 2번째 그룹의 데이터 목록들만 불러오는게 아니라 1번째 그룹데이터까지 포함해서 총 60개를 불러오는게 맞는거죠? 그렇다면 pageLimitCalculator 공식에서 (((page - 1) / movablePageCount) + 1) pageSize movablePageCount + 1; 마지막에 1을 더해주는데 왜 해주는 건가요?다음 페이지에 데이터가 있나 없나를 확인하기 위해 1을 더하는건줄 알았는데 제가 생각한대로 마지막페이지로 갈수록 모든 데이터를 불러오는 구조라면 굳이 마지막에 1을 더할 필요가 있나 싶어서요궁금합니다!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snowflake 알고리즘 - synchronized 활용한 동시성 제어
학습 관련 질문을 최대한 상세히 남겨주세요!고민 과정도 같이 나열해주셔도 좋습니다.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강사님 안녕하세요다름이아니라 snowflake 알고리즘에서 의문점이 생겨서 질문 드립니다. 질문1) snowflake 알고리즘에서 synchronized를 활용하여 동시성 제어를 하는데,만약 각 도메인 모듈마다 멀티 서버를 구상한다면 동시성 제어가 가능한가요? 질문2) 만약 안된다면, redis 와 같은 외부 미들웨어를 통해서 동시성제어를 하는 방식으로 해당 알고리즘을 수정해야 될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Object clone 메서드는 protected인데 호출이 불가능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Object의 clone 메서드를 찾아보니 protected 로 접근 제어자가 설정되어 있는데 모든 클래스는 Object 클래스의 하위 클래스이니 clone 메서드를 사용 가능한것으로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실제로 clone 메서드를 실행하면clone() has protected access in java.lang.Object에러가 발생하는데 어떤 차이가 있어서 접근 불가능한 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Gradle-groovy/Kotlin
스프링 프로젝트 생성시에 강의에서는 Gradle로 만들어라고 했는데 Gradle-groovy랑 Kotlin으로 나눠져 있더라고요.둘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
미해결서버개발자 과제전형 완벽가이드 - 1편
서비스에 @Transactional 애노테이션을 사용하시지 않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궁금한게 있어 질문 남깁니다. 보통 데이터베이스 사용시 서비스 단에 @Transactional을 관습적으로 붙여왔는데, 서비스 로직을 작성하실때 @Transactional 애노테이션을 사용하시지 않은 건 비즈니스 로직이 너무 간단하기 때문에(트랜잭션 논리 단위로 묶을 필요없을 정도로) 생략하신거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답변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autowired에 대한 고찰 이 코드도 결국 스프링이 자동으로 의존성을 주입해주는 코드일텐데 어째서 Autowired는 지양되고 이러한 코드는 사용해도 되는건가요? lombok을 통한 생성자주입과 autowired를 통한 생성자 주입은 어떤 다른 점이 있는
autowired에 대한 고찰이 코드도 결국 스프링이 자동으로 의존성을 주입해주는 코드일텐데 어째서 Autowired는 지양되고 이러한 코드는 사용해도 되는건가요? lombok을 통한 생성자주입과 autowired를 통한 생성자 주입은 어떤 다른 점이 있는건가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pdf 자료들 다운이 안됩니다.
강의 목록에서 pdf 해당되는 목록 클릭하면 하얀 화면만 나오고pdf 파일 다운이 안되는데 일시적인 문제일까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MemberForm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MemberForm은 MVC 패턴 중에 model에 속한다고 보는게 맞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