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
h2 insert sql
spring 게시판 구현 중인데 h2 insert부분에서 오류가 납니다,,왜 그러는 건가요,,? 작은 따옴표로 다 했을 때도 오류가 납니다. 혹시 몰라 설정 부분도 첨부하겠습니다.
-
해결됨[백문이불여일타] 데이터 분석을 위한 고급 SQL
DELETE 명령어 예제 (리트코드 196)에 대한 추가 설명 부탁드립니다.
DELETE 리트코드 문제풀이 + 섹션 3 서브쿼리 맛보기 강좌에서는 리트코드 196을DELETE FROM personWHERE Id NOT IN (SELECT sub.min_id FROM (SELECT Email, MIN(Id) AS min_idFROM personGROUP BY Email) sub); 로 표현했는데요, 서브 쿼리가 결국 하나의 테이블이 된다는 건데 해당 테이블을 'sub'로 봐서 select 문에서 sub.min_id라고 컬럼명을 넣어주신 것 같은데현재 DML 요약 내용을 보면temp로 서브쿼리를 묶었는데 select 문에 선택된 컬럼엔 Id로만 들어가서요 그리고 서브쿼리 내에 GROUP BY 1이라고 표현된 건 서브쿼리에 컬럼명 첫번째 것을 선택하라는 의미인가요? 이해가 안되서 강의와 문장을 한참 번갈아봤네요 ㅜㅜ 답변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백문이불여일타] 데이터 분석을 위한 중급 SQL
자막 관련
최근까지 자막이 보였던 것 같은데 갑자기 모든 영상에서 사라졌네요ㅠㅠ자막 지원 다시 안되나요?
-
미해결
SQL 복붙하면 작은 따옴표가 바뀌는 것 같은데 원래 그런가요
복붙해서 붙이니 계속 오류가나서 지우고 다시쓰니 되네요.원래 이런가요
-
해결됨데이터 분석 SQL Fundamentals
질문
안녕하세요 서브 쿼리 실습-03번 마지막 Analytic SQL에서 ROWS BETWEEN UNBOUNDED PRECEDING AND UNBOUNDED FOLLOWING 를 over() 안에 넣으셨는데 avg() 는 굳이 이 쿼리문없이도 partition by 으로 나뉘어진 것을 전부 계산하는 것 아닌가요? (일단 저 쿼리문을 굳이 적지 않아도 같은 값이 나옵니다.)((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미해결데이터 분석 SQL Fundamentals
순위 함수 over 안의 order by 가 실제 조회 결과에도 영향을 주나요 ? ?
안녕하세요.제가 순위강의 실습 하다가 궁금한 점이 생겼는데요.제 pc 에서 실습 할때는 순위 함수 실습 1번을 해보면 조회 결과가 실제 rank 내의 orderby 순위에 맞게 정렬되서 나오는 것 같은데요./* 1. 순위 함수 실습 */ -- 회사내 근무 기간 순위(hiredate) : 공동 순위가 있을 경우 차순위는 밀려서 순위 정함 1, 2, 2, 4 select * ,rank() over(order by hiredate asc) as hire_rank -- asc 안쓰면 기본 asc 임. from emp;순위 함수 실습 2번의 경우는 한 조회 sql 안에 정렬 이 반대 조건으로 두개 들어가서.. 이런 경우에는 어떤게 우선순위인지.. 궁금합니다. 아니면 순위를 보장하지 못하는지도 궁금합니다.-- 부서별로 가장 급여가 높은/낮은 순으로 순위: 공동 순위 시 차순위는 밀리지 않음. select * -- ,dense_rank () over (partition by deptno order by sal desc) as sal_rank_desc -- ,dense_rank() over (partition by deptno order by sal asc) as sal_rank_asc ,dense_rank() over (partition by deptno order by sal asc) as sal_rank_asc ,dense_rank () over (partition by deptno order by sal desc) as sal_rank_desc from emp -- order by deptno, sal_rank_asc -- order by deptno ;처음에는 2개 있으면 나중에 조회되는 칼럼의 order by 에 영향을 받나 싶어서 주석 풀고 순서바꿔서 조회해봤는데 그건 아닌것 같구요.. 아래쪽에 따로 order by 넣으니까 그건 우선순위가 높은건지 over 안의 order by 는 무시되고 from 이후의 order by 가 되긴 하더라구요.그래서 궁금한건.. 순위 함수 안에 order by 가 실제 조회 결과의 order by 에 영향을 주는게.. 보장할 수 있는 규칙이 있는지.. 아니면 어쩌다가 그런 것이라서 실제 순위를 보장하려면 따로 써 주는게 좋은 건지... 아니면 순위 함수의 order by 가 조회 결과의 order by 가 없어도 조회 결과 정렬을 보장하지만.. 2개 이상이면 보장할 수 없다 라던가.. 적용 규칙 ? 정보를 아시는게 있는지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백문이불여일타] 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초 SQL
글자 깨짐과 코드 에러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두가지 질문드립니다. 1. 결과 값에 글자들이 깨져서 나오는데, 페이지 소스에 문제가 있는걸까요~?2. 첫번째 사진에서와 같이 LIMIT 10 을 추가 하기 전에는 에러가 뜨지 않는데,LIMIT 10 을 추가 하면 두번째 사진과 같이 FROM 에러가 발생합니다.이전에 저와 같은 질문을 한 분의 답변들을 보았는데,웹사이트 에러인 것 같다고 하셔서 새로고침도 하고 재부팅도 했는데,에러가 해결되지 않습니다 ㅠㅠ뒤에 있는 수업을 듣다가 이러한 문제가 또 발생하여 추가합니다. 제가 볼 때는 LIMIT 예약어를 인식을 못하는 것 같기도 합니다 ㅠㅠ
-
미해결윤재성의 Oracle SQL Database 11g PL/SQL Developer
기본제공되는 테이블 질문
현재 제 pc에 버전이 20버전이라서 세팅과정이 달라서 기본 제공되는 orcl에 테이블로는 접속이 안되는데 현재 기본 학습할수 있게 제공되고 있는 테이블을 create문으로 만들어 주실수 있을까요? 아니면 20버전에서 제공되는 table을 가져올수 있는 방법좀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Database - SQL
선생님 mssql 한줄실행 단축키는 없을까요?
오라클은 컨트롤+엔터 키로 한 줄씩 실행이 가능한데요, 혹시 mssql 도 이런 기능이 있나요?찾아봤는데 mssql은 한 줄 실행을 하려면 드래그해서 써야 한다는 글만 나와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5: 데이터베이스
인덱스의 저장 방식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루키스님. 항상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인덱스 및 복합 인덱스 강의를 들으면서생긴 궁금증 하나를 여쭤보려 합니다!※ 해당 질문은 Clustered Index 기준입니다.개요.인덱스 강의 때 Clustered Index는 물리적인 데이터의 저장 순서의 기준이라고 하셨습니다. 따라서 사전처럼 데이터가 키에 따라 정렬된 상태로 저장되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그런데 복합 인덱스 강의를 들으면서 인덱스가트리 구조의 페이지로 나뉘고 써칭을 할 때 페이지 트리 탐색 후 찾은 인덱스(키)의 RID를 읽어서 본격 실제 물리적인 데이터를 찾는다고 말씀하셨습니다.의문."데이터가 애초에 정렬된 상태로 저장되면 트리 탐색 혹은 이분 탐색으로 끝날 텐데 왜 굳이 RID를 읽고 한 번 더 써칭을 하는 것일까?" 그래서 제가 아래와 유추와 결과를 냈는데 혹시 맞을까요? (Clustered Index 기준)유추."데이터가 물리적으로 정렬된 것은 맞을 것 같은데..그렇다면 내가 생각한 데이터의 기준이 다를까?인덱스는 일종의 Key이므로 데이터는 Key와 Value의 조합이겠군?그렇다면 강의에 말씀하신 데이터는 엄밀히 말하면 Key 데이터와 Value 데이터로 나눌 수 있겠군?"결론.인덱스(Key)는 실제 디스크에 정렬된 상태로 저장되지만 그 인덱스(Key)에 대응되는 실제 데이터(Value)는 실제 디스크에 정렬된 상태로 저장되지 않고 대신에 리니어 하게 만 저장된다. 그렇기 때문에 정렬되지 않은 실제 Value를 찾기 위해서 RID를 읽는 것.(Value 마저 정렬된다면.. 그것 나름대로 또 끔찍하겠군요... 중간에 추가 삽입될 때마다 방대한 데이터가 한 칸씩 뒤로 밀리기 때문에요.)그래서 인덱스(Key)는 트리 탐색을 하고인덱스(Key)에 대응되는 Value를 찾기 위해서 RID를 읽고 찾아갑니다.+그 다음 강의인 Clusterd vs Non-Clustered를 시청 후 해결됐습니다.위에서 제가 언급한 결론은Non-Clustered Index의 경우네요.그러면 Clustered Index의 경우 Key가 정렬되어 저장된 곳에 바로 Value가 저장되는군요. 그래서 실제 데이터 자체가 디스크에 정렬된 상태로 저장된다고 볼 수 있겠네요. Non-Clustered에 비해서 검색 속도는 빠르겠지만 대신에 Trade Off로 데이터의 추가 삽입/삭제가 느리겠군요. 왜냐하면 Value 까지 포함한 큰 데이터들이 전부 정렬된 상태를 항상 보장 받아야 하기 때문에요.
-
미해결[백문이불여일타] 데이터 분석을 위한 고급 SQL
(LeetCode.627) IF문 보다 CASE문의 실행시간이 왜 더 빠른가요?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CASE문으로 실행했을 때는 241ms, IF문으로 실행했을 때 280ms로, CASE문이 더 빨랐습니다.저는 CASE문의 구조가 더욱 복잡해 시간이 더 오래 걸릴 것이라 생각하고 IF문으로 돌려봤는데 오히려 이게 더 느리네요. 그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데이터 분석 SQL Fundamentals
변수 생성 순서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변수 생성 관점에서, select 절에서 만든 변수는 해당 테이블에서 처음 생성 되는 것인가요 아니면select 절에서 생성되어 이후 where 등에서 조작이 가능한 것인가요?위의 구문은 왜 틀렸을까요?
-
미해결[백문이불여일타] 데이터 분석을 위한 중급 SQL
Oracle SQL 질문입니다.
MySQL 에서 limit 사용하는 것처럼 Oracle SQL에서도 사용하고 싶습니다.rownum을 이용하게 될 경우 group by, order by 전에 실행되어 원하는 값이 나오지 않는데 이럴경우 어떻게 해야하나요?
-
미해결데이터 분석 SQL Fundamentals
온라인? 인라인?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강사님 특정 쿼리 방식이 '어떨 때' 주로 사용된다고 말씀하시면서 온라인 혹은 인라인 이라고 언급하신것같은데... (6:46 쯤)"온라인" 거래 관련 데이터를 다룰 때 상관 서브쿼리를 주로 사용한다는 말씀이셨을까요?
-
미해결[리뉴얼] 처음하는 SQL과 데이터베이스(MySQL) 부트캠프 [입문부터 활용까지]
pandas를 활용한 매서드 기능 중 오류
pandas 라이브러리와 Pymysql - 파일로 데이터 저장 강의의5:14초 중 명령문을 실행 시키면 작동은 되나, 오류코드가 같이 나오는데 구글링을 통해 답변을 찾아봐도 해결 방법을 얻기 어려워 질문 남깁니다.
-
미해결데이터 분석 SQL Fundamentals
"집합의 레벨"의 의미
안녕하세요유익하고 훌륭한 강의 덕분에 쿼리 이해가 일취월장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강사님께서 거듭 강조하시고 중요하다고 지적하신 "집합의 레벨"이 무슨 의미인지 문의드립니다.group by로 집계하거나 analytic sql로 데이터를 aggregate할 때 "집합의 레벨"이란 표현이 자주 나오는데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까요? 하나의 행(레코드)가 여러 열(속성)을 가지는 경우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열을 기준으로 다른 열의 값을 집계할 때, 그 기준이 되는 열을 집계결과의 '집합의 레벨' 이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이전 질문과 같이, 저도 첫 임시테이블(temp_01)에서 group by를 product_id와 category_id 두 열을 기준으로 했습니다. 여기서 첫 임시테이블의 '집합의 레벨'인 product_id이므로 category_id를 또다른 레벨로 두는 것이, 기능상 차이는 없지만 개념상 부적절하다고 생각하면 옳게 이해한 것일까요? "집합의 레벨"이라는 표현이 모호하게도 들으면 이해되는듯 하면서도 막상 쿼리를 작성할 때 머릿속에 원하는 결과가 흐릿해서 바라는 대로 결과를 얻지 못해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데이터 분석 SQL Fundamentals
조인시 SQL 실행 순서에 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질문이 있습니다Outer조인실습02 강의의 8분50초쯤에 city가 Madrid인 고객에 대해서 left join이 실행된다고 강조해주셨습니다여기서 질문이 저는 sql 실행 순서가 from->where->groupby->... 로 알고 있는데이 순서가 맞다면 from절에서 전체 고객에 대해 join을 다 수행 한 다음에 그 결과 테이블을 where 절로 city가 Mardrid 인 고객만 필터되는 것이 맞다고 생각드는데이건 내부적으로 SQL이 최적화하면서 실행 순서를 무시(?)하는 것으로 받아들이면 되는걸까요?감사합니다
-
미해결다양한 사례로 익히는 SQL 데이터 분석
맥 데이터 복원 문제 해결방법 공유드립니다.
구글링해보니 DBeaver Github에 해결방법이 나와있어 정리하여 공유드립니다.https://tommyhouse.oopy.io/648f5df9-0b85-4fe0-a62b-d48cd6658894
-
미해결데이터 분석 SQL Fundamentals
여러 테이블을 조인할 경우 성능 질문
안녕하세요? 강사님 머신러닝 강의에 이어서 SQL 강의도 잘 보고 있습니다질문이 있는데가령 3개의 테이블을 join할 경우테이블a join 테이블b join 테이블c 이렇게 순서대로 join하는 것과테이블a와 테이블b를 join하고 그 결과를 서브쿼리로 해서 테이블 d로 만들고 테이블c와 join하는 것과 성능적인 측면에서는 차이가 없는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데이터 분석 SQL Fundamentals
맥에서는 "서비스" 창에 해당하는 게 무엇인가요?
따로 신경쓰지 않아도 되어서 별도의 설명이 없는거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