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8:15부분에 관해 질문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회원가입을 하면 그냥 db에다가 데이터만 저장하면 되는데 왜 이렇게 id를 리턴 해주는지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실전! Querydsl
query projection 아키텍쳐 관점
작업을하다보디 query projection 경우 아키텍처 관점(데이터 레이어)에서 Repository에 의존성이 생겨서 사용을 지양하자는 의견이 많던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해결됨입문자를 위한 Spring Boot with Kotlin - 나만의 포트폴리오 사이트 만들기
뷰 개발 - 테이블페이지 (삽입 Script)부분
안녕하세요. fragment-script-util.html을 작성하고 강의에서 보여주신것처럼 addDetail('detail')을 동작하는 버튼을 누르면 내용이 비어있는채로 아래에 창이 생기질 않네요. 콘솔에서 확인해보면TypeError: Cannot read properties of null (reading 'detail') at addDetail (experience:775:65) at HTMLButtonElement.onclick (experience:366:105)이 나타나고 콘솔로그를 찍어보면 데이터테이블 초기화가 안되고 있는것같습니다. 어떤부분을 점검해봐야할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엔티티를 다른 서비스로 바로 넘겨도 될까요?
a도메인 서비스에서 jpa로 가져온 엔티티를b도메인 서비스로 넘겨도 될까요?dto를 쓰지 않고 엔티티 타입을 그냥 바로 넘기려구요 이때 영속성 컨텍스트를 끊어주려고 OSIV off하고 데이터커넥션 끊기도록 설정할겁니다 이렇게만 하면 다른 서비스로 넘어가도 괜찮을까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Dto와 공통되는 클래스가 있을 때
안녕하세요 Dto클래스가 있을 때, 다른 곳에서도 그와 동일한 스펙의 클래스가 필요하다면 재사용을 해도 되는지, 아니라면 각각 구현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예를 들어 컨트롤러에서 요청을 통해, Coordinate(위도와 경도를 필드로 갖는)라는 타입으로 좌표를 받아서 사용하는데, 다른 패키지에서도 동일한 스펙을 갖는 클래스가 필요하다면 Coordinate를 재사용해도 되는 걸까요? 아니면 CoordinateForXXXXDto와 같이 동일한 스펙의 클래스를 이름만 다르게 구현하여 사용해야 할까요? webdtorequestCoordinateDto Dto로만 사용되면 위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면 된다고 생각하는데, 만약 재사용이 가능하여 Dto의 역할(계층간의 데이터 전송)이 아닌, 오로지 하나의 클래스 안에서만 사용되는 경우도 포함돼 있다면 어떤 패키지에 놓아야 할지도 궁금합니다!public class CoordinateDto { private double latitude; private double longitude;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테스트 코드에서 플러시 관련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package jpabook.jpashop.service; import jpabook.jpashop.domain.Member; import jpabook.jpashop.repository.MemberRepository;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junit.jupiter.api.extension.ExtendWith;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test.annotation.Rollback; impor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jupiter.SpringExtension;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import static org.junit.jupiter.api.Assertions.*; @ExtendWith(SpringExtension.class) @SpringBootTest @Transactional class MemberServiceTest { @Autowired MemberService memberService; @Autowired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Test public void 회원가입() throws Exception { //given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Name("kim"); //when Long savedId = memberService.join(member); //then assertEquals(member,memberRepository.findOne(savedId)); } @Test public void 중복_회원_에외() throws Exception { //given //when //then } }해당 코드에서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으로 롤백이 일어나는 것은 이해했으나 이것이 Flush 자체가 일어나지 않는 다는 것이 이해 되지 않습니다. 회원가입시 em.persist()가 호출이 되면 자동으로 Flush발생했다가 다시롤백되는게 아니지 궁금해서 질문 남깁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어노테이션 상세 보기 단축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질문 내용]강의를 보다 보면 어노테이션이 어떻게 구현되어있는지 설명서? 를 보는 장면이 있는데, 무슨 단축키를 눌러야 볼 수 있나요?화면 캡쳐가 안되어서 강의 제목과 시간을 적습니다.엔티티클래스개발 1 22:35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H2 테이블 생성 안됌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네프로젝트 파일https://drive.google.com/file/d/1CzJgYLZqQ724aJMnYqODWUG6MK9h1K72/view?usp=sharing로그에 테이블 생성 쿼리와 insert 쿼리까지 나갔는데도 불구하고 h2 데이터 베이스에 테이블이 보이지 않습니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질문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강의에서 나오는 예제에서는 Item 테이블을 두고, 하위 테이블인 Album, Book, Movie 테이블을 생성하여 상속하는 구조로 하고 있는데요. 실무에서는 상품 종류가 한두가지가 아니라 수백개, 수천개가 될텐데 그러면 이러한 테이블을 전부 만드나요? 예를 들면, 쿠팡 같은 쇼핑몰에서는 음식 뿐만 아니라 컴퓨터, 마우스,모니터, 커피, 프로틴, 과일, 연필, 물 등등 상품 종류가 어마어마하게 많은데 이를 어떻게 관리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fetch join이 명시적 inner join과 다른 이점이 뭔가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Hibernate6버전 쓰고 있습니다.)1. 페치 조인 JPQLselect t from Team t join fetch t.members2. 명시적 내부 조인 JPQLselect t,m from Team t inner join t.members m위 JPQL을 실행하면 같은 SQL 쿼리가 실행됩니다.fetch join이 명시적 inner join과 다른 이점이 뭔가요?fetch join을 썼을 때, List<Team>으로 결과를 받고 중복없이 Team에 속한 members 리스트가 조회됐습니다.예를 들면, 팀A-> 회원1-> 회원2inner join을 썼을 때, List<Object[]>로 결과를 받고 Team과 Member가 쌍을 이뤄서 조회됐습니다.SQL 조회결과처럼 Team이 중복되어 출력됐습니다.팀 A, 회원1팀 A, 회원2팀이 중복되지 않고 한번만 출력된다.Object[] 타입으로 안다뤄도 되니 결과를 처리할 때 편하다.이 외에 다른 이점이 있나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setFirstResult(1) 부터 하는 이유?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0으로 하셨다가 1로 변경하신 이유가 이해가 안 됩니다 ㅠㅠ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itemService 테스트 코드 질문입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ItemService 테스트 코드입니다.@RunWith(SpringRunner.class) @SpringBootTest @Transactional public class ItemServiceTest { @Autowired ItemRepository itemRepository; @Autowired ItemService itemService; @Test public void 상품저장() throws Exception { //given Item item = getItem("JPA book", 10000, 100); itemService.save(item); //when Item findItem = itemService.findById(item.getId()); //then // assertThat(item).isEqualTo(findItem); assertEquals(item, findItem); } @Test public void 상품조회() throws Exception { //given Item item1 = getItem("JPA book1", 10000, 100); Item item2 = getItem("JPA book2", 20000, 100); itemService.save(item1); itemService.save(item2); //when List<Item> findAll = itemService.findAll(); Item findItem1 = itemService.findById(item1.getId()); //then assertThat(findAll.size()).isEqualTo(2); //전체조회 assertThat(item1).isEqualTo(findItem1); //단건조회 } @Test public void 상품변경() throws Exception { //given //when //then } private static Item getItem(String name, int price, int stockQuantity) { Item item = new Book(); item.setName(name); item.setPrice(price); item.setStockQuantity(stockQuantity); return item; } }상품 저장과 조회에 대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보았는데 혹시 수정해야 할 부분이 있는지 궁금합니다.상품 저장 시 item.getId() == null 이 아닐 때 merge 하도록 되어있는 부분에 대해서도 테스트를 해야할 것 같은데, 어떻게 테스트할지에 대해 방향성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쓰기 지연 저장소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sql 쓰기 지연 저장소에 쿼리가 저장되는 타이밍이 헷갈립니다 em.find() 이후 member.setXXX 같은 경우는 트랜잭션 커밋 호출 -> 플러시 호출 -> 스냅샷, 1차 캐시 비교 -> 다르면 쓰지 지연 저장소에 쿼리 생성해서 저장 em.remove는 수정과 동일하게 동작 Member 객체 생성해서 em.persist(memberNew) 같은 경우에는 persist 하는 순간 1차 캐시, 스냅샷 저장 + 쓰기 지연 저장소에 쿼리도 생성해서 저장 해당 순서가 맞을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테스트 오류 질문
회원 기능 테스트에서 계속 막혀서 전부 다 복붙하고 해봐도 오류가 납니다 이거 왜이런걸까요? 우선 프로젝트 전체 구글 드라이브에 공유해뒀습니다.https://drive.google.com/file/d/1jEOFgnIZ2fRBWTDKmYaA3lnrid-0i10E/view?usp=drive_link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이런 코드 유형?은 어디편에서 공부해야하나요?
public class GuestBookMapper { public static GuestBookDTO toDTO(GuestBook entity) { return GuestBookDTO.builder() .guestBookId(entity.getGuestBookId()) .content(entity.getContent()) .nickName(entity.getNickName()) .reportedCount(entity.getReportedCount()) .createDate(entity.getCreateDate()) .pw(entity.getPw()) .build(); } public static GuestBook toEntity(GuestBookRequest dto) { return GuestBook.builder() .content(dto.getContent()) .nickName(dto.getNickName()) .createDate(LocalDateTime.now()) .reportedCount(0) .pw(dto.getPw()) .build(); } } 프로젝트 진행중 다른분 코드를 공부하다가 Mapper이란 클래스는 왜있고 builder는 뭔지 이런 클래스가 왜있는지 공부하고싶은데 이런 코드유형을 알려주는 인강편이있나요?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시작도 하기 전에 계속 오류가 납니다.
자바 11버전을 깔았는데 계속 자바 1.8버전으로 뜨네요... 그래서 다시 11버전으로 바꿔서 실행을 해보았더니이런 에러가 뜹니다.. 해결방법이 있을까요ㅠ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java17 gradle에서 Jwts.builder().signWith()에서 ClassNotFoundError: javax/xml/bind/DatatypeConverter가 발생한다면
javax를 사용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문제입니다.implementation 'javax.xml.bind:jaxb-api:2.3.0 <- 이 디펜던시를 추가해주시면 에러는 사라집니다.수업 내용대로 진행했어야 하는데 그렇게 안하니까 여러 에러들이 막 발생하네요ㅠㅠ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강의 <상속관계 매핑>에서 h2 데이터베이스
안녕하세요<상속관계 매핑> 강의에서 강사님 화면과 다른 부분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 먼저 Item 테이블입니다. JOINED 전략 사용했습니다.그 다음 Album, Book, Movie 클래스 입니다. JpaMain 입니다.그런데 실행하고 나니까 강사님 화면과 같이이렇게 나오지 않고,이런 식으로 나옵니다... 똑같이 타이핑 했는데 왜 이렇게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ㅠㅠ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service끼리 의존성 주입
안녕하세요 제목 그대로 궁금한 점 있는데, 예를 들어 a라는 service가 b와 c라는 service를 주입 받는 상태이고 여기서 c는 또 d라는 service를 주입 받는 구조가 있다면 이건 정상적인 부분일까요? service가 service를 주입 받는 것이 괜찮은지, 괜찮다면 그것의 depth가 늘어나서 a <- b, c <- d 이런식이 돼도 괜찮은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REST API로 개발하면
프론트딴에서 어떻게 데이터를 쓰는건가요? 원래 실습할떄 @Controller 어노테이션이면 모델에 담아서 뷰에 전송하고 타임리프로 사용하는건데 REST API는 어떻게 화면에 데이터를 보여지고 진행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개발하면 백앤드에서 기능 구현하고 그 다음에 프론트개발자들이 작업하는건가요? 아니면 프론트가 먼저 개발하고 그 다음에 백앤드가 구현하는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