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LogDemoController 오류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섹션 9에서 LogDemoController 에 관한 코드를 강의와 똑같이 작성하였는데, 빨간색 글씨로 바뀌면서 오류가 발생합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
해결됨파이썬 알고리즘 트레이딩 파트2: Interactive Brokers API를 활용한 실시간 알고리즘 트레이딩
api연결하기 영상이 재생이 안되네요
다른강의는 재생이 되는데 api연결하기 영상이 재생이 안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JDK 21을 사용하는 이유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JDK 21을 사용하시는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요? 현재 JDK LTS 릴리스가 17 다음에 21인것으로 알고 있는데 제가 찾아본 바로는 21보다는 17이 현재까지는 더 안정성이 있고, 여러 패치와 업데이트를 통해 성숙한 상태여서 커뮤니티도 더욱 활발하다고 합니다.반면에 21의 경우에는 아직은 이런저런 에러들이 발생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단지 최신 버전이라서가 아닌 특별한 이유가 있으시다면 그 이유를 알고싶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Card 객체의 suit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이번 강의를 시청하고 enum을 제대로 공부를 안했구나 느껴서 다시 중급1편을 보고 왔는데도 Card 객체에서 suit를 생성자로 값을 주입하는걸 너무 이해가 안됩니다. enum타입은 상수라서 그냥 생성자를 이용해서 넣지않고 바로 사용하면 되는거 아닌가요? compareTo, toString에 사용하기 위해 생성자를 이용해서 주입을 하신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스프링으로 전환하기 - 로그 출력 오류
package hello.core; import hello.core.member.Grade; import hello.core.member.Member; import hello.core.member.MemberService;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public class MemberApp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ppConfig appConfig = new AppConfig();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appConfig.memberService(); ApplicationContext applicationContext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ppConfig.class);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applicationContext.getBean("memberService", MemberService.class); Member member = new Member(1L, "memberA", Grade.VIP); memberService.join(member); Member findMember = memberService.findMember(member.getId()); System.out.println("new member = " + member); System.out.println("find Member = " + findMember); } }강의 05:10에 의하면 로그가 출력되어야 하는데, 저는 실행 결과는 정상적으로 출력되지만 로그가 출력되지 않습니다. 어떤 차이인가요?
-
해결됨유니티 시스템 프로그래밍 Pt.1 - 상용 게임 구현을 위한 핵심 시스템 올인원 패키지
UI Canvas가 여러개일 경우
안녕하세요.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다름이 아니라, 강의 내용을 따라 하다 보면UIManager - UICanvasTitle - UICanvas이렇게 한 씬에 UICanvas가 두개 이상 존재할 때가 있는데요.Import한 프리팹에서는 UIManager 밑의 UICamera의 Priority 값이 1로 되어 있고, LobbyUIController나 Title의 UICamera에서는 0으로 되어 있더라구요.그래서 그런지 아래 사진처럼 UIManager의 화면만 나오네요. UICamera들의 Priority 값을 다 0으로 바꿔도 하나의 Canvas만 나오는데, 두 개 이상의 Canvas가 같이 화면에 나오게 하려면 어디를 수정해야 할까요?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OrderApp실행 했을 때 오류가 발생합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커리큘럼의 섹션3 -스프링으로 전환하기 강의에서 MemberApp을 실행 했을 때는 강의처럼 작동 하는데, 7분 23초쯤 OrderApp실행 시 오류가 발생합니다.Spring Version은 3.3.2이며 logback.xml파일을 만들었는데도 발생합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강의소개 질문
안녕하세요. 여기 강의소개 보고 CS 이론이라고 되어 있는데학교에서 배우는 CS theory 랑 같은 맥락의 CS 이론인건가요 ?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정적 메서드 사용 시 public 여부
private 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명확히 붙여주는거같은데 public 의 경우 붙이는 경우도 있고 안 붙이는 경우도 있는 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혹시 기준이 있을까요?
-
해결됨유니티 시스템 프로그래밍 Pt.1 - 상용 게임 구현을 위한 핵심 시스템 올인원 패키지
강의 자료 질문
혹시 '4.3 유저 재화 관리 및 커스텀 메뉴 (UserGoodsData, GoodsUI, CustomTools)' 강의 자료에서 Art/UI/GoodsUI 폴더에 있는 아이콘이 없는게 맞는건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멀티스레드 app 질문
안녕하세요.스레드 강의를 듣던 중에 만들고 싶은 프로그램이 생겨서 질문 드립니다.스크랩 데몬 프로그램을 만들려고 하는데DB에서 url 리스트를 조회하고리스트를 스레드 갯수만큼 분할한 뒤멀티 스레드를 활용해서 각 스레드에서 스크랩을 하고 DB에 저장 한 뒤 잠시 sleep위를 무한 반복하는 역할을 합니다.lombok, logging, dev, prod.yml config 등 springboot의 편리함을 사용하고 싶고gradle을 활용하여 멀티 모듈로 작성할 계획인데(DAC: JPA를 사용하는 역할은 따로 분리, infra mailling 등 분리)spring-boot-starter만 web 없이 사용해서 구현하려고 했더니 마땅히 작성할 위치가 보이지 않아 일단 ApplicationRunner를 구현하고 작성하였는데 문제는 build 시에 ApplicationRunner를 springboot가 실행하여서 무한 반복에 빠져서 빌드가 완료가 안됩니다.이를 환경변 수 등을 이용해서 피할 수는 있겠으나이러다보니 springboot에 작성하는게 잘못된건가 싶기도하고 그냥 쌩 자바 프로그램으로 하는게 맞을까요?선생님이시라면 어떻게 구현을 하실지 의견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자바 개발자를 위한 코틀린 입문(Java to Kotlin Starter Guide)
코틀린 싱글톤 질문
강사님께서 코틀린으로 서버를 만드실 때 object로 싱글톤 만드는 방법을 사용하지는 않는다고 하셨는데 실제 현업에서 이러한 방식으로 싱글톤을 많이 안만드나요? 혹시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는 현업에서의 예제가 있다면 어떤게 있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열거형 if문 -> switch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DiscountService에서 작성한 if문,swich문 변경 가능하다고 하여 작성해보았는데, 이렇게 사용하는게 맞는지맞다면 좋은 코드인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join() 시 CPU 점유 여부
join()시에 스레드는 CPU를 점유한 상태에서 대기하는 건가요? 아니면 스레드 큐에 들어가있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기본형vs참조형3-메서드호출과 관련해서 Integer 객체와 관련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의의 10분51초에서 참조형 객체는 함수로 매개변수를 불러들일경우, 주소값을 가져와서 함수내에서 값이 변경되면 주소값의 값이 바뀐다고 들었습니다.다만, Integer 객체의 경우, 참조객체인것으로 알고있는데,아래와 같이 Data 가 아닌 Integer 객체를 전달하니 두 결과가 모두 10이 나옵니다.Integer 값은 왜 바뀌지 않는것인가요?public class Ref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 Integer a = 10; System.out.println(a); change(a); System.out.println(a); } private static void change(Integer x){ x =20; } }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람다식과 스트림에 대해서는 강의가 없을까요!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 개발자를 위한 코틀린 입문(Java to Kotlin Starter Guide)
가변인자 외에 추가로 다른 타입의 인자를 받는 경우에는 어떻게 하나요?
가변인자 외에 추가로 다른 타입의 인자를 받는 경우에는 어떻게 하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언체크 예외를 던질 때
자바 오버라이딩 규칙 중에서 부모보다 같거나 적은 개수의 예외를 던져야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Runnable 구현 클래스의 run()에 'throws RuntimeException'을 선언하면 컴파일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데 왜 그런건가요? 부모보다 많은 개수의 예외를 던졌으니 컴파일 오류가 발생해야 하는 것 아닌가요..?제가 무엇을 잘못 알고 있는 걸까요?
-
해결됨C개발자를 위한 최소한의 C++
복사 생성자 질문 드립니다.
21분37초의 코드와 결과를 보면 testFunc(10)에서 반환한 인스턴스가 블록을 벗어남과 동시에 소멸을 하게 되어서 ~TestData(10)이 먼저 나와야 할 것 같은데 결과는 ~TestData(100)이 먼저 프린트 되고 있습니다. 강의 중간 부분까지는 강사님이 "객체는 블록을 벗어나면서 소멸되고, 복사 생성자가 호출이 되어서..." 이런 방법으로 설명해주시다가 21분 37초의 코드는 결과만 보여주고 넘어가셔서. 정확히 어떤것 때문에 저런 결과가 나왔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static 관련해서 메모리 구조가 헷갈립니다.
궁금한 점static 메서드는 일반메서드처럼 메서드 영역에 위치하나요? 1-1. 맞다면, static 키워드의 단점으로 GC에 대상이 되지 않아서 자주 사용한다면 메모리 효율이 떨어진다고 알고있습니다. 그런데 static 메서드나 일반메서드나 GC 대상이 되지 않는 메모리 영역에 있는거 아닌가요? 아니라면 어디에 위치하는지 궁금합니다.제가 궁금하게 된 계기가 유틸 클래스를 주로 @Bean이 아닌 staitc 메서드를 모아둔 형태로 사용하는 이유가 궁금해서 찾아보다가 다른 영한님 서포터즈 분이 답변하신 글을 보았습니다.https://www.inflearn.com/community/questions/472317/%EC%98%81%ED%95%9C%EB%8B%98-%EC%A7%88%EB%AC%B8%EB%93%9C%EB%A6%BD%EB%8B%88%EB%8B%A4"사용빈도가 너무 희소하다면, static으로 관리하기 보단 필요할떄마다 new 로 생성해서 쓰는게 더 효율적일 수도 있습니다. GC의 효율이 예전처럼 나쁘지 않습니다. 자주 사용하지 않는 객체를 메모리에 상주시키것이 더 낭비일 수 있습니다."위 답변으로 미루어 보아 단순히 static 메서드가 메모리에 올라가는게 아니라 힙 영역이 아닌 static 메서드를 가지고 있는 객체 형태(?)로 다른 메모리에 올라간다고 이해해서 헷갈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