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이론 요약본 pdf파일 어디서 다운받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방금 결제하고 여기저기 찾아봐도 이론 요약본 pdf파일을 어디서 다운받는지 잘 모르겠네요.제가 인프런 사용이 처음이라서 번거로우시겠지만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2025 벼락치기 합격! 기출문제 집중 정보처리기사 실기
25년 2회 12~16 라운드로빈
대기시간 구할 때대기시간 = 도착시간+실행시간인데만일 P4의 도착시간이 5초라고하면 계산이 달라지는 것 같습니다. P1이 그전에 종료가 되서..이럴 땐 어떻해야할까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COUNT 쿼리에 LIMIT
안녕하세요COUNT 쿼리에 LIMIT 를 지정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설명해주셨는데 놓친건지 모르겠네요ㅜ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5:20 널문자관련
앞선 코드에서는 구조체의 name(char x[]배열)에 데이터를 넣고 널문자를 넣지 않았는데 넣나 안넣나 상관이 없나요?
-
해결됨2025 벼락치기 합격! 기출문제 집중 정보처리기사 실기
25년 2회 8~11
9분48초에서첫번째 ref.x(2)는 child로 가고ref.id()는 parent로 가는지다시 정확하게 설명부탁드립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메모리 주소 및 배열 관련
포인터 조작과 출제 패턴 (2. 포인터 증가/감소, 이중 포인터) 9:35printf("%c\n", *(ptr_a+1)); 여기서 ptr은 str[] 배열이기 때문에 H값이 온다는 것은 이해를 했는데 printf할 때 배열 단위로 오면printf("%c\n", *(ptr_a+1)) 오는 것 같고배열에서 특정 위치를 표현하는printf("%c\n", ptr_a[1])가 오는 것 같은데같은 배열을 이용하는 건데 * 사용 대해서 차이가 위 설명이 맞을까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메모리 주소 및 배열 관련
포인터 조작과 출제 패턴 (2. 포인터 증가/감소, 이중 포인터) 3:36배열의 경우는 메모리 주소와 같은 개념이라고 이해했는데 char *ptr_a=a; 경우 a는 배열 내 첫번째 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H"로 지정된다는 것을 이해를 했습니다.다만, printf("%c/n", *ptr_a);에서 변수 앞에 출력하고자하는 변수 앞에 *가 있으면 해당 메모리 주소의 값으로 출력이 된다고 하였는데배열일 경우, printf("%c/n", *ptr_a) 값과 printf("%c/n", ptr_a) 값은 같은건가요?일반적으로 *가 없으면 메모리 주소를 출력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혹시 다음 편은 언제쯤 오픈할까요?
안녕하세요 토비님. 강의 잘 수강하고 있습니다.아직 강의 초반부만 들었지만, 아주 감명깊게 수강중입니다.혹시 다음강의 오픈은 언제쯤 예상하고 계실까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코딩 언어와 교재 간 불일치
포인터의 개념과 활용 (1.메모리 주소에 접근하자) 챕터에서 10:21 챕터 화면에는 printf("%d\n", pointer);교재에는 printf("%d\n", *pointer); 서로 달라서 뭐가 맞는건지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단일연산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final Stock stock = stockRepository.getByProductId(productId); stock.decrease(quantity); stockRepository.save(stock) public void decrease(final Long quantity) { if (this.quantity - quantity < 0) { throw new RuntimeException("재고 부족"); } this.quantity -= quantity; } 락을 건 이유는 decrease 로직에서 quantity를 줄이고 다시 저장했기 때문이라 생각했습니다. stock 상태가 코드레벨에서 변하기 때문에 발생하기 때문입니다.다만 코드레벨에서 변경하지 않고 디비에서 직접 변경한다면(update stock quantity=quantity-1 과 같이) update 자체가 배타락이기 때문에 굳이 락을 걸지 않아도 된다고 판단하였습니다. 그래서 단일 연산으로 해결할 수 없는 상황은 quantity 필드 뿐만 아니라 다른 필드에도 영향이 미칠 때라 생각했습니다. stock 필드에 soft delete 필드 delYn을 추가하고,코드 상에서 만약 재고가 0이면 delYn=True 로 바꾼다 이런 경우일 것 같은데 제가 생각한게 맞을까요? 단일 연산으로도 정합성을 유지할 수 있는데 왜 stock을 다시 저장하는지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게시글 조회 최적화 전략 도입 관련, 조회수 원본 데이터와 비교하였을때 원본과 캐싱 데이터 모두 Redis에서 추출하는 데이터임에도 (별도의 key 운용 등) Redis 캐싱 과정을 원본추출 과정과 따로 간주하는 이유(데이터를 가져오는 과정만 보았을때)
학습 관련 질문을 최대한 상세히 남겨주세요!고민 과정도 같이 나열해주셔도 좋습니다.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안녕하세요 선생님!지난번에 남겨주신 답변내용을 보면서 전략도입의 배경부터 처리과정까지 복기해보았습니다.그러다가 의문이 생긴 점이 있습니다.1) 의문점Request Collapsing, 캐싱중복적재를 제외하고 캐싱하여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만을 보았을때, 원본과 캐싱 데이터 모두 Redis에서 추출해오는 것인데, 원본추출과 비교하였을때 과정적으로 어떠한 차이점이 추가적으로 있있기에 별도의 과정으로 간주하는 것일까? 즉, "캐싱하여 가지고 오는 과정"과 "원본 데이터 추출"을 따로 보고 계셨기에,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의문점이 들었습니다. 2) 의문점이 생긴 이유단순하게 간략히 말씀드리자면,조회수 원본데이터는 Redis에서 가져오는 조회수이고, 캐싱해서 가져오는 것 역시 Redis에서 가져오는 조회수로 보여집니다. 원본데이터가 MySQL과 같은 디스크 조회 비용이 큰 저장소에 들어있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In Memory database인 Redis에서 가져오는 것이기에 성능/비용적으로 캐싱 데이터를 가지고 오는 것에 큰 이점을 느끼지 못하였습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았을때,ViewClient에서 원본 데이터를 가지고 오는 경우 아래 로직을 통해 Redis에서 추출합니다.articleViewCountRepository.read(articleId);이떄 key는 view::article::#articleId::view_count 입니다.ViewClient에서 Aspect를 처리하여 캐싱 데이터를 가지고 오는 경우 Redis에서 추출합니다.이때 key는 articleViewCount::#articleId입니다.이 과정에 대해 캐싱을 하는 목적을 생각해보았을때(=원본데이터 추출에 시간이 오래 걸릴 경우 성능이 빠른 다른 데이터저장소를 운용하여 이곳에서 데이터를 추출해오기 위함), 동일하게 Redis에서 추출하는 데이터임에에도 key를 별도로 운용하고,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도 다르게 가져가는(간주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하여 문의코자 합니다(물론 전체 로직을 살펴보았을때는 기존 대비 중복적재/Request Collapsing 과정을 추가하였기에 당연히 성능적인 이점이 존재하겠지만, 데이터를 가져오는 과정 그 자체만을 보았을때는 의문점이 들었습니다). 이게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이 다르기에, 동일한 key로 운용하면 실무적으로 로직이나 key관리방안이 복잡해져서 관리의 효율화를 위해 나누는 것일까요(즉, 기존과 달리 분산락도 사용하고 중복적재를 방지하기 위해 이용하므로 목적 자체가 다르기에 key 포맷 및 캐싱을 별도로 운용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적절한지)? 제가 캐싱의 목적 부터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것일 수 있고, 실무적으로 비용/성능적 유리하다는 의미가 무엇인지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것일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챗지피티에게 물어보기보다는 실무적으로 경험이 풍부하시고 그만큼 검증된 선생님의 판단이 더 정확하고 궁금하여 질문드리게 되었습니다. 바쁘신데도 항상 성심성의껏 답변해주시는 선생님께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이효균 드림.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윈도우 gradlew.bat 에러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프로젝트 지웠다가 처음부터 다시 해보기도 하고 질문글 따라 보면서 해봐도 에러가 떠서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어요.. .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puts 함수 자동개행 관련
배열과 문자열 챕터로12:23에 서 2.puts 함수로 출력(자동 개행)puts("2. ");puts(st); 위 코드가 확인되는데, 2. 하고 뒤에 공백 1칸 있는 이유와 puts(str)인데 puts라는 함수가 \n 없어서 자동개행된다는 의미일까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포인터 작성요령
21:09지금 까지 이해한 포인터의 방법은 주소 사용할때는 & 또는 생략, 값을 사용할때는 *로 이해하고 있습니다.해당 printf("%s\n", arr[0][0]); 라는 구문에 질문이 있습니다.포인터 변수로 해당 문자열의 주소를 각 맵핑하였고 배열에 맞게 출력하는걸로 해석이 되는데 이때 왜 값을 안 가져오고 주소를 가져오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s로 출력하고 해서 주소대신에 값으로 가져오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Java: 상속을 정리하는 문제 10개에서 유형 9번
유형 9번에서 처음에 Child obj = new Child(); 의 뜻이 Child 타입의 새로운 생성자를 생성하는 것이고, 이 생성자의 자식 class로 갔는데, 생성자가 없고, 부모에도 생성자가 없어서 출력되는 값은 없는 것이고, 그 뒤의 obj.display()코드를 실행해 display의 메서드에서 부모로부터 상속받아 Parent display, Child display가 답이 되는것이 맞을까요?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서비스 단위 테스트 코드 작성
MemberFinder 와 같은 유즈케이스 단위로 통합 테스트를 분리 해서 작성하셨는데 단위 테스트의 경우에는 분리를 어떻게 하시나요? MemberService (Query, Modify) 가 없이는 코드가 작성이 되질 않아서 질문 드립니다.
-
미해결Java개발자가 알려주는 Cursor AI
8강 강의영상 나오지 않습니다.
8강 강의영상 나오지 않습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domain 모듈에 entity를 정의한다고 했을때
안녕하세요.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domain 패키지에 entity를 위치 한다고 했을때 주석이라고 말씀하신 어노테이션 JPA @Entity를 만들어서 Member로 정의그리고 mongo DB도 필요해서 @Document를 정의해서 domain 패키지에 위치 시켜 Member로 정의이처럼 같은 도메인이 서로 다른 DB로 사용 될때 어떻게 도메인으로 정의해야할지 궁금합니다.그리고 이름이 중복되는 현상도 발생하기도 합니다. 그렇다고 OracleMember, MongoMember로 지을수도 없는것같습니다. 제 생각은 Member라는 도메인이 Domain 패지키에 별도로 나와서 adapter 안에 JPA Persistent의@Entity로 정의된 클래스와Mongo Persistent의 @Document로 정의된 클래스가 위치 되어야한다고 생각하는데 어떤 의견이신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수업 자료
안녕하세요! 영상강의 없이 글로 수업 자료만 기재돼있는건 따로 pdf파일이 없는건가요? 23강 24강 25강같이 수업 자료 라고만 있는 강의들이요!
-
미해결멀티 모듈 아키텍처로 구현하는 은행 서버 핵심 기능 [ Kotlin & Spring ]
멀티모듈 초기설정
지금 Swagger 적용하기 보고있는데Application.kt 파일 을 작성하는데스프링이 적용이안돼는지 어노테이션 이 원래 빨갛고 노랗게 떠야하는데 안뜨네요강의보고 따라하는중인데 어떻게해야될지 잘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