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MySQL 연결 에러
안녕하세요. 실습 도중 MySQL이 연결되지 않아서 실습을 진행할 수 없어 문의를 남기게 되었습니다. 서버 자체는 실행이되는데 아래 사진처럼 사용자 등록, 책 등록을 하거나 목록으로 들어가려 하면 서버 내부 오류라는 메세지가 뜹니다.DB를 통해서 확인해 보려고 해도 'Connection refused: connect'이런 오류 메세지만 뜨고 실행이 되지 않습니다.데이터 베이스의 properties에 들어가서 다시 연결해보려고 했는데, 아래의 연결 코드와 같이 뜨고 연결이 되지 않습니다.DBMS: MySQL (ver. 8.0.40)Case sensitivity: plain=lower, delimited=lowerDriver: MySQL Connector/J (ver. mysql-connector-j-8.2.0 (Revision: 06a1f724497fd81c6a659131fda822c9e5085b6c), JDBC4.2)Connection refused: connect. MySQL Command Line Client로 들어가서 초기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에러 메세지가 뜨지 않고 그대로 종료됩니다. 검색해보니 MySQL 서버가 실행되지 않아서 그런 거라고 해서 MySQL 서비스 시작을 하려고 했는데이런 메세지만 뜨고 서비스 상태가 '중지됨'으로 나오는데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에러 로그2025-01-11 17:09:37.285 ERROR 17852 --- [ main]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HikariPool-1 - Exception during pool initialization.com.mysql.cj.jdbc.exceptions.CommunicationsException: Communications link failureThe last packet sent successfully to the server was 0 milliseconds ago. The driver has not received any packets from the server.at com.mysql.cj.jdbc.exceptions.SQLError.createCommunicationsException(SQLError.java:174) ~[mysql-connector-j-8.0.31.jar:8.0.31]at com.mysql.cj.jdbc.exceptions.SQLExceptionsMapping.translateException(SQLExceptionsMapping.java:64) ~[mysql-connector-j-8.0.31.jar:8.0.31]at com.mysql.cj.jdbc.ConnectionImpl.createNewIO(ConnectionImpl.java:828) ~[mysql-connector-j-8.0.31.jar:8.0.31]at com.mysql.cj.jdbc.ConnectionImpl.<init>(ConnectionImpl.java:448) ~[mysql-connector-j-8.0.31.jar:8.0.31]at com.mysql.cj.jdbc.ConnectionImpl.getInstance(ConnectionImpl.java:241) ~[mysql-connector-j-8.0.31.jar:8.0.31]at com.mysql.cj.jdbc.NonRegisteringDriver.connect(NonRegisteringDriver.java:198) ~[mysql-connector-j-8.0.31.jar:8.0.31]at com.zaxxer.hikari.util.DriverDataSource.getConnection(DriverDataSource.java:138) ~[HikariCP-4.0.3.jar:na]at com.zaxxer.hikari.pool.PoolBase.newConnection(PoolBase.java:364) ~[HikariCP-4.0.3.jar:na]at com.zaxxer.hikari.pool.PoolBase.newPoolEntry(PoolBase.java:206) ~[HikariCP-4.0.3.jar:na]at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createPoolEntry(HikariPool.java:476) ~[HikariCP-4.0.3.jar:na]at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checkFailFast(HikariPool.java:561) ~[HikariCP-4.0.3.jar:na]at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init>(HikariPool.java:115) ~[HikariCP-4.0.3.jar:na]at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getConnection(HikariDataSource.java:112) ~[HikariCP-4.0.3.jar:na]at org.hibernate.engine.jdbc.connections.internal.DatasourceConnectionProviderImpl.getConnection(DatasourceConnectionProviderImpl.java:122) ~[hibernate-core-5.6.14.Final.jar:5.6.14.Final]at org.hibernate.engine.jdbc.env.internal.JdbcEnvironmentInitiator$ConnectionProviderJdbcConnectionAccess.obtainConnection(JdbcEnvironmentInitiator.java:181) ~[hibernate-core-5.6.14.Final.jar:5.6.14.Final]at org.hibernate.engine.jdbc.env.internal.JdbcEnvironmentInitiator.initiateService(JdbcEnvironmentInitiator.java:68) ~[hibernate-core-5.6.14.Final.jar:5.6.14.Final]at org.hibernate.engine.jdbc.env.internal.JdbcEnvironmentInitiator.initiateService(JdbcEnvironmentInitiator.java:35) ~[hibernate-core-5.6.14.Final.jar:5.6.14.Final]at org.hibernate.boot.registry.internal.StandardServiceRegistryImpl.initiateService(StandardServiceRegistryImpl.java:101) ~[hibernate-core-5.6.14.Final.jar:5.6.14.Final]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createService(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63) ~[hibernate-core-5.6.14.Final.jar:5.6.14.Final]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initializeService(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37) ~[hibernate-core-5.6.14.Final.jar:5.6.14.Final]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getService(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14) ~[hibernate-core-5.6.14.Final.jar:5.6.14.Final]at org.hibernate.id.factory.internal.DefaultIdentifierGeneratorFactory.injectServices(DefaultIdentifierGeneratorFactory.java:175) ~[hibernate-core-5.6.14.Final.jar:5.6.14.Final]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injectDependencies(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86) ~[hibernate-core-5.6.14.Final.jar:5.6.14.Final]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initializeService(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43) ~[hibernate-core-5.6.14.Final.jar:5.6.14.Final]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getService(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14) ~[hibernate-core-5.6.14.Final.jar:5.6.14.Final]at org.hibernate.boot.internal.InFlightMetadataCollectorImpl.<init>(InFlightMetadataCollectorImpl.java:173) ~[hibernate-core-5.6.14.Final.jar:5.6.14.Final]at org.hibernate.boot.model.process.spi.MetadataBuildingProcess.complete(MetadataBuildingProcess.java:127) ~[hibernate-core-5.6.14.Final.jar:5.6.14.Final]at org.hibernate.jpa.boot.internal.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metadata(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java:1460) ~[hibernate-core-5.6.14.Final.jar:5.6.14.Final]at org.hibernate.jpa.boot.internal.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build(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java:1494) ~[hibernate-core-5.6.14.Final.jar:5.6.14.Final]at org.springframework.orm.jpa.vendor.SpringHibernateJpaPersistenceProvider.createContainerEntityManagerFactory(SpringHibernateJpaPersistenceProvider.java:58) ~[spring-orm-5.3.24.jar:5.3.24]at org.springframework.orm.jpa.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createNativeEntityManagerFactory(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java:365) ~[spring-orm-5.3.24.jar:5.3.24]at org.springframework.orm.jpa.AbstractEntityManagerFactoryBean.buildNativeEntityManagerFactory(AbstractEntityManagerFactoryBean.java:409) ~[spring-orm-5.3.24.jar:5.3.24]at org.springframework.orm.jpa.AbstractEntityManagerFactoryBean.afterPropertiesSet(AbstractEntityManagerFactoryBean.java:396) ~[spring-orm-5.3.24.jar:5.3.24]at org.springframework.orm.jpa.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afterPropertiesSet(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java:341) ~[spring-orm-5.3.24.jar:5.3.24]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invokeInitMethods(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1863) ~[spring-beans-5.3.24.jar:5.3.24]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initializ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1800) ~[spring-beans-5.3.24.jar:5.3.24]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doCreat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620) ~[spring-beans-5.3.24.jar:5.3.24]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creat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542) ~[spring-beans-5.3.24.jar:5.3.24]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lambda$doGetBean$0(AbstractBeanFactory.java:335) ~[spring-beans-5.3.24.jar:5.3.24]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SingletonBeanRegistry.getSingleton(DefaultSingletonBeanRegistry.java:234) ~[spring-beans-5.3.24.jar:5.3.24]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doGetBean(AbstractBeanFactory.java:333) ~[spring-beans-5.3.24.jar:5.3.24]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getBean(AbstractBeanFactory.java:208) ~[spring-beans-5.3.24.jar:5.3.24]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getBean(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1154) ~[spring-context-5.3.24.jar:5.3.24]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finishBeanFactoryInitialization(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908) ~[spring-context-5.3.24.jar:5.3.24]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refresh(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583) ~[spring-context-5.3.24.jar:5.3.24]at org.springframework.boot.web.servlet.context.ServletWebServerApplicationContext.refresh(ServletWebServerApplicationContext.java:147) ~[spring-boot-2.7.6.jar:2.7.6]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efresh(SpringApplication.java:731) ~[spring-boot-2.7.6.jar:2.7.6]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efreshContext(SpringApplication.java:408) ~[spring-boot-2.7.6.jar:2.7.6]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un(SpringApplication.java:307) ~[spring-boot-2.7.6.jar:2.7.6]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un(SpringApplication.java:1303) ~[spring-boot-2.7.6.jar:2.7.6]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un(SpringApplication.java:1292) ~[spring-boot-2.7.6.jar:2.7.6]at com.group.libraryapp.LibraryAppApplication.main(LibraryAppApplication.java:10) ~[main/:na]Caused by: com.mysql.cj.exceptions.CJCommunicationsException: Communications link failure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Flutter 3.0 앱 개발 - 10개의 프로젝트로 오늘 초보 탈출!
Documents(내 문서) 폴더가 없는데... 어떡하죠?
내 PC > 로컬 디스크(C:) > 사용자 > admin에 Document(내 문서) 폴더가 없습니다.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서버 액션에서 msw의 핸들러를 호출하는 이유?
제가 알기로는 서버 액션은 현재 url, 강의 기준 /i/flow/signup으로 네트워크 요청이 일어나는거로 알고 있는데 msw의 핸들러로 fetch를 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작동하는 코드인가요?const onSubmit = async (formData: FormData) => { "use server"; let shouldRedirect = false; try { const res = await fetch(`${process.env.NEXT_PUBLIC_BASE_URL}/api/users`, { method: "post", credentials: "include", body: formData, }); console.log(res.status); console.log(await res.json()); shouldRedirect = true; } catch (error) { console.error(error); } if (shouldRedirect) { redirect("/home"); } console.log("실행됨"); };위 코드는 SignupModal에서 msw의 핸들러로 form 제출 요청을 보내는 코드이고,http.post(`${baseUrl}/api/users`, () => { console.log("로그인 성공"); return HttpResponse.json({ message: "msw 성공", }); }),이 코드는 핸들러 코드입니다. 요청 url인 http://localhost:3000/api/users로 폼 제출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
class 변수 설정
player1 은 SoccerPlayer에 대한 변수 이름이 가능한데, 왜 다른 영어 문자는 안 돼나요?
-
미해결[리뉴얼] 파이썬입문과 크롤링기초 부트캠프 [파이썬, 웹, 데이터 이해 기본까지] (업데이트)
연습 문제 6번 find 이용 질문
css select대신 find 함수를 사용해서 이런 식으로 작성했더니, 같은 결과가 나오긴 했지만 너무 비효율적인거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더 깔끔하게 find를 사용해서 가져오는 방법이 있을까요?from bs4 import BeautifulSoup import requests url="https://davelee-fun.github.io/" res=requests.get(url) soup=BeautifulSoup(res.content,"html.parser") all=soup.find("div", "text-center") items=all.find("span") ls=[] for item in items : ls.append(item.get_text().strip()) print(ls[1]+" "+ls[2]+" "+ls[3])
-
해결됨[React 2부] 고급 주제와 훅
setValue 메서드를 바인딩 해야 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수업 잘 듣고 있습니다.2.1.4 공급자와 소비자 강의 中 7:04에서 this.setValue = this.setValue.bind(this)를 작성하셨는데 리액트에서의 바인딩이란 자식 컴포넌트에 프로퍼티로 이벤트 핸들러와 다른 함수들을 전달할 때,구체적으로 핸들러 안에서 부모 컴포넌트에 접근할 필요가 있을 때 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setValue는 자식 컴포넌트로 이벤트 핸들러를 넘겨주는 상황이 아닌데 이벤트 바인딩을 해야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화살표 함수를 활용하면 자연스럽게 바인딩이 되는데 왜 화살표함수를 안쓰신 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2023 코틀린 강의 무료제공] 기초에서 수익 창출까지, 안드로이드 프로그래밍 A-Z
아름다운 joyce님께.. runonuithread 문의
start() 함수에서는 runonuithread를 사용하는데 pause랑 refresh 함수에서는 runonuithread 를 안써도 되는건가요? btn_start.text = getString(R.string.btn_start)이런 부분을 보게되면 메인화면에 텍스트를 변경하는것 같은데요??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컴퓨터공학 1: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
운영체제
fopen 과같은 코드는내부적으로 운영체제가 파일을 접근하는 것이기때문에,C프로그램 ( 응용프로그램 ) 은 운영체제를 통해서 파일에 접근한다고 볼수있겟네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DiscountPolicy interface 궁금증
public interface DiscountPolicy { /** * @return 할인 대상 금액 */ int discount(Member member, int price); }인터페이스를 위와 같이 작성하셨는데, 첫 번째 매개변수에 왜 member를 받는 선택을 하셨을까요?Grade enum을 받아 처리하면, 등급에 따른 가격 결과가 나올 수도 있는데..member를 첫 번째 매개변수로 받게 되면 어짜피 객체가 가지고 있는 Grade 값을 사용할 것 같아서요. 궁금해서 여쭙습니다!
-
미해결윈도우 악성코드(malware) 분석 입문 과정
pestudio 버전이 64비트 운영체제에서만 실행되요
지금 영상에서는 32비트 윈도우에서 진행하는데 제가 지금 32비트에서 pestudio를 실행하니 이제 64비트 운영체제에서만 실행되는거 같아 제가 따로 윈도우7 64비트 운영체제를 설치했더니 이번엔 공유폴더가 안되네요 방법이 없나요?
-
미해결설계독학맛비's 실전 Verilog HDL Season 1 (Clock부터 Internal Memory까지)
modeling code?
안녕하세요 🙂[1. 질문 챕터] : 2장 12분 40초[2. 질문 내용] : modeling code이기 때문에 실제 하드웨어 모듈이 되면 안된다고 하셨는데 이 부분이 잘 이해가 안됩니다ㅠ베릴로그로 모듈 내용을 작성하고 synthesis 를 통해 실제 하드웨어로 만들 수 있게 바꾸는거 아닌가요?모델링 코드의 역할이 실제 하드웨어에 들어가는 모듈을 작성하기 전에 모듈의 동작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사용하는건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영한님 인텔리제이 키설정 관련해서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영한님, 인텔리제이 단축키 설정은 기본 맥 설정 그대로 사용하시나요? 그리고 현업에서 윈도우와 맥 환경을 번갈아가며 사용하는 일도 있을까요? 키세팅을 통일시켜야할지 각 환경에 맞는 키설정을 그대로 쓰는게 협업이나 여러면에서 좋을지 고민입니다.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github 7-3 업데이트
안녕하세요 강사님해당 7.3 섹션의 깃헙은 업데이트가 안되이어있는 것 같습니다.소소한 제보 드립니다... https://github.com/winterlood/onebite-react-v2/tree/main/section07/chapter03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트랜잭션 동기화 문제
안녕하세요. 트랜잭션 동기화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강의에서는 "JPA와 JdbcTemplate 두 기술을 함께 사용하면 트랜잭션 매니저가 달라진다." 라고 하셨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JpaTransactionManager가 다른 트랙잭션 매니저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각각의 트랙잭션 매니저가 달라도 트랜잭션 시작 시 획득한 커넥션이 동일한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의 쓰레드 로컬에 보관되기 때문에 레포지토리 계층에서 JPA, mybatis, JdbcTemplate 기술과 상관없이 같은 커넥션을 보장 받을 수 있지 않나요?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npm create vite@lastest 명령어 입력 시 오류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npm create vite@lastest 명령어 입력시 아래와 같이 오류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 알수있을까요? => 노드 버전 (v22. 12. 0)=> 사용자 계정명 영어오류 발생했을 때 확인 부분1. npm 버전이 낮아 현재 11버전으로 업데이트 진행2. npm chche clean --force 진행 후 명령어 재실행 발생한 에러 메세지C:\Users\dwkim\Desktop\study\React\oneBite-React>npm create vite@lastestnpm error code ETARGETnpm error notarget No matching version found for create-vite@lastest.npm error notarget In most cases you or one of your dependencies are requestingnpm error notarget a package version that doesn't exist.npm error A complete log of this run can be found in: C:\Users\dwkim\AppData\Local\npm-cache\_logs\2025-01-11T02_29_00_002Z-debug-0.log
-
미해결실무에서 바로 쓰는 SQL [SQL200제 저자 직강]
맥북 설치
맥 유저는 다운로드를 어떻게 하나요
-
미해결[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1: C++ 프로그래밍 입문
2를 더하는 이유
%include "io64.inc" section .textglobal mainmain:mov rbp, rsp; for correct debugging PRINT_HEX 2, [b]NEWLINEPRINT_HEX 2, [b + 2]NEWLINEPRINT_HEX 2, [b + 4]NEWLINEPRINT_HEX 2, [b + 6] xor rax, raxret section .datab dw 0x0001, 0x0001, 0x0001, 0x0001 위 코드에서 2를 더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1씩 더하면 왜 1 100 1 100이라 나오는지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실리콘밸리 빅테크 29개의 실습으로 배우는 시스템 디자인 설계
Spotify 서비스 시스템 디자인 및 스케일링에서 백업 클러스터 사용에 대한 문의
시스템 디자인 관련 질문강의 말미에 서비스 fail 시에 use backup clusters로 언급만하고 넘어가셨는데 좀 더 자세하게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fail 되는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내부의 시스템들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궁금합니다fail에서 정상으로 복구하게 되면 어떤 절차에 따라서 다시 원래의 서비스로 전환되는지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문풀반]작정하고 풀어보는 SQL 쿼리 50제 (상) - 코테대비
디스코드 서버 만료? 참가 권한 없다네요
강의 관련 질문은 인프런 내의 수강탭 혹은 강의 커뮤니티에서 자유롭게 해주세요!디스코드 커뮤니티 초대링크:https://discord.gg/V6HTP66G위의 초대링크로 들어갔는데 이게 뜨는데, 어떻게 참가하면 될까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실무에서의 락
안녕하세요. 현재 좋아요 부분에서 락에 관련해서 강의를 듣고 있습니다. 궁금한 점은 실무에서는 어떻게 사용을 하시는지 궁금합니다.왜냐하면 대부분 실무에서는 테이블 자체를 논리적 외래키로 전부 가져가는 경우를 많이 봤었습니다.외주를 부탁한 외부 업체 또한 낙관적 락을 사용하는 케이스를 봤구요. 강사님께서 일하시는 곳에서는 락의 3가지 케이스를 다양하게 필요에 맞게 사용하는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