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컴포지션 , 정적팩토리메서드
강의를 듣던 중 다른 클레스를 참조 하거나 자기 클래스 이름으로 만들어진 함수가 있길래 구글링을 해보았는데 (정적 팩토리 메서드) 디자인 패턴이라는 개념이 있더라구요,,, 혹시 디자인 패턴에 관한 강의도 있나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내부 클래스, 코드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car 클래스 engine클래스르 리팩토링 후에 car에 engine을 넣는것을 보았습니다. 그리고 그것을 좀 살펴 보던 중에,engine 안에 있는 start() 메서드를 private로 바꿔 보면 어떨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고,구동 결과가이렇게 되었습니다.stop()이라는 메서드를 추가하고 여기 메서드에 private로 바꾸고 start()는 그대로 public임영한님은 Enige이라는 클래스만 private로 바꾸고 나머지 메서드는 public로 놔두었는데,메서드도 private로 바꾸는게 낳을까요? 아니면 그냥 그대로 놔두는것이 좋을까요?답변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안쪽에 있는 클래스가 외부에서 사용되는 경우는 어느 경우 인가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을 남깁니다.섹션7 - 정적 중첩클래스의 활용 - 8분때 중첩클래스의 접근 에서,흔하지는 않지만 안쪽에 있는 클래스가 외부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그래서 어떨때 안쪽 클래스가 외부에서 사용될까?라는 궁금증이 생겼습니다.일단 두가지를 생각해 보았는데,헌혈을 할때(피를 다른사람에게 줄대)차에서 기름을 뺄때(차에 있는 기름을 기름통에 담음) 이 두가지 경우가 있기는 한데 코딩이랑은 좀 상관이 없는것 같아서 어떻게 쓸까? 라는 감이 안 잡히네요. 어느 때에 사용하는지 알켜 주실 수 있으신가요?답변 부탁 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Map 동작 매커니즘
Map을 만들어주고 키로 string을 받아줬을 뿐인데 키 자리에 뭐가 들어가는지는 어떻게 결정되나요? 각 discount policy의 이름을 키로 넣어라라는 주문을 한적이 없는데 어떻게 들어간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CoreApplicationTests 오류 질문드립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에러 내용현재 CoreApplicationTests를 돌리면 오류가 나서 질문 올려봅니다.잘은 모르지만 고치려고 제 코드와 오류를 살펴보니 MemberServiceImpl과, OrderServiceImpl 둘의 클래스 각각 @Autowired 어노테이션이 적용된 생성자에 주입해지는 MemberRepository 타입 객체가? 빈에 등록된게 두개라 둘 중 뭘 넣지 못한다는 형식의 오류 같습니다. (확실하지 않아서 모르겠어서 질문 드립니다). 시도한 부분자주묻는 질문란에 스프링 부트 3.X 매개변수 이름 인식 문제에 대해서 인식하고 @Autowired 관련 문제 해결방안 3인 인텔리제이의 설정 부분에서 Build and run using를 Gradle로 설정하고 돌려도 똑같더라구요.그래서 아직까지 문제가 정확히 무엇인지 파악하지 못하겠습니다.하단에 에러 메세지와 코드 덧붙였습니다. 한번 봐주신다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ㅠ 코드압축본https://drive.google.com/file/d/1WdsaN07LSBwaHzlae8WMEj-0wwYnOM5c/view?usp=sharing 에러메세지 (게시글 용량때문에 중요해 보이는 에러만 가지고 와봤습니다) 테스트 실행했을 때 Test Results - CoreApplicationTest - contextLoads의 에러 내용입니다Failed to load ApplicationContext for [MergedContextConfiguration@36681447 testClass = hello.core.CoreApplicationTests, locations = [], classes = [hello.core.CoreApplication], contextInitializerClasses = [], activeProfiles = [], propertySourceDescriptors = [], propertySourceProperties =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ContextBootstrapper=true"], contextCustomizers =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actuate.observability.ObservabilityContextCustomizerFactory$DisableObservabilityContextCustomizer@1f,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properties.PropertyMappingContextCustomizer@0,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web.servlet.WebDriverContextCustomizer@192d74fb,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filter.ExcludeFilterContextCustomizer@66ce957f, org.springframework.boot.test.json.DuplicateJsonObjectContextCustomizerFactory$DuplicateJsonObjectContextCustomizer@efde75f, org.springframework.boot.test.mock.mockito.MockitoContextCustomizer@0, org.springframework.boot.test.web.client.TestRestTemplateContextCustomizer@7894f09b,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Annotation@fd6d726d], contextLoader =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ContextLoader, parent = null]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Failed to load ApplicationContext for [MergedContextConfiguration@36681447 testClass = hello.core.CoreApplicationTests, locations = [], classes = [hello.core.CoreApplication], contextInitializerClasses = [], activeProfiles = [], propertySourceDescriptors = [], propertySourceProperties =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ContextBootstrapper=true"], contextCustomizers =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actuate.observability.ObservabilityContextCustomizerFactory$DisableObservabilityContextCustomizer@1f,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properties.PropertyMappingContextCustomizer@0,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web.servlet.WebDriverContextCustomizer@192d74fb,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filter.ExcludeFilterContextCustomizer@66ce957f, org.springframework.boot.test.json.DuplicateJsonObjectContextCustomizerFactory$DuplicateJsonObjectContextCustomizer@efde75f, org.springframework.boot.test.mock.mockito.MockitoContextCustomizer@0, org.springframework.boot.test.web.client.TestRestTemplateContextCustomizer@7894f09b,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Annotation@fd6d726d], contextLoader =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ContextLoader, parent = null] 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NoUniqueBeanDefinitionException: No qualifying bean of type 'hello.core.member.MemberRepository' available: expected single matching bean but found 2: memoryMemberRepository,MemberRepository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memberServiceImpl' defined in file [/Users/sun/workspace/intelliJ/spring/study/core/build/classes/java/main/hello/core/member/MemberServiceImpl.class]: Unsatisfied dependency expressed through constructor parameter 0: No qualifying bean of type 'hello.core.member.MemberRepository' available: expected single matching bean but found 2: memoryMemberRepository,MemberRepository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memberServiceImpl' defined in file [/Users/sun/workspace/intelliJ/spring/study/core/build/classes/java/main/hello/core/member/MemberServiceImpl.class]: Unsatisfied dependency expressed through constructor parameter 0: No qualifying bean of type 'hello.core.member.MemberRepository' available: expected single matching bean but found 2: memoryMemberRepository,MemberRepository 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NoUniqueBeanDefinitionException: No qualifying bean of type 'hello.core.member.MemberRepository' available: expected single matching bean but found 2: memoryMemberRepository,MemberRepository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중첩 클래스 및 내부 클래스 코드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중첩 클래스를 복습하다가, 동영상 강의 에서여기 있는 코드를 보고, 정적 중첩 클래스랑, 내부 클래스 이렇게 같이 사용된 적이 있을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실무 에서 정적 중첩 클래스랑, 내부 클래스 이렇게 두가지 경우가 같이 사용하신 적이 있으신가요?답변 부탁 드립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중첩 클래스(내부)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중첩 클래스(내부 클래스)를 공부하면서 뭔가? 상속관계랑 비슷한것 같아서 질문을 남깁니다.김예린 님의 이글 <- 을 보면서 어떻게 설명할까 코드를 만들면서 이거 저것 시도해 보다가,super.name = name; 도 가능 하다는 것을 보고 답변을 포기 했었는데, 중첩 클래스 관련 강의를 들으면서 좀 비슷한것 같은데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이유는자식 클래스에서 name이라는 인스턴스 변수가 없지만 부모클래스의 name이라는 인스턴스 변수를 쓸수 있음이름이 같을때 super라는 키워드를 통하여서 구분가능.이것을 통하여서 비슷하다고 생각하였는데.저의 생각이 잘못 된 건가요? 아니면 좀 비슷하다고 생각해도 되는건가요? 이것에 대해서 잘못 이해를 하고 있다면 교정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내용이 이상해서 수정함 죄송합니다. 이유도 안쓰고 말도 뭔가 안맞았엇네요.)수정2.복습하다 보니까. 상속이랑 중첩이랑 틀린게 구분이 가네요. 상속은 private의 정보를 못가져오고 중첩은 private에 있는 정보를 가져올수 있네요.. 어제 어떤 분에게 거북이 마음을 이야기 햇는데, 저가 거북이 마음이 안된것 같네요. 죄송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final
public class Data{ public int value; }로 만들고 public class FinalRef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inal Data data = new Data(); }} 이렇게 final을 붙여서 선언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이해되지 않습니다..참조 대상인 final data를 변경하지 못하는 것이지, 참조하는 대상의 값인 Data 인스턴스의 값은 변경할 수 있다는게 무슨 말인지 강의를 들어도 이해되지 않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배열 링크드리스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안녕하세요.자바 HashSet 구현을 할때 이렇게 링크드 리스트를 이용하여 배열을 만들었는데, 질문이 있습니다. ArrayList 와 LinkedList 중 LikedList 를 사용한 이유는 O(x) 가 더 빠르기 때문인가요 ? 어떠한 장점이 있길래 LinkedList 를 결정한건지 모르겠습니다.제가 추측하기로는 buckets 내의 각각의 인덱스에 링크드 리스트가 필요하기 때문에 배열 타입을 링크드 리스트로 결정한 것인가요 ?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HashSet 최적화
우리가 ArrayList 에서 LinkedList로 넘어온 이유가배열 메모리 확보로 인한 낭비로 인해 경우에 따라서 LinkedList 를 사용해야한다고 알고 있는데, set 에서도 ArrayList 처럼 배열 메모리를 확보해두고 배열의 크기를 2배씩 늘리는 식으로 작동하나요 ?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상속으로 부모클래스에 접근
[질문 내용]상속 단원에 문제와 풀이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영한님께서는 상위 클래스의 필드에 접근하기 위해서 자식 클래스의 생성자 부분에서, super(name, price)을 사용하고 계십니다. 그 이유는 부모 클래스의 생성자가 기본 생성자가 아니기에, super을 생략하지 않고, 적은 것이지요.여기서. 부모 클래스의 생성자를 기본 생성자로 하고, 자식 클래스의 생성자 부분에서 name과 price를 불러들어와 값을 저장하고 싶을 때 this.name = name; this.price=price;로 접근해도 괜찮은가요?(부모 클래스의 필드가 public이였을 때)
-
해결됨오브젝트 - 기초편
DIP vs OCP
다른 질문 답변에 DAO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이유DAO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이유는 다양한 DAO 구현체를 제공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의존성을 끊기 위해서입니다.이렇게 답변을 하신게 있는데, 그렇다면 DAO에 인터테이스를 사용하는 주된이유는 SOLID원칙 중 DIP원칙을 통해서 의존성을 끊기 위해서라고 이해를 했습니다그런데 OCP와 DIP가 의미적인 부분에서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는 것 같기도 하고,, 좀 구별하기가 어려운 것 같습니다추가적으로 같이 달아주신 블로그 링크도 확인했지만 여전히 모호한 것 같습니다둘다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구현을 할 수 있지만 OCP는 다양한 DAO구현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에 초점을 맞춘 것이고, DIP는 의존성을 끊기 위한 것에 초점을 맞춘 것이라고 이해하면 될까요흠,, 명확하게 이해하진 못한 것 같습니다 어떻게 이해해야될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객체지향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 자바에 대해 깊이 학습하고자 다시 기초부터 배우고있는 주니어 개발자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현재 목차에서 데이터와 기능들이 분리되어 있는것은 유지보수 관점에서 힘들기때문에 그 둘을 묶기위한 설계가 객체지향이라고 이해를 했는데요. 스프링 관점에서 보면 데이터의 무결성을 지키기위해 데이터(dto) 와 서비스는 분리하는 설계를 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일반 자바와 스프링은 조금 다른 시각으로 바라봐야 할까요?
-
해결됨오브젝트 - 기초편
실제로 객체지향으로 설계를 많이 하는지 궁금합니다.
먼저, 강의 너무 잘 들었습니다. 너무 좋은 내용을 압축적으로 전달 받았습니다. 감사합니다. 강의를 듣고 나니, 두 가지가 인상깊었는데요.객체를 사용한다고 해서 객체 지향이 아니구나. 객체를 사용하더라도 절차지향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객체지향 설계를 제대로 하다보면, DDD를 자연스레 실천하게 된다. (DDD 패턴을 적용하는 것은 아님) 실제 사용 중인 코드를 보니, Service 객체가 비즈니스 로직을 왕창 들고 있더라구요. 클래스의 인스턴스도 객체보다는 데이터에 가까웠습니다. 데이터만 담고 있고, 데이터를 조작하는 로직은 모두 Service가 들고 있었어요. "그동안 절차지향적으로 코드를 작성했던거구나!"를 알게 되었습니다. 그러면서 문득, 강사님 블로그에서 봤던 글이 생각났는데요. [도메인 주도 설계의 본질](https://eternity-object.tistory.com/26)이라는 글의 마지막 부분입니다.아마 모든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95%는 “DDD를 적용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범주에 속할 것이다. 대부분의 소프트웨어는 근본적으로 데이터 중심적이다. 여기서 말씀하시는 "데이터 중심적"이라는 것이, 데이터를 먼저 설계하고 프로세스를 나중에 설계하는 절차지향적 설계를 말씀하신 것인지가 궁금했습니다. 제가 이해한 바가 맞을까요? 적고보니 질문을 위한 사족(?)이 길었군요.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ApplicationContext @Autowired관련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providerTest()를 할때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ClientBean.class, PrototypeBean.class) 를 하면서 스프링 컨테이너를 생성한다는것 까지는 이해가 됐습니다. 저는 여기서 스프링컨테이너에 ClientBean, PrototypeBean 모두가 등록이 되어야 스프링컨테이너가 완성되는거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ClientBean을 빈으로 등록하려면 @Autowired로 ApplicationContext를 주입받아야 빈으로 등록이 되는건가요? 만약 그렇다면 ClientBean을 빈으로 등록할당시에는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가 아직 완성되지않아서 @Autowired에 주입할 수 없을것같아서 이부분이 이해가 가지않아 질문드립니다. 아니면 빈등록을 할때는 의존관계 주입까지 끝내는게 아니라 빈으로 등록할 class정보만을 받고 그 이후에 의존관계를 주입하는걸까요? 정확한 작동원리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LinkedHashSet 수업
LinkedHashSet 을 수업중에 HashSet 처럼 자세히 다룬 적이 있나요? 아무리봐도 못 찾겠어서요! 왜 LinkedHashSet 이 입력한 데이터대로 출력하는지 코드를 통해 이해를 하고 싶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열거형 두번째 문제
안녕하세요 열거 타입은 매개변수로 못 쓰나요?? 빨간 불이 계속들어오는데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까요? package class05EnumClass; public class AuthGrade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AuthGrade[] authGradeList = AuthGrade.values(); for(AuthGrade grade : authGradeList){ printGrade(); } //AuthGrade authGrade 매개변수를 넣을때 에러가 발생 private static void printGrade(AuthGrade authGrade){ System.out.println(authGradeList); } } }package class05EnumClass; public enum AuthGrade { GUEST(1,"손님"),LOGIN(2,"로그인 회원"),ADMIN(3,"관리자"); private final int level; private final String description; private AuthGrade(int level, String description){ this.level=level; this.description=description; } public void getAuthGrade(AuthGrade authGrade){ System.out.println("레벨"+authGrade.level+"등급"+authGrade.description); } public int getLevel(AuthGrade authGrade){ return authGrade.level; } public String getDescription(AuthGrade authGrade){ return authGrade.description; } }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java중급 4강 레퍼클래스 로또 번호 생성기 문제
4강 레퍼클래스 로또 번호 생성기 질문 있습니다. package class04wrapperClass; import java.util.Random; public class Lottery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랜덤 생성자 선언 ==> 로또 값이 그때 그때 바뀜 Random random = new Random(); //로또 범위 지정 배열 int[] randomArray = new int[6]; //로또 배열에 로또 값 넣기 for (int i = 0; i < randomArray.length; i++) { int randomValue=random.nextInt(45)+1; randomArray[i]=randomValue; if (randomArray[i]==randomArray[i++]||randomArray[i]==0) randomArray[i]=random.nextInt(45)+1; } for(int i =0; i<randomArray.length; i++){ System.out.print(randomArray[i]+" , "); } } }이렇게 풀었는데 이것도 올바른 풀이 일까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메서드 메모리 구조
안녕하세요. 이전 7강의 메모리 구조와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7강의 자바 메모리 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이 메서드는 공통됐기 때문에 메서드 영역에서 관리한다고 이해했습니다. 그러나 상속 부분에서는 힙영역에서 메서드를 관리하고 사용하는 것처럼 되어있어서 헷갈립니다. 설명을 편리하게 하고자 이렇게 설명하신 걸까요??잘못 이해한 부분이 어딘지 모르겠습니다 ㅠㅠ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Test @DisplayName 안됨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위 두개를 임포트해도 오류가 뜹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