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컴퓨터공학 1: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
스레드 컨텍스트 스위칭
스레드 컨텍스트 스위칭이란cpu의 레지스터에 있는 정보를 해당 스레드의 tcb에 저장하고 다른 스레드의 tcb의 정보를 가져오는거라고 생각합니다.그럼 thread1 = threading.Trhead(target=foo).start()thread2 = threading.Trhead(target=foo).start()에서 멀티코어환경에서 실행시킨다고 가정할 시에는 이 코드를 실행시켯을때 스레드 컨텍스트 스위칭이 일어나지 않겠죠 ??
-
미해결인터랙티브 웹 개발 제대로 시작하기
변수 범위 관련 질문
let currentItem; function activate(elem){ // 활성화 : 문열기 elem.classList.add('door-open'); currentItem = elem; } function inactivate(elem){ // 비활성화 : 문닫기 elem.classList.remove('door-open'); }이 부분에서요, let, const 변수는 범위가 {} 기준이라고알고있습니다.그런데, activate()에서 currentItem에 elem값을 넣어주면서 {} 범위가 끝났는데, inactivate()에서 currentItem의 값을 확인하고 실행한다는게 이해가 잘 안됩니다.
-
미해결[라이브 멘토링] 유니티 뱀파이어 서바이벌 장르 모작
EquipmentData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EquipmentData에서 보면 방어구와 무기가 부여하는 능력치의 종류가 다른데 이 둘을 상속해서 추가 분류하지 않고 그냥 해당 변수를 0으로 처리해서 하셨더라구요 이런 방식으로 다른 부분에서도 처리하신 것 같은데 상속을 받아서 불필요한 변수가 뜨게 하지 않는 것보다 이러한 방식이 더 처리하기 편하기 때문에 이렇게 구현하신걸까요?
-
미해결
EquipmentData 관련 질문드립니다.
EquipmentData에서 보면 방어구와 무기가 부여하는 능력치의 종류가 다른데 이 둘을 상속해서 추가 분류하지 않고 그냥 해당 변수를 0으로 처리해서 하셨더라구요 이런 방식으로 다른 부분에서도 처리하신 것 같은데 상속을 받아서 불필요한 변수가 뜨게 하지 않는 것보다 이러한 방식이 더 처리하기 편하기 때문에 이렇게 구현하신걸까요?
-
해결됨시스템엔지니어 교과서
AWS EC2
AWS EC2실습환경 설명과 관련하여, AWS management console을 통하여 인스턴스 지정하시는데, AWS에 유료가입하고 사용해야하나요? AWS에 대한 지식이 없어, 강의 수강 진행이 어렵습니다. 사전설명도 없고, 준비등에 대하여 쉬운 강좌에 너무 어려운 실습환경을 채택하고 있는거 같아요. AWS 광고 대행하는 것인가요?
-
미해결엑셀 시작하기 : EXCEL 입문 (Inflearn Original)
온라인 강의에서 상태표시줄 강의 후 일부 강의가 안됩니다.
챕터1 상태표시줄 다음강의로 안넘어가고, 바로 챕터2로 넘어갑니다.아래 빨간표 부분이 안됩니다.
-
해결됨[플러터플로우] 실전! 앱 출시를 위한 끝장 노하우!
Error: Unknown error. Please contact support@flutterflow.io.
플러터플로우에서 cloud_functions를 배포할 때 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해서 파이어베이스의 Authentication의 설정에보면 차단함수가 열려있지 않습니다. 이것을 열고 함수를 설정하는 부분이 나오는데 아마도 변경된것같아요.참고 링크 남겨드립니다.https://firebase.google.com/docs/auth/extend-with-blocking-functions?hl=ko&authuser=0&_gl=1*xve8tr*_ga*MTAyNjM2NTU2Ni4xNzI2ODIxNzcw*_ga_CW55HF8NVT*MTczNjczOTQ5Mi4yMDkuMS4xNzM2NzQxMTE4LjYwLjAuMA..&gen=2nd
-
해결됨시스템엔지니어 교과서
아마존 실습환경설정
아마존 실슬환경에 관련 진행이 너무빠릅니다.아마존에 가입하는 것부터 가이드가 없을까요 ?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메서드 선언부와 본문 간의 형변환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메서드 강의를 듣는 중 메서드 선언부, 본문에 대해 궁금한 점이 생겨 여쭤보게 됩니다.메서드 선언부와 본문에 등장하는 메서드 타입, 파라미터 타입, 리턴 타입이 모두 같아야 한다고 강의 도중 말씀하신 것 같아 형변환 원리가 적용되나 싶어 인텔리제이로 실행을 해보니 말씀 그대로 하나라도 다르면 적용이 안되었습니다. 형변환 원리가 적용되지 않는 것이 확실한지 싶어 구글링하여 찾아보았는데 형변환 원리가 일부 적용된다고 하여서 질문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메서드 선언부(본문) - 호출부 간에는 자료형이 달라도 형변환 원리가 적용되는 것은 이해가 되었는데, 메서드 선언부와 본문에 등장하는 변수 타입은 형변환 원리가 적용되지 않는게 맞을까요 ?좋은 강의 제공해주셔서 항상 감사드립니다 !!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지금 보시는 pdf 어디서 다운받나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제목그대로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final 메서드 오버라이딩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오버라이드 자체가 부모의 메서드를 재정의 하는 것 즉 오버라이드 하면 부모 메서드에 영향을 주는게 아닌데 final을 사용 하지 못하는 이유는 설계 의도가 맞지 않아서 사용하지 못하는게 맞을까요?
-
미해결3D 모델링 입문을 위한 라이노(Rhino) '꿀팁' Part.2
ipod 모델링 filletedge 안들어갑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선생님 ipod 밑에 부분이 filletedge가 안들어가고 잡히지도 않는데 아마 열린 서피스여서 그런것같아요 근데 어떤부분을 닫아야되는지를 모르겠습니다 ㅠㅠ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서버 구동이 안됩니다.
1..2일차 영상 보면서...환경을 만드는데.... 서버 구동이 안됩니다.초초초보입니다....... A problem occurred configuring root project 'library-app'.> Could not resolve all files for configuration ':classpath'.> Could not resolve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gradle-plugin:3.0.1.Required by:project : > org.springframework.boot:org.springframework.boot.gradle.plugin:3.0.1> No matching variant of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gradle-plugin:3.0.1 was found. The consumer was configured to find a runtime of a library compatible with Java 8, packaged as a jar, and its dependencies declared externally, as well as attribute 'org.gradle.plugin.api-version' with value '7.5' but:- Variant 'apiElements' capability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gradle-plugin:3.0.1 declares a library, packaged as a jar, and its dependencies declared externally:- Incompatible because this component declares an API of a component compatible with Java 17 and the consumer needed a runtime of a component compatible with Java 8- Other compatible attribute:- Doesn't say anything about org.gradle.plugin.api-version (required '7.5')- Variant 'javadocElements' capability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gradle-plugin:3.0.1 declares a runtime of a component, and its dependencies declared externally:- Incompatible because this component declares documentation and the consumer needed a library- Other compatible attributes:- Doesn't say anything about its target Java version (required compatibility with Java 8)- Doesn't say anything about its elements (required them packaged as a jar)- Doesn't say anything about org.gradle.plugin.api-version (required '7.5')- Variant 'mavenOptionalApiElements' capability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gradle-plugin-maven-optional:3.0.1 declares a library, packaged as a jar, and its dependencies declared externally:- Incompatible because this component declares an API of a component compatible with Java 17 and the consumer needed a runtime of a component compatible with Java 8- Other compatible attribute:- Doesn't say anything about org.gradle.plugin.api-version (required '7.5')- Variant 'mavenOptionalRuntimeElements' capability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gradle-plugin-maven-optional:3.0.1 declares a runtime of a library, packaged as a jar, and its dependencies declared externally:- Incompatible because this component declares a component compatible with Java 17 and the consumer needed a component compatible with Java 8- Other compatible attribute:- Doesn't say anything about org.gradle.plugin.api-version (required '7.5')- Variant 'runtimeElements' capability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gradle-plugin:3.0.1 declares a runtime of a library, packaged as a jar, and its dependencies declared externally:- Incompatible because this component declares a component compatible with Java 17 and the consumer needed a component compatible with Java 8- Other compatible attribute:- Doesn't say anything about org.gradle.plugin.api-version (required '7.5')- Variant 'sourcesElements' capability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gradle-plugin:3.0.1 declares a runtime of a component, and its dependencies declared externally:- Incompatible because this component declares documentation and the consumer needed a library- Other compatible attributes:- Doesn't say anything about its target Java version (required compatibility with Java 8)- Doesn't say anything about its elements (required them packaged as a jar)- Doesn't say anything about org.gradle.plugin.api-version (required '7.5')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OrderService 트랜잭션 프록시 객체의 형태
public class OrderService$$EnhancerBySpringCGLIB extends OrderService { private final OrderService target; // 실제 대상 객체 (원본 OrderService) private final TransactionManager transactionManager; // 트랜잭션 매니저 //의존 관계를 주입 받았다 가정 @Override public void order(Order order) throws Exception { TransactionStatus transactionStatus = null; try { // 트랜잭션 시작 transactionStatus = transactionManager.beginTransaction(); // 실제 비즈니스 로직 호출 (OrderService의 order 메서드) target.order(order); // 정상적으로 완료된 경우 트랜잭션 커밋 transactionManager.commit(transactionStatus); } catch (RuntimeException e) { // 언체크 예외(RuntimeException): 자동 롤백 transactionManager.rollback(transactionStatus); throw e; // 예외 다시 던지기 } catch (Exception e) { // 체크 예외: 기본적으로 커밋 transactionManager.commit(transactionStatus); // 트랜잭션 커밋 throw e; // 예외를 호출자에게 다시 전달 } } } 강의에서 생성되는 프록시 객체의 형태는 정확하진 않지만 대략적으로 위와 같다고 생각해도 될까요?
-
미해결AI 에이전트로 구현하는 RAG 시스템(w. LangGraph)
Agent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LangGraph 공부하면서 질문이 생겨 이렇게 질문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add_messages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append하거나, MessageState를 사용하여 append 하거나 결국 같은 결과를 얻을 것 같은데 정확한 차이가 궁금합니다.# 기본 State 초기화 방법을 사용 class GraphState(TypeDict): messages : Annotated[list[AnyMessage], add_messages] -> MemorySaver 기능도 있다. from langgraph.graph import MessageState class GraphState(MessageState): # messages 키는 기본 제공 - 다른 키를 추가하고 싶을 경우 아래 주석과 같이 적용 가능 documents : List[Document] grade : float num_generation : intcreate_react_agent 관련 질문https://rudaks.tistory.com/entry/langgraph-Multi-agent-supervisor위 URL만 보면 create_react_agent는 conditional_edge의 역할을 똑똑한 에이전트가 대체한다는 느낌인 것 같은데 맞을까요?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프로그래밍 시작하기 : 파이썬 입문 (Inflearn Original)
문자열 슬라이싱 질문입니다.
str = 'Nice Python'print(str[::-2]) <- 이거의 출력값이 nhy cN인 이유가 궁금합니다.제 생각으로는 -2 간격이므로 otPei가 나와야할 것 같은데 n으로 시작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배포 환경에서 fetch 오류
실제 https로 배포된 API를 fetch를 활용하여 SSR을 구현하고있습니다.문제는 local에서는 yarn build -> yarn start 하고 테스트를 진행하면 fetch가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하지만 AWS Amplify를 활용하여 Next JS를 배포하고 배포한 사이트에서 fetch(pending 이후에 catch로 빠짐)가 작동하지않습니다.API에 문제가 있나해서 다른 API를 CSR로 테스트를 해보면 정상적으로 200이 됩니다.원인이 뭘까요?
-
해결됨토비의 스프링 부트 - 이해와 원리
spring boot 3.3.7로 학습중입니다.
강의상에서는 @RestController 어노테이션을 넣지 않더라도 문제없이 매핑되는걸 확인할 수 있는데요.혹시 버전이 최신버전으로 바뀌면서 이 어노테이션을 넣지 않으면 매핑이 안되고 그런걸까요??일단 3.3.7에서는 [에노테이션 매핑 정보 사용] 이 강의편에서 나온 것 처럼 @RestController를 빼고 하면 매핑정보를 못 찾는 듯 싶습니다.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static 페이지vs 다이나믹 페이지
폴라우트 페이지 2를 보면서 / 인덱스페이지가 강사님은 static 페이지가 아닌 다이나믹 페이지로 빌드가 되는 부분에서 강사님은 fetch에 force-cache를 적용시키면서 이제 다이나믹된 페이지를 static 페이지로 바꾸셨느데 일단 저는 force-cache 옵션을 적용을 안해도 static 페이지이더라구요강사님과 저랑 다른 점은 api호출하는 함수 부분을 따로 api 폴더에 빼둔거 말고는 다른 점은 없습니다 .이렇게 따로 빼놓은 뒤 그냥 promis.all로 데이터 패칭을 해서 그대로 화면에 보여줬습니다 (이것저것 시험하느라 Allbook ,RandomBook 컴포넌트를 따로 빼지는 않은 상태입니다. )export default async function Home() { const [allBooks, randomBooks] = await Promise.all([ fetchBooks(), fetchRandomBook(), ]);저는 force-cache 를 적용안햇는데도 왜 다이나믹 페이지가 안되고 static 페이지가 되는걸까요 ...
-
미해결토비의 스프링 부트 - 이해와 원리
Serverproperties 객체 생성 후 @Impor 어노테이션 사용 이유 용도
과목명 : 프로퍼티 빈의 후처리기 도입 개요 : 프로퍼티를 객체로 추출하여 사용할 때 TomcatServerConfig에 @Import(ServerProseties.class)를 사용하는 이유와 이를 제거하였을 때 ServerProperties 클래스를 주입받지 못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세부 :ServerProperties.java의 경우 @MyConfigurationProperties 메타 어노테이션을 통해 @Component 어노테이션이 설정되어 Bean으로써 등록이 가능하다고 생각하였습니다. 그러므로 ServerProperties.java는 서비스내에서 유일하게 선언된 ServerProperties 객체이기 때문에 굳이 @import문을 별도로 선언해줄 필요 없다고 생각하였습니다. 따라서 Spring이 기동 될 때 TomcatServerConfig의 servletWebServerFactory에 자동으로 의존성이 주입 될 것이라 생각하였습니다. 그래서 실제로 @ImportServerProperties.class)를 TomcatServerConfig.java에서 지우고 서비스를 기동하였을 때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하면서 서비스 구동에 실패 하였습니다. 2025-01-13T06:55:22.586+09:00 ERROR 1088 --- [tobySpringBoot] [ main] o.s.b.d.LoggingFailureAnalysisReporter : *************************** APPLICATION FAILED TO START *************************** Description: Parameter 0 of method servletWebServerFactory in tobyspringboot.config.autoConfig.TomcatWebServerConfig required a bean of type 'tobyspringboot.config.autoConfig.ServerProperties' that could not be found. Action: Consider defining a bean of type 'tobyspringboot.config.autoConfig.ServerProperties' in your configuration. 이러하여 해당 부분에 왜 Import를 선언하는지 질문 드립니다!!